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한국정치사정/정치사 > 한국정치사정/정치사-일반
· ISBN : 9788959333486
· 쪽수 : 241쪽
· 출판일 : 2010-06-30
목차
발간사
1. 한국의 국가관리 철학과 비전의 비교 검토 : 이승만, 박정희, 김대중 대통령을 중심으로
1. 대통령 리더십과 국가발전
2. 대통령 리더십과 국가관리
3. 대통령 리더십과 국가관리 분석틀
4. 사례연구: 대통령 리더십 형성요인과 철학
5. 결론 : 비교검토
2. 현대 한국헌정과 국민통합, 1945-1948: '단정파'와 '중도파'의 정치노선과 헌정구상
1. 서론
2. 민족자치노선과 국제협력노선의 대결(1):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제승인을 통한 국민통합의 모색과 미국의 반대
3. 민족자치노선과 국제협력노선의 대결(2): 반탁과 신탁을 둘러싼 국민통합
4. 국민통합을 위한 헌정구상: 우파의 '남조선과도약헌-단정노선'과 중도파의 '조선민주임시약헌'-중도노서'의 대립
5. 결론: 해방정국에서의 국민통합의 실패와 함의
3. 한국의 건국헌법 제정과 국가관리의 초기 정초: 북한헌법과의 관계 및 비교를 중심으로
1. 문제의 제기
2. 관계성 : 상호성, 대면성, 대쌍성
3. 국가성 : 중앙성, 독점성, 유일성
4. 분단성 : 반민족성, 통일지향성, 잠정성, 과도성
5. 국제성 : 냉전성, 진영성, 동맹성의 비교와 차이
6. 역사성과 비교성
7. 결론
4. 1950년대 전반기 이승만과 미국의 관계: 이승만 정부의 헌정 파괴와 미국의 대안 모색을 중심으로
1. 서론
2. 1952년의 부산정치파동과 미국의 이승만제거 계획: 전시독재에 대응한 한국군부의 쿠데타계획 수립과 미국의 대안모색
3. 에버레디계획과 그 유사안의 등장, 1953년 5월-1954년 11월
4. 단순 제거에서 대체세력 육성으로, 1954년 12월
5. 자유당 창당, 제3대 총선과 사사오입개헌, 1954년
6. 맺음말 : 이승만의 집권 장기화에 따른 정치적 위기 상황의 조성
5. 한국의 국가 통치전략으로서의 민족주의
1. 들어가는 말
2. 민족주의의 이론적 논의
3. 박정희의 개발독재 체제와 도구적 민족주의
4. 세계화와 김대중의 실용적 민족주의
5. 맺음말
6. 한국대통령의 정치이데올로기 비교분석: 이승만과 김대중 대통령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 이승만의 정치이데올로기
3. 한국전쟁과 "대립의 상호의존" 구조의 형성
4. 김대중의 정치이데올로기
5. 이승만과 김대중 : 정치이데올로기의 정역 두 드라이브
6.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