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연극 > 전통극
· ISBN : 9788959668793
· 쪽수 : 472쪽
· 출판일 : 2017-06-19
책 소개
목차
‘전통연희 시리즈’를 출간하며
제1부_공연공간과 연극의 전개
제1장 조선시대 공연 개관
1. 궁정(宮廷), 시정(市井), 외방(外方)의 관계
2. 공연공간의 폐쇄성과 개방성
3. 공연예술의 실상
제2장 조선 전기의 연극
1. 궁궐의 세밑 풍경과 관나(觀儺)·관화(觀火)·관처용(觀處容)
2. 궁중 광대의 활동과 배우희(徘優戱)의 공연 양상
3. 광화문 앞 의전 행사와 산대나례(山臺儺禮)
제3장 조선 후기의 연극
1. 판소리의 서울 진출과 시정 예능인의 성장
2. 상업 문화의 형성과 <산대도감극>의 발달
3. 전통 공연예술의 근대적 대응 양상
제2부_공연의 제의성, 오락성, 정치성
제1장 ??월인천강지곡??의 훈민정음 활용과 연행적 유통 양상
1. 머리말
2. ??월인천강지곡??의 훈민정음 활용과 국어학의 정립
3. ??월인천강지곡??의 악장(樂章) 구조와 연행적 유통 양상
4. 맺음말: ??월인천강지곡??의 문화사적 위상
제2장 동아시아의 ‘신성한 산’ 설행에 나타난 욕망과 이념
1. 머리말
2. ‘신성한 산’을 만드는 전통
3. ‘신성한 산’을 연행하는 전통
4. ‘신성한 산’의 욕망과 이념
5. 맺음말
제3장 산대의 이념과 미학
1. 머리말
2. 광화문 네 거리의 산대
3. 산대 위에 펼쳐진 옛이야기
4. 바다 위 신선이 사는 봉래산
5. 금강산 봉우리의 성진과 팔선녀
6. 금강산에서 내려온 노장 스님
7. 맺음말
제4장 ‘놀이하는 임금’, 왕실 놀이의 정치학
1. 머리말
2. ‘유(遊)’의 놀이와 ‘희(戱)’의 놀이
3. ‘몸’의 놀이와 ‘눈’의 놀이
4. 견제와 명분의 줄다리기
5. 맺음말
제3부_왕실극장 연경당의 공간운영과 무대미학
제1장 연경당 진작(演慶堂進爵)의 공간 운영과 극장사적 의의
1. 서론
2. 연경당 진작의 배설 위차(排設位次)
3. 연경당 진작의 극장 구조
4. 연경당 진작의 행위 주체와 동선 운용
5. 결론: 연경당의 극장사적 의의
부록:연경당 진작의 행동 주체와 동선 운용
제2장 연경당 진작(演慶堂進爵)의 관극 체험과 무대미학
1. 머리말
2. 관객의 위치와 시선
3. 초월의 상상과 체험
4. 극중공간의 확장과 중첩
5. 맺음말
제4부_공연공간의 변모와 근대극장의 발전
제1장 <奉使圖>에 나타난 山臺 儺禮의 공연 양상
1. 머리말
2. 산대의 변천 과정
3. 산대의 모양과 규모
4. 산대 나례의 공연방식
5. 맺음말
제2장 인조 이후 나례(儺禮)의 사습(私習)과 산대도감패의 흥행 활동
1. 머리말
2. 나례도감의 변모와 포도청의 역할
3. 나례의 사습(私習)과 흥행 공간의 활성화
4. 산대도감패의 민간 흥행과 놀이꾼의 존재
5. 맺음말
제3장 조선시대 궁정 공연 공간의 변모와 근대 극장의 발전
1. 머리말
2. 궁정 공연 공간의 물리적 구조
3. 궁정 공연 공간의 무대와 객석, 레퍼토리
4. 궁정 공연 공간의 극장사적 의의
5.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