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예체능교육 전공
· ISBN : 9788958622567
· 쪽수 : 308쪽
· 출판일 : 2008-09-29
책 소개
목차
머리말1 │ 삶을 위한 미술교육을 꿈꾸며
머리말2 │ '온몸으로 느끼며' 소통하고 이해하는 새로운 미술교육
체험 온몸으로 느끼다
감각에 맡겨 봐
공간 체험 │ 들판에서
사물 체험 │ 종이야, 놀자
느낌과 하나 되기 │ 감까 깨우기
느낌 이어가기 │ 여결된 너와 나
몸으로 보기
빛과 색 │ 빛과 색을 체험하자
보는 놀라움 │ 몸으로 보는 놀라움
예술 속으로 │ 우리의 움직임이 예술이라고?
세상 속으로 태어나기
도구와 어울림 │ 원시 도구 따라잡기
생성과 소멸 │ 생겨남과 사라짐
소통 마음과 뜻이 통하는길
자기표현과 놀이
표정 만들기 │ 표정을 잡아라
동작 만들기 │ 몸으로 말하기
공간 만들기 │ 손가락 인형극
이미지로 말하기
단일 이미지 │ 이미지 읽기
합성 이미지 │ 디지털 시대의 이미지
연속 이미지 │ 영상으로 이야기하기
이미지 쓰기 │ 이미지북 만들기
낯설게(새롭게) 보기
다시 보기 │ 일상과 사물 다시 보기
거꾸로 보기 │ 다르게 보면 특별해진다
비틀어 보기 │ 패러디
낯선 이미지 만들기 │ 이상한 느낌 주기
나를 둘러싼 세상
머물고 싶어요 │ 공간을 디자인하다
머물고 싶어요 │공도주택 만들기
주장하고 싶어요 │ 공간 속에서 함께 말하기
이해 알면 잘 보인다
몸─이미지
몸의 미학 │ 몸과 이미지
몸에 맞는 디자인 │ 내 몸에 편안한 디자인
보는 방식들Ⅰ │ 보이는 여자, 보는 남자
이미지의 삶과 죽음
보는 방식들Ⅱ │ 시선에 따라 달라지는 공간
보는 방식들Ⅲ │ 사진, 나를 비추다
풍경과 이상 │ 만들어지는 풍경
우리 시대의 이미지 │ 몽타주로 읽는 우리 시대
이미지의 수사학 │ 우리를 움직이는 이미지
인터넷 커뮤니티 │ 인터넷, 또 다른 세상
공간과 삶
공간의 비밀 │ 삶을 바꾸는 공간
환경과 나Ⅰ │ 낙서 다시 보기
환경과 나Ⅱ │ 거리의 미술
부록
한국의 자연과 문화의 미학적 특성, 프랙탈
통합 수업 │ 학교 환경에 참여하자
사진 자료 제공
책속에서
이 책에 내재된 교육목표는 독자들로 하여금 “자유로운 몸의 느낌으로 생태 환경과 시각 문화를 체험하고, 시각적 소통 과정에서 생활 속의 시각 문화의 가치를 이해하고 향유하며, 창의적인 태도로 시각 문화에 참여하여 자신의 삶이 빛을 발하도록”하는 데 있다. 감상 대신 몸과 체험, 시각적 소통과 시각 문화의 이해라는 새로운 단어들은 이 책의 대안적 교육목표의 길을 안내하는 주된 지표이다. 이 책은 현대적인 시각 문화 환경 속에서 미술교육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대상과 행위’ 모두를 한 장의 지도 안에 담는다는 생각으로 ‘체험, 소통, 이해’의 3개 영역으로 나눠 독자가 한 걸음 한 걸음 답사해 볼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 본문 10쪽, '머리말' 중에서
현대인은 인간이 지닌 감각 가운데 시각이 가장 발달했다고 한다. 우리의 감각이 얼마나 시각에 집중되어 있는지 눈을 감아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코를 막거나 귀를 막을 때보다 훨씬 답답할 것이다.
눈을 감으면 다른 감각이 살아난다. 청각과 후각이 눈을 뜨고 있을 때보다 예민해진다. 또 손은 주위를 더듬으며 민감하게 반응한다. 눈을 감고 촉각에 집중해 보자. 익숙한 사물과 주변 환경이 전혀 다르게 느껴질 것이다. - 본문 22쪽, '감각에 맡겨 봐' 중에서
인물 사진에서 주인공들은 무엇을 보여 주려는 것일까? 그들은 사진을 통해 자신의 용모를 자랑하며 건강, 부유, 화목한 인간관계뿐만 아니라 재기발랄함, 스타와 같은 섹시함도 보여 주고자 한다. 사람들이 인물 사진을 통해 드러내고 싶어 하는 모습을 살펴보면 무엇을 중여하게 여기는지 알 수 있다. 또 여기에서 한 시대의 기준이 되는 문화 코드를 엿볼 수 있다. - 본문 228쪽, '사진, 나를 비추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