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후기(영조~순종)
· ISBN : 9788959661466
· 쪽수 : 390쪽
· 출판일 : 2007-05-14
책 소개
목차
서문
제1장 18세기 동아시아, 무엇이 일어났던가?
잦아지는 국가 간의 분쟁
대몰락의 예상키 어려웠던 번성
도전과 '위대한' 대응의 시대
종족적 중화에서 문화적 중화로
각국 중화주의 속의 평화, 공존
역성혁명이 없는 천황국이 중화
중화주의의 경제관계는?
두 개의 조선 중화주의
중화주의, 그 한계
둥근 지구에서 중심은 나
서학에 대한 고증학의 반응
마테오 리치는 성인
서울특별시장되는 것보다 서양 유학 가겠다
서학에 대한 관심 얼마나 근본적이었던가?
난학, 과학성에 대한 경탄
중국이 서학을 탄압한 이유
기 개념의 변화
이의 개념에도 변화가
사대부를 도태시켜라
백성과 왕이 나라의 주인
민본과 전제군주권의 모순
정조의 군민일체론
변화의 동력으로서의 민
중국ㆍ조선과 너무 다른 일본
18세기는 없어졌는가?
제2장 18세기 서양, 어디로 가고 있었던가?
18세기의 역사적 성격
'장기 18세기'의 역동성
계몽의 세기
풍요의 세기
이성의 냉정성과 역동성
공론 영역의 등장
정치ㆍ국제관계의 틀
절대주의국가 : 봉건국가인가? 근대국가인가?
18세기 : 신분사회인가? 계급사회인가?
영국과 프랑스는 어떻게 다른가?
미국혁명과 프랑스혁명은 왜 18세기에 일어났는가?
미국혁명의 허와 실
프랑스혁명은 계급혁명이었나?
계몽사상이 프랑스혁명에 미친 영향
계몽절대군주의 특징
계몽군주에 대한 역사적 평가
18세기의 전쟁과 국제질서
승리의 관건으로서의 시장 활용
유럽중심주의적 전쟁관
계몽주의의 보편성
계몽주의의 개념
이성 중심의 합리주의
진보사관
자연ㆍ이성ㆍ진보
계몽주의의 종교관
유신론ㆍ이신론ㆍ무신론
계몽주의의 도덕관
과학에 대한 신뢰와 낙관주의
점진적 개혁가로서의 계몽사상가
시민 담론의 대두와 독자 중심의 문학
고전주의와 신고전주의
18세기 연구의 필요성과 중요성
계몽주의는 미완의 기획이다
계몽주의를 옹호해야 할 이유
제3장 18세기 동ㆍ서양의 변화, 무엇이 달랐던가?
근대적 사고의 출발점 : 이성 제일주의
소빙기 자연재해와 과학적 세계관
도덕적 이와 합리적 이성
공론 영역의 등장
신문ㆍ잡지ㆍ살롱ㆍ클럽 중심의 공적 담론
서원ㆍ시사ㆍ문사 중심의 공론
공론과 민의 그리고 왕권
인물성동이논쟁의 역사적 함의
시민사회의 공론과 사림의 공론
유교적 지성과 게몽사상
유교적 순환사관 내에서의 진보성
계몽주의의 역사관 : 진보사관
일본의 근대화 조건
18세기 경학 탐구의 의미
프랑스혁명의 지적 온상으로서 계몽사상
동서양 군주정의 차이점과 공통점
정조, 강희제, 루이14세
법치와 덕치
서민, 시민, 국민
한ㆍ중ㆍ일 서민문화의 상업성
서양 계몽사상의 한계와 동양 도덕주의의 가능성
18세기 연표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홍대용이 <의산문답>에서 얘기하는 것처럼 우리의 주관을 가지고 세계를 보려 하지 말고 하늘에서 봐라. 그러니까 “이천시물(以天視物)하라”는 말입니다. ... 이미 지구가 둥글게 생겼는데 중심이 어디 따로 있느냐, 자기가 사는 데가 중심이 아니냐 하는 것입니다. 이런 새로운 세계관에 근거한 북학론의 중화의식은 중화의식을 거부하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한쪽으로는 실질적인 청조를 인정하여 일종의 청조체제를 수용하는 것이요, 또 하나는 이미 중심은 하나가 아니라 제각기 중심이라 하여, 중화론 자체를 상대화시켜 버리는 새로운 세계관의 제기가 북학론의 기본 논리가 아니겠는가 생각합니다. 그런 면에서 보면 18세기 사상은 전통적인 단일체계의 사상이 아니라 매우 복합적인 것이라 보입니다. -p50-51 중에서
저는 서구의 18세기가 21세기 우리에게 해줄 수 있는 중요한 교훈과 역할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결자해지의 측면에서 서양의 근대가 가져온 여러 가지 재앙들―자연파괴, 식민주의, 제국주의, 경제무역 전쟁, 토착민 학살, 제3세계 수탈 등등―을 해결하기 위해 우리는 ‘근대’가 초기에 지녔던 진정한 합리주의와 참신한 계몽정신을 부활시켜야 할 것입니다. ... 제가 문제시하는 것은 ‘좋은’ 근대가 아닌 ‘나쁜’ 근대입니다. -p223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