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엄마를 위한 백과교양

엄마를 위한 백과교양

박만경 (엮은이)
자우출판사
14,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9개 1,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엄마를 위한 백과교양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엄마를 위한 백과교양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교육/학습 > 창의 교육
· ISBN : 9788959180394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09-12-30

책 소개

많은 학부모들은 입시정보에는 정통하지만 정작 우리 아이들을 삶의 가치와 세상의 본질에 눈뜨게 하는 데에는 무관심하다. 소중한 우리 아이들의 오늘과 내일을 위해 우리 시대 부모들이 알아야 할 최소한의 교양과 상식을 인문·세계·자연에 관한 237개의 주제로 담아냈다.

목차

chapter 01 문화
문화의 의미 / 문화와 문명 / 문화의 분류 / 병든 문화의 유형 / 소프트 파워로서의 문화 / 드림 소사이어티 / 문화 상대주의와 자문화 중심주의 / 문화 사대주의와 문화 제국주의 / 문화의 거울 / 문화다양성 협약 / 고급문화와 대중문화 / 대중문화의 다양성 / 대중문화와 대중매체 / 광고는 문화인가 / 광고와 이미지 / 엔터테인먼트 / 유행과 문화 / 마니아 집단이 갖는 의미 / 문화와 공간 / 문화의 세계화와 개방적 민족주의 / 한류의 의미 / 신화와 문화

chapter 02 예술
예술의 기원 / 예술의 특징 / 예술의 종류 / 미란 무엇인가 / 예술작품의 독창성과 표절주의 / 성 표현의 자유와 한계 / 예술과 외설 / 현대예술과 대중생활 / 정보화시대 문학의 의미

chapter 03 철학
철학적 사고란 무엇인가 / 타자 이해의 올바른 태도 / 합리론과 경험론 / 공리주의와 쾌락주의 / 동양철학과 서양철학 / 유학의 근본이념 / 중용 / 유학의 현대적 의의 / 공자의 생애와 사상 / 맹자의 생애와 사상 / 사고와 언어

chapter 04 문명과 인간
이성의 도구화와 문명의 위기 / 근대화에 대한 편향적 사고 / 문명에 쫓기는 인간 / 속도숭배사회 / 삶과 문화의 가벼움 / 인간소외 / 오락의 본질 / 쾌락의 의미 / 소유지향적인 삶 / 인간의 욕망과 절제의 미덕 / 삶과 죽음의 가벼움

chapter 05 역사
역사란 무엇인가_ / 시대의 변화와 역사 서술 / 영웅사관 / 역사의 우연성과 필연성 / 식민사관 비판 / 친일인명사전 / 고구려사 논쟁

chapter 06 윤리
의무론적 윤리설과 목적론적 윤리설 / 절대론적 윤리설과 상대론적 윤리설 / 도덕적 상황과 딜레마 / 쾌락주의 / 청교도 윤리와 유교 자본주의 윤리 / 관습, 도덕, 법 / 도덕 재판의 폐해 / 착한 사마리아인 법 / 맹자의 성선설 / 순자의 성악설 / 백지설 / 뇌사를 인정할 것인가

chapter 07 종교
종교의 의의 / 종교의 양 측면과 종교의 자유 / 종교와 사회 / 종교의 사회적 책임 / 종교와 권력 / 과학과 종교 / 종교와 고정 관념 / 토속 신앙 / 미신과 점성술 / 한국 사회의 점술 열기 / 현대사회와 종교 / 한국 종교문화의 특징과 종교정책

chapter 08 학문
학문의 사회적 책임 / 실증과학의 출현 / 인문학의 위기 / 대학의 기능 / 지식과 정보 / 복잡사회와 지식인의 요건 / 형식지와 암묵지 / 고전의 가치 책의 가치 / 책을 읽지 않는 사회

chapter 09 정치
민주주의의 역사 / 인권 / 자유와 평등 / 자유와 책임 / 민주주의와 관용의 정신 / 민주주의와 다수결 원칙 / 시민불복종 / 민주 정치와 정당 제도 / 열린 사회 닫힌 사회 / 감시사회와 권력 / 시민운동이 나아갈 길 / 개인과 사회 /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 국가권력에의 저항 / 악법도 법인가 / 사형제도는 유지되어야 하는가 / 국가보안법과 사고의 경직성 / 알 권리의 본질과 정당성 / 포털 저널리즘 / 한국사회와 보수 / 한국사회와 진보 / 스포츠 이벤트와 열광

chapter 10 국제
세계국가 국민국가 / 국제정치에서의 이상주의와 현실주의 / 전쟁의 의의와 영향 / 문명과 단층 / 문명충돌론의 허구성 / 이슬람 원리주의 운동 / 테러의 원인과 테러전쟁의 본질 / 팍스아메리카나 / 한미 동맹관계의 새로운 모색 / 신사 참배와 일본의 군사대국화 / 한중 관계의 명암 / EU 확대의 의미 /

chapter 11 민족
세계화와 신자유주의 / 문화적 세계화의 부정성 / 보편 문명은 존재하는가 / 국가와 민족 / 민족주의의 필요성과 의의 / 세계화 시대 민족과 국민국가 / 세계화와 개방적 민족주의 / 우리 민족을 위한 세계화 / 패거리문화와 순혈주의 / 올림픽과 민족주의 / 평화공존과 남북통일

chapter 12 경제
국가와 시장 / 시장경제란 무엇인가 / 시장경제에서의 경쟁 / 애덤 스미스와 하이에크 / 미래의 착취 / 경제 성장과 분배의 정의 / 경제 양극화와 해결 전략 / 자유무역협정(FTA) / 노동의 본원적 가치 / 비정규직과 노동 유연성 / 기업정신의 재평가 / 윤리적 측면에서 본 한국 자본주의의 특징 / 현대 소비 사회의 특징

chapter 13 사회
인구문제의 새로운 양태 / 저출산 위기와 대책 / 정상가족과 비정상가족 / 가족관계의 혁명적 변화 / 양성 평등과 여성의 빈곤화 / 고령화 사회의 도래 / 장애인 문제 / 진정한 웰빙이란 무엇인가 / 노블레스 오블리주 / 체벌 논쟁 / 왕따 문제를 어떻게 볼 것인가

chapter 14 정보화
인터넷이 가져온 삶의 변화 / 제3의 물결과 후기산업사회 / 아날로그와 디지털 / 바람직한 디지털 환경 / 가상현실의 출현 / 사이버 문화의 특징 / 사이버 스페이스와 정보문화 / 사이버 스페이스와 국가의 역할 / 디지털 매체환경의 특징 / 블로그 문화의 특징 / 유비쿼터스 / 인터넷 시대의 빛과 그늘 / 스팸메일 / 인터넷 중독 / 표현의 자유와 네티켓 / 정보 보호의 창과 방패 / 카피레프트

chapter 15 현대와 과학
과학기술의 발달과 현대사회 / 과학과 기술의 상생 / 과학기술의 맹목성과 정합적 이성 / 과학기술의 발달과 철학의 새로운 문제 / 과학은 가치 중립적인가 / 거대 과학으로서의 현대과학 / 과학 기술 시대 인간성의 회복 / 기초과학은 왜 중요한가 / 과학의 생활화 / 과학문화가 필요한 이유 / 과학과 인문학의 대화 / 과학적 시민권 / 적정기술 / 나노과학기술 / 뇌 연구의 중요성 / 정보화사회 수학의 역할

chapter 16 인간과 자연
정복 이념과 과학적 자연관 / 기독교적 자연 개념 / 자연에의 끝없는 경외 / 자연의 재발견 / 환경 문제의 특수성 / 구명선 윤리와 우주선 윤리 / 지속 가능한 발전 / 부탄의 ‘국민총행복량’ / 지구온난화와 교토의정서 / 생물다양성의 감소 / 인류의 미래 예측

chapter 17 생명과학
생명공학이란 무엇인가 / 생명공학의 발전 / 생명공학의 활용 / 생명공학은 생명을 창조할 수 있는가 / 멋진 신세계 / 배아를 인간으로 볼 것인가 / 복제양 돌리 / GMO(유전자변형 농산물) / 식량위기와 유전자 조작 농산물 / 유전공학기술 비판 / 생명공학과 윤리적 책임 / 게놈지도 완성

chapter 18 과학혁명
과학적 진리의 성격_328 과학과 비과학_329 과학적 진리의 절대성과 객관성_330 과학적 진리의 상대성과 주관성_331 과학적 결론의 신뢰성_332 과학이론의 반증_333 유용한 가설과 과학과 무관한 가설_334 패러다임과 과학혁명_335 16∼18세기의 과학혁명_337 19∼20세기의 과학혁명_338 고전 물리학_340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_342 사고의 자율성과 도전정신_343 양자 역학_345 불확정성의 원리_346 현대물리학과 과학적 세계관_347 진화론과 창조론_348 과학 2.0_349 과학과 상상력_351

저자소개

박만경 (엮은이)    정보 더보기
자우출판사를 운영하면서 그동안 150여 종의 도서를 출간한 출판인이다. 인문, 사회, 자연, 예술 분야를 넘나드는 새로운 방향과 내용의 교양서 집필을 여럿 준비하고 있는 ‘차마고도茶馬古道’를 아울러 이끌면서 3N(Nice, Need, New)의 모토 아래 ‘참 좋고, 꼭 필요하고, 세상에는 없는 새로운’ 책을 다수 계획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영국 시인 오스카 와일드Oscar Wilde는 인간의 삶을 감싸는 거대한 봉투가 문화라고 말한 바 있다. 봉투라는 말은 오히려 협소하다. 문화라는 이름의 우주라고 말하는 편이 더 정확하다. 문화란 한 사회의 성원이 공유하고 있는 사고방식과 생활양식을 말한다. 하나의 사회에서 생활하고 있는 사회성원들은 생각하거나 행동하는 방식이 많이 비슷하여 다른 사회의 성원들과는 구분된다. 사회라는 용어와 문화라는 용어가 종종 혼용되는 것은 문화가 바로 사회생활의 내용이기 때문이다.


우리 문화를 붙잡고 있는 거울은 무엇일까. 현재 우리 사회는 서구 근대의 거울에 의해 극명하게 일그러져 있다. 모든 것을 경제의 눈으로 보는 경제의 거울, 올바른 사회와 인간다운 삶을 향한 노력을 진보와 보수의 틀로만 해석하는 이념틀의 거울, 우리의 눈으로 사물을 보거나 현재를 해석하지 못하고 오직 서구의 눈으로만 세상을 이해하려는 서구의 거울, 그럼에도 우리라는 집단에 갇혀 우리 이외의 모든 것을 배제하고 억압하는 우리라는 거울에 사로잡혀 있지 않은가.


엔터테인먼트는 문화산업 시대의 주요 문화적 소비 형태이자 주력 산업이다. 그 시장 규모와 성장지표를 살펴보면 대중들이 엔터테인먼트를 통해 소비하는 문화적 규모와 추세는 실로 대단하다. 그러나 삶의 문화적 만족도는 규모화한 문화상품과 성과물로 모두 채워지지 않는다. 모두가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규모와 성장의 한복판에 서서 온전한 만족감을 느낄 수는 없다. 이는 문화예술의 생산자건 소비자건 간에 디지털 시대의 기술적 진보를 따라가지 못하는 데서 오는 소외감의 문제가 아니다. 인간의 문화적 만족도는 감동의 발견에서 시작된다. 감동은 자신 속에 내재한 자아의 발견이며 객체화된 대상을 문화적으로 체험할 때 발현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