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인공지능
· ISBN : 9788959595778
· 쪽수 : 407쪽
· 출판일 : 2023-05-15
책 소개
목차
시작하면서/ 4
Part 1 : 챗GPT 프롬프트 질문기술
Chapter 1. 프롬프트 질문 기초
1. 어떻게 질문할 것인가/ 17
■ 챗GPT에서 얻고 싶은 답은 무엇인가/ 17
■ 심층적, 포괄적 관점, 논리적인 순서로 질문해야 좋은 대답을 얻는다/ 22
2. 챗GPT와 맥킨지 기법은 궁합이 맞는다/ 25
■ 맥킨지 컨설팅 회사 소개/ 25
■ 챗GPT 질문에 맥킨지 기법이 적합한 이유/ 26
Chapter 2. 의미 있는 답을 얻기 위한 심층적 질문기술
1. 제퍼슨 기념관이 부식되고 있다. 해결 방법을 찾아라/ 29
■ 제퍼슨 메모리얼 건물과 관련된 에피소드/ 29
■ 나방이 왜 모이지/ 30
2. 심층 질문 사례/ 31
■ 돼지고기 비선호부위 맛에 대한 편견을 해소하는 방법은/ 31
■ 돼지고기 품질개선을 위해 육질 개선이 필요한데 방법은/ 32
3. Logic Tree 질문 사례 1 :
도시 중심부 교통체증을 완화하는 방법은/ 35
■ 일반적인 질문에 대한 대답/ 35
■ Logic Tree 모습/ 36
■ Logic Tree 활용한 질문법/ 37
4. Logic Tree 질문 사례 2 :
음식점 음식 맛이 균일하지 않은 이유는/ 43
■ 일반적인 질문에 대한 대답/ 43
■ Logic Tree 모습/ 44
■ Logic Tree 활용한 질문법/ 45
Chapter 3. 중복없이 누락없이 답을 얻는 포괄적 관점 질문 기술
1. 반대 관점/ 51
■ 그것-그것 이외, 내부-외부, 장점-단점, +요인—-요인, 긍정적-부정적, 증가-감소, 자발적-강제적 등/ 51
■ 가치-비용, 가격-성능, 고정비-변동비, 소모품-비소모품, 질-양, 심리적-신체적, 하드웨어-소프트웨어, Macro-Micro 등/ 54
2. 전략적 경영적인 툴/ 58
■ PEST/ 58
■ 3C/ 60
■ SWOT/ 64
■ 5 Forces/ 67
■ 4M/ 72
■ 4P/ 75
■ 7S/ 83
■ CARE/ 87
■ SMART (목표설정)/ 91
■ BSC/ 97
3. 구성요소/ 102
■ 역할/ 102
■ 6하원칙/ 108
■ SCAMPER/ 115
■ 6 Thinking Hats/ 120
■ CATWOE/ 124
4. 프로세스/ 128
■ Plan Do See/ 128
■ PDCA/ 131
■ AIDMA/ 136
■ STP/ 140
■ Product Lifecycle/ 144
■ Value Chain (Business System)/ 149
■ 정반합/ 152
Chapter 4. 짜임새 있는 답을 얻는 논리적 순서 질문기술
1. 상식적인 전개/ 159
■ 시간적인 전개/ 159
■ 위치(장소)적인 전개/ 162
■ 점층법/ 166
■ 점강법/ 169
2. PREP으로 주장하고 AREA로 반론하라/ 174
■ PREP, AREA를 알면 쉽게 논리적 대답을 얻는다/ 174
■ PREP으로 주장하라/ 174
■ PREP 만들기/ 177
■ AREA로 반론하라/ 180
■ AREA 만들기/ 182
■ AREA 다른 사용법 : 미디어 트레이닝/ 184
■ PREP로 주장하고 AREA로 반론하는 대화법 사례/ 187
■ PREP로 주장하고 AREA로 반론하는 챗GPT 사례/ 188
3. 논문 전개법/ 196
■ 서론, 본론, 결론/ 196
4. 비즈니스형 전개법/ 202
■ Pyramid Structure를 이용한 문제해결형 질문 (문제, 원인, 대책)/ 202
■ Pyramid Structure를 이용한 프로젝트형 질문 (문제, 전략, 대책)/ 205
■ Pyramid Structure를 이용한 고객제안형 질문 (고객 니즈, 솔루션, 적용방법)/ 208
5. 이야기 전개법/ 212
■ 기승전결 (자기 에피소드 재미있게 글쓰기)/ 212
■ STAR (역량 소개 글쓰기)/ 218
■ 소설 전개법 (발단-전개-위기-절정-결말)/ 221
Part 2. 챗GPT 정복 : 맥킨지 기법을 습득하자
Chapter 5. MECE (중복없이 누락없이)
1. MECE 이해/ 229
■ MECE 란/ 229
■ 산수로 본 MECE/ 231
■ 카드로 풀어본 MECE/ 232
■ MECE 분해 방법/ 233
2. MECE로 포괄적 질문 연습문제 150/ 234
Chapter 6. Logic Tree
1. Logic Tree 기초/ 243
■ Logic Tree 이해/ 243
■ Logic Tree 구조와 작성방법/ 244
■ Initial Question 작성방법/ 246
2. Logic Tree 활용법/ 247
■ What Tree (체크리스트, 구성요소를 추출하는)/ 247
■ Why Tree (문제의 다양한 원인 요소를 찾아내는)/ 248
■ How Tree (다양한 해결책이나 대안을 창출해내는)/ 250
■ 문제해결에 Logic Tree를 이용하는 방법/ 251
■ 설문지 작성에 Logic Tree를 이용하는 방법/ 254
■ 인터뷰 문안 작성에 Logic Tree를 이용하는 방법/ 257
Chapter 7. Pyramid Structure
1. Pyramid Structure 기초/ 261
■ Pyramid Structure 이해/ 261
2. Pyramid Structure 활용법/ 264
■ 1 Paper 작성에 Pyramid Structure 이용하는 방법/ 264
■ 패키지 문서에 Pyramid Structure 이용하는 방법/ 267
■ 글쓰기, 보고하기에 Pyramid Structure 이용하는 방법/ 270
3. Pyramid Structure 구조화 방법/ 273
■ 일반 나열형 Pyramid Structure 구조화/ 273
■ 문제 해결형 Pyramid Structure 구조화/ 276
■ 프로젝트형 Pyramid Structure 구조화/ 278
■ 고객제안형 Pyramid Structure 구조화/ 282
Part 3. 인간설득 질문기술
Chapter 8. 기초 질문
1. 질문이란 무엇인가/ 287
■ 질문의 목적/ 287
■ 질문은 잘해야 한다/ 288
■ 질문은 순서가 있다/ 292
2. 질문 구조를 이해하자/ 295
■ 폐쇄형 질문/ 295
■ 개방형 질문/ 298
■ 대답 기회를 주는 깔때기 질문/ 303
■ 말 문을 열게 하는 확성기 질문/ 309
3. 상대의 말을 묶고 풀어라/ 320
■ 상대 말을 정리해 묻는 Tie 질문/ 320
■ 상대 말의 체계적으로 풀어내는 Untie 질문/ 325
■ 시간적으로 풀어내는 시계열 질문/ 331
■ 위치적으로 전개하는 공간적 질문/ 335
Chapter 9. 향상 질문
1. 상대의 감정을 누그러뜨려라/ 339
■ 거부 반응을 완화하는 질문/ 339
■ 대화를 예고하는 레이블링 질문/ 347
2. 정보를 많이 얻어라/ 350
■ 다양한 정보를 얻어내는 탐색형 질문/ 350
■ 상대가 말을 많이 하게 하는 설명 요구 질문/ 352
■ 빠르게 원하는 대답에 접근하는 필터링 질문/ 354
3. 나의 프레임에 가두어라/ 357
■ 거짓을 못 하게 하는 부정의문문/ 357
■ 위기를 역전시키는 되묻기/ 361
4. Yes를 얻어내라/ 365
■ 협상을 유리하게 하는 질문/ 365
■ 부탁 성공률을 높이는 질문/ 368
■ 우호적인 환경을 조성하는 캐널리제이션 질문/ 371
Chapter 10. 응용 질문
1. 행동을 변화시켜라/ 377
■ 무리하게 고집할 때 부정성 제시 질문/ 377
■ 스스로 깨우치게 하는 모순 질문/ 385
2. 원하는 답으로 유도하라/ 388
■ 답을 유도하는 앵커링 질문/ 388
■ 생각을 뛰어넘는 더블바인드 질문/ 392
3. 영업 심리를 이용하라/ 397
■ 관여하여 판매하는 foot in the door 질문/ 397
■ 두 번 거절 못하는 door in the face 질문/ 400
4. 역량 추출을 하라/ 402
■ STAR 기법을 활용한 질문/ 402
교육 과정 소개/ 406
저자소개
책속에서
1. 어떻게 질문할 것인가?
■ 챗GPT에서 얻고 싶은 답은 무엇인가
먼저 질문에 대해서 챗GPT 대답한 2가지를 보자.
과학 시험을 잘 보기 위해서 해야 할 일
과학 시험을 잘 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일을 해야 합니다.
1. 수업에 참여하기: 과학 시험에서 나올 내용은 수업 시간에 다루는 내용이 대부분입니다. 따라서 수업에 참여하여 선생님의 강의를 잘 듣고, 궁금한 점은 바로바로 질문하여 이해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2. 필기 및 복습: 수업 시간에 배운 내용은 꼭 필기해서 정리하고, 집에서 복습을 꼼꼼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필기와 복습을 통해 자신이 알고 있는 내용과 모르는 내용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시험 대비 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
3. 문제 풀이 연습: 과학 시험에서는 이론적인 내용뿐만 아니라 문제 풀이도 출제됩니다. 따라서 문제 풀이 연습이 필수적입니다. 과거 문제를 참고하여 유형을 파악하고, 연습문제를 많이 풀어보는 것이 좋습니다.
4. 실험 경험: 과학은 이론뿐만 아니라 실험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수업 시간에 진행되는 실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실험 내용과 결과를 잘 이해하며, 필요한 경우 스스로 실험을 진행하여 경험을 쌓는 것이 좋습니다.
5. 관련 자료 수집: 시험에서 나올 수 있는 내용에 대해 자신의 지식과 경험이 부족할 경우, 인터넷이나 책 등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스스로 학습하여 이해도를 높이는 것이 좋습니다.
6. 시험 전 복습: 시험 전에는 복습을 꼼꼼히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필기 정리와 연습문제를 다시 풀어보며, 중요한 내용과 공식을 외우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시험 직전에는 긴장을 풀고, 충분한 휴식을 취하여 몸과 마음을 가라앉히는 것이 좋습니다.
과학 시험을 잘 보기 위해서는 Plan, Do, See 프로세스 관점으로 해야 할 일을 알아보자.
과학 시험을 잘 보기 위해서는 Plan, Do, See 프로세스 관점으로 다음과 같은 일을 해야 합니다.
Plan:
- 시험 범위 파악: 과목의 전체 범위와 시험에 출제될 내용을 파악합니다.
- 계획 수립: 시험 일주일 전까지 할 일과 시간을 계획합니다. 각 일에 필요한 자료와 교재를 확인하고 준비합니다.
- 목표 수립: 좋은 성적을 얻기 위한 목표를 수립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을 세웁니다.
Do:
- 수업 참여: 수업 시간에 선생님의 강의를 잘 듣고, 궁금한 점은 바로바로 질문하여 이해도를 높입니다.
- 필기 및 복습: 필기를 하고, 복습을 꼼꼼하게 하여 자신이 알고 있는 내용과 모르는 내용을 파악합니다.
- 문제 풀이 연습: 과거 문제를 참고하여 유형을 파악하고, 연습문제를 많이 풀어보며 문제 풀이 능력을 향상시킵니다.
- 실험 경험: 실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실험 내용과 결과를 이해하며, 필요한 경우 스스로 실험을 진행하여 경험을 쌓습니다.
- 관련 자료 수집: 인터넷이나 책 등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스스로 학습하여 이해도를 높입니다.
See:
- 진단: 시험 전, 복습과 연습문제를 통해 자신의 이해도를 진단합니다.
- 개선: 이해가 부족한 부분에 관해서는 추가적인 공부와 복습을 통해 개선합니다.
- 시험 대응: 시험을 보기 전, 긴장을 풀고 충분한 휴식을 취하여 몸과 마음을 가라앉히며, 시험에서 불안하지 않도록 대처합니다.
- 결과 확인: 시험 후, 성적을 확인하고 어느 부분에서 부족한 점이 있었는지 파악하여 앞으로의 학습 계획을 수립합니다.
같은 내용을 조금 다르게 질문하여 대답을 얻었다. 당신은 두 개의 대답에서 어떤 것을 원하는가. 물론 첫째 대답을 원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 둘째 답을 원할 것이다. 그 이유는 대답이 정리되어 나와서 자기도 쉽게 이해가 되고, 타인에게 설명도 쉬우며, 만일 보고서에 사용할 경우 재가공이 거의 필요 없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좋은 답을 얻기 위해서는 무엇을 원하는지 구체적으로 질문해야 한다. 이 책에서는 어떻게 구체적으로 질문할 것인지 학습할 것이다.
참고로 다른 사례도 보자
영화관람에 집중하지 못하는 이유는
영화관람에 집중하지 못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영화관람 중 집중력이 떨어지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주변 환경: 영화관이 시끄럽거나, 좌석이 불편하거나, 영화 시작 전에 적절한 마감 시간이 주어지지 않았다면 영화에 집중하기 어렵습니다.
2. 스트레스와 불안: 일상생활에서의 스트레스와 불안이 영화관람에 집중력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3. 지루함: 일부 사람들은 영화가 지루하다고 느끼거나, 흥미를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4. 기술적 문제: 영화 상영 시스템의 문제나, 영화의 품질이 좋지 않으면 영화관람에 집중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5. 체력적 문제: 지나치게 피곤하거나 배고픈 상태에서 영화를 관람하면 집중하기 어렵습니다. 이러한 이유를 고려하여, 영화를 관람할 때는 적절한 시간과 환경을 선택하고, 스트레스를 줄이는 방법을 찾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영화를 선택할 때 자신의 취향과 관심사를 고려하여 더욱 흥미롭고 재미있는 영화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4M 관점에서 영화관람에 집중하지 못하는 이유를 써보자.
4M 관점에서 영화관람에 집중하지 못하는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
1. 인적 요인 (Man): 주변 환경이나 다른 사람들의 영향으로 영화관람에 집중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주위 사람들이 시끄럽게 웃거나, 휴대폰을 사용하거나, 영화 내용과 관련 없는 이야기를 나누는 등의 행동이 집중력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2. 기계 요인 (Machine): 영화 상영 장비나 좌석 등의 기계적인 문제로 영화관람에 집중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영화 상영 시스템의 문제로 인해 소리나 화면이 흔들리는 경우 등이 있습니다.
3. 재료 요인 (Material): 영화 자체의 퀄리티나 내용이나 장르 등에 따라 영화관람에 집중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본인이 관심 없는 장르의 영화를 본 경우나, 내용이 너무 어려워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 등이 있습니다.
4. 환경 요인 (Method): 영화관람을 위한 준비가 부족하거나, 몸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 즉 체력적 문제로 인해 영화관람에 집중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피곤한 상태에서 영화를 관람하는 경우나, 배가 고파서 집중이 안 되는 경우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4M 관점으로 본다면, 영화관람에 집중하지 못하는 이유는 인적, 기계, 재료, 환경 등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를 고려하여 적절한 영화 선택과 준비를 하면 더욱 효과적인 영화관람을 즐길 수 있을 것입니다.
<이하 생략>
- <본문> 중에서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