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심리학
· ISBN : 9788959122028
· 쪽수 : 390쪽
· 출판일 : 2011-09-10
목차
머리말
CHAPTER 01 가족 역동성의 이해
1. 체계로서의 가족
1) 가족 하위체계
2) 가족 경계선
3) 순환적 인과관계
2. 가족체계 이론의 기본 전제
1) 가족의 안정성과 변화
2) 가족의 발달단계
3) 가족의 개방성과 폐쇄성
4) 가족의 소속감과 개인 특성
5) 피드백으로서의 의사소통
6) 하위체계와 보충적인 관계
3. 체계적인 관점에서 본 가족 개념
1) 가족 항상성
2) 가족 삼각관계
3) 가족 규칙
4) 기능적인 가족
5) 역기능적인 가족
4. 가족발달과 개인발달의 역동성
1) 애착
2) 자아 분화
3) 상호의존
CHAPTER 02 가족 갈등의 이해
1. 가족 갈등의 유형과 수준
1) 기본적 갈등
2) 비기본적 갈등
2. 가족 갈등의 발생 원인과 중재
1) 힘의 결집 및 균형으로 인한 가족 갈등의 발생과 중재
2) 갈등 발생의 주기와 중재
3) 사회교환이론으로 본 갈등의 발생과 중재
3. 가족 갈등의 분석
1) 해결하기 어려운 가족 갈등
2) 가족 위기와 가족 갈등
3) 친밀감 및 힘의 재협상
4. 가족 갈등에 대한 반응 : 분노, 분개, 공격성
1) 단순한 분노
2) 분개:공평성과 책임감의 문제
3) 적대감과 공격성
5. 가족들은 어떻게 싸우는가
1) 갈등에 대한 반응 유형
2) 결혼생활의 부부 갈등 유형
3) 가족 분쟁 유형
6. 가족 갈등과 타협
7. 가족 갈등과 체면 유지 행동
CHAPTER 03 가족상담 이론
1. 구조적 가족상담 이론
1) 주요 개념
2) 기본 전제 및 상담 목표
3) 주요 기법 및 기술
2. 경험적 가족상담 이론
1) 주요 개념
2) 상담 목표
3) 상담 기법
3. 해결 중심적 가족상담 이론
1) 기본 철학
2) 상담 목표
3) 주요 개념
4) 상담 기법
4. 보웬 가족치료 이론
1) 보웬 이론의 기본 특징
2) 주요 개념
3) 치료의 목표
4) 치료 기법
CHAPTER 04 가족상담의 절차와 기법
1. 가족상담의 절차
1) 가족평가
2) 가족상담의 초기 단계
3) 가족상담의 중간 단계
4) 가족상담의 종결 단계
2. 가족상담의 주요 기법
1) 주의 집중과 경청하기
2) 비언어적인 행동의 이해
3) 재진술
4) 공감
5) 감정의 반영
6) 진실성과 자기노출
7) 개방형 질문
8) 직면
9) 해석
CHAPTER 05 새로운 가족상담 접근법
1. 단계이론 접근법
2. 문제해결적 접근법
3. 치료적 접근법
4. 개인 변화 중심 접근법
5. 이야기 접근법
6. 상호작용적 접근법
7. 통합적 접근법
CHAPTER 06 가족상담의 기술과 기법
1. 사례의 평가와 구조화
1) 가족체계의 평가
2) 상담에 대한 준비도와 조건
3) 해결해야 할 문제의 평가
2. 상담 회기 결정하기
1) 회기의 구조화
2) 회기별 상담 계획
3) 상담 회기 진행 속도의 결정
4) 마무리
3. 다양한 가족 구성원들을 포함하는 상담
4. 개인상담의 활용
1) 개인상담이 요구되는 상황
2) 심리적 흥분 상태를 줄이고 정서적 휴식을 취하기
3) 직면하기
4) 세력 싸움의 전화
5) 사전 검토하기
6) 급작스러운 변화 탐색하기
7) 폭력과 위협에 대한 평가
8) 개별상담 활용 지침
9) 개인상담 활용에 대한 입장 차이
5. 힘의 균형 잡기
1) 힘의 패러다임
2) 수동적인 힘
3) 힘과 관련된 문제들
4) 힘의 패러다임 바꾸기
6. 상담의 중립성
1) 공평함과 동등함
2) 중립의 수준
7. 상담 교착 상태의 해결
1) 상담 교착 상태의 의미
2) 교착 상태를 해결하는 방법
3) 성공적인 가족상담의 기준
4) 교착 상태를 명료화하기
CHAPTER 07 이혼가족 상담
1. 이혼과 부부관계
2. 부모의 이혼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
3. 이혼상담자의 역할
4. 이혼 및 별거 사례에서 등장하는 보편적인 문제
5. 이혼가족 갈등의 특성
6. 이혼가족상담의 형태
7. 이혼가족상담의 절차
8. 이혼가족상담 사례
CHAPTER 08 청소년-부모관계 가족상담
1. 청소년기의 발달특성과 가족관계
2. 청소년기 자녀를 둔 부모의 발달과업
3. 가족관계와 청소년 문제
4. 청소년 상담
1) 청소년 가족상담의 특성
2) 청소년상담자에게 요구되는 역할
3) 청소년상담 개입 모델
4) 청소년 자녀-부모 상담 진행 시 유의점
5. 청소년 자녀-부모 가족상담 사례
CHAPTER 09 가정폭력 가족상담
1. 가정폭력의 양상과 유형
2. 가정폭력의 원인
3. 가정폭력이 피해 배우자에게 미치는 영향
4. 가정폭력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
1) 유아기
2) 학령기
3) 청소년기
5. 가정폭력 가족상담의 유의점
6. 가정폭력 상황에 맞는 상담 모델 정하기
7. 가정폭력 가족상담 사례
CHAPTER 10 노인문제에 대한 가족상담
1. 노인의 범위와 가족 특성
2. 노년기의 성격 특성
3. 노년기의 적응 특성과 과제
4. 노인상담의 기본 원리와 주요 상담 영역
5. 노인상담의 유의점
1) 가족관계의 특성
2) 성격 특성
3) 인지 · 정서적 역량
4) 정보와 지식 수준
5) 경제적 자립도
6) 관습과 문화
6. 노인상담의 방법
7. 노인가족 상담 사례
CHAPTER 11 분거가족을 위한 가족상담
1. 분거가족의 개념
2. 분거가족의 유형
3. 분거가족의 주요 문제
4. 분거가족을 위한 심리적 개입 프로그램
5. 분거가족 상담 사례
CHAPTER 12 가족평가
1. 가계도
2. 가족체계 유형에 관한 질문지 Ⅲ
3. 가족관계 진단용 SDS
4. 부모-자녀 의사소통 측정 도구
5. 갈등 대처방안 척도 Ⅱ
6. 역기능적 의사소통 유형 척도
7. 가족기능 설문지
1) 맥메스터 모델
2) 서컴플렉스 모델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