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교육/학습 > 학교/학습법
· ISBN : 9791194634348
· 쪽수 : 452쪽
· 출판일 : 2025-07-16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1. 교육과정과 학생부 평가의 관점
대학에서는 어떤 학생을 원할까
학생부 디자인이 대입을 결정한다
활동 디자인은 어떻게 해야 할까
2. 진로-진학 프로그램의 활용 방법
창의적 체험 활동 프로그램
과목별 세특 프로그램
3. 학생부 디자인과 빌드업
전공 가이드북으로 학생부 속 역량 카운팅하기
대학 가이드북을 바탕으로 학생부 빌드업하기
4. 자기평가서를 위한 핵심 전략
자기평가서 작성의 기본 원칙
자기평가서의 필수 키워드 전략
자기평가서 작성 시 점검 포인트
과목별 자기평가서 작성 요령
5. 과목별 자기평가서 작성과 수정 사례
국어: 자기평가서 작성과 수정
영어: 자기평가서 작성과 수정
수학: 자기평가서 작성과 수정
사회: 자기평가서 작성과 수정
과학: 자기평가서 작성과 수정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탐구 주제에 관한 질문을 얼마나 구체화하고 그것을 끝까지 밀어붙였는지의 과정 자체가 평가의 중심이 되고 있다. 더불어 수업과 연계된 탐구 활동만큼이나 학습 태도와 성실성, 참여도 역시 중요하게 평가되고 있다. 학생이나 학부모들은 이러한 평가 기준을 먼저 이해해야 그에 맞춰 실제적인 전략을 세울 수 있을 것이다.
- 프롤로그
추천하는 것은 500자를 기준으로 2~3개의 활동 항목을 넣는 것이다. 이렇게 생각하면 학생부 디자인 관점에서 내가 꼭 해야 하는 중요한 활동의 개수가 어느 정도 정해진다. 세특(세부 능력 및 특기 사항)은 학교생활을 성실히 하면 수행평가 등으로 자연스럽게 채워진다. 결국 학생이 고민할 만한 주제 탐구 보고서는 창체에서 연간 네다섯 개 정도면 충분하다.
- 학생부 디자인이 대입을 결정한다
전공학과에 대한 탐방의 끝은 현재의 자신에 대한 성찰과 계획 수립에 있다. 다양한 전공학과에 대한 탐색을 통해 현재의 내가 그곳에 갈 만한 수준과 능력이 되는지를 살펴보아야 하며, 그렇지 않다면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를 성찰해야 한다. 나아가 고등학교를 졸업하기까지의 거시적 계획을 세워 보는 것도 좋다. 그것을 학과 공부에만 국한해 생각하기보다, 진로에 어울리는 보고서를 작성해 보거나 학교에서 마련하는 캠프에 참가하는 것도 훌륭한 방법이다.
- 창의적 체험 활동 프로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