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사회 선생님이 들려주는 경제 이야기

사회 선생님이 들려주는 경제 이야기

(시장, 부동산, 노동)

전국사회교사모임 (엮은이)
인물과사상사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0,800원 -10% 2,500원
600원
12,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사회 선생님이 들려주는 경제 이야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사회 선생님이 들려주는 경제 이야기 (시장, 부동산, 노동)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경제
· ISBN : 9788959060979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08-11-10

책 소개

전국사회교사모임에서 활동하고 있는 사회 선생님들이 쓴 것으로 교과서에 나오지 않는 그러나 청소년들이 꼭 알아야 할 시장에 대한 이야기를 담았다. 청소년들에게 교과서 속의 지식이 필요하지만, 세상을 살아가는데 더 필요하고 또 알고 있어야 할 것들을 알려줘야 한다는 것이 이 책을 쓴 선생님들의 생각이다.

목차

머리말 _004

1장 시장
시장이 뭐야 _013
가격은 어떻게 결정되는 걸까 _024
시장에 맡겨둘 수 없는 것도 있다 _032
내가 너무 싸게 샀다고 _041
모두 필요한 것들일까 _048
우리의 욕구는 누가 만드는 걸까 _054
시장은 냉정하다 _060
지불 능력이 없는 사람의 ‘필요’는 어떻게 하지 _066
돈이 없으면 살 수 없을까 _075

2장 부동산
주거권은 보장되어야 한다 _087
아파트로 이사 갈 수 있을까 _094
집값은 왜 오르기만 할까 _102
그 많은 집들은 다 어디로 갔나 _108
왜 아파트를 좋아할까 _113
땅의 가치는 땅값과 다르다 _121
다른 나라 사람들은 어떤 집에서 살까 _129
우리가 만들어가는 아름다운 집과 땅 이야기 _141
부동산 통계 자료 _152

3장 노동
노동과 노동자 _169
노동자의 권리 _187
노동의 소중한 대가, 임금 이야기 _207
비정규직 이야기 _214
알바를 시작하는 한결이에게 _222
경제는 발전하지만 늘어나는 실업자 _231
꼭 필요한 노동, 돌봄노동 _242
고통받는 이웃, 이주노동자 _255

맺음말 _268
주 _271

저자소개

전국사회교사모임 (옮긴이)    정보 더보기
민주적이고 자주적인 사회과 교육을 통하여 평화, 인권, 생태 교육을 실현하고, 사회 교사로서 전문성 신장과 회원 상호 교류의 장을 만들어 나갈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이를 위해 사회과 교육의 일반적 목표인 민주시민교육을 학교 현장에서 구체화시킬 수 있는 수업 사례 개발과 민주시민교육의 방향을 위한 각종 연구, 집필 활동을 비롯한 시민 사회 단체와의 연대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https://socioedu.eduhope.net
펼치기

책속에서

노동자들이 노동조합을 결성할 수 있는 권리를 '단결권'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그냥 노동조합을 만들기만 해서는 아무런 일도 할 수 없습니다. 노동조합은 노동자의 권리를 보장받고 노동 조건을 개선하기 위해 파업과 같은 단체행동을 할 수 있습니다. 파업이란 노동자들이 어떤 요구 조건을 내걸고 일하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 이렇게 할 수 있는 권리를 '단체행동권'이라 합니다. 또 노동조합은 고용주와 교섭을 벌일 수 있는 권리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해 임금은 얼마나 인상할 것인지, 휴가는 어떻게 할 것인지 등과 같은 내용이 교섭 대상이 됩니다. 노동자들이 개인적으로 고용주와 교섭하면 노동자들은 상대적으로 약자의 위치에 있기 때문에, 자신에게 필요한 것을 제대로 요구할 수 없게 됩니다. 그러므로 노동조합을 통해 고용주와 교섭하는 것입니다. 이것을 '단체교섭권'이라고 합니다. '단결권' '단체행동권' '단체교섭권'을 '노동3권'이라고 부릅니다.

p.196-197


인도의 카슈미르 지방에서 사과를 딸 때가 되었습니다. 과수원 주인은 사과를 잘 따는 사람을 여러 명을 알고 있습니다. 한 사람은 한 광주리를 따는 데 30루피(650원 정도)를, 또 한 사람은 20루피를 받겠다고 합니다. 그런데 세 번째 사람은 워낙 가난해서 15루피만 받겠다고 합니다. 이 소문이 퍼지자 다른 과수원 주인도 한 광주리에 15루피만 주려고 했습니다. 처음과 두 번째 사람은 어쩔 수 없이 15루피만 받고 일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그러나 이듬해에는 달랐습니다. 사과 수확 철이 되기 전에 사람들이 만나서 30루피를 받기로 약속한 것입니다. 그들은 노동조합을 만든 셈이지요. 그런 식으로 굳게 뭉치면, 분명 지난해보다는 나은 보수를 받을 것입니다. 노동조합의 이치도 이와 마찬가지입니다.

p.194-195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