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연극 > 전통극
· ISBN : 9788959668809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17-06-19
책 소개
목차
‘전통연희 시리즈’를 출간하며
제1부_궁정연회의 전통과 정재
제1장 궁정 연회의 전통과 정재(呈才)의 역사적 전개
1. 궁정 연회의 규범
2. 궁정 연회의 공연공간
3. 정재의 이념과 미학
4. 정재의 역사적 전개 양상
제2장 고려시대 정재의 음악과 공연미학
1. 서론
2. 정재의 이념과 공간 운영의 원리
3. 공연공간에 따른 정재와 음악
4. 맺음말
제2부_민간연희의 전승과 변화
제1장 서울의 시정문화와 탈춤의 성장
1. 궁정, 시정, 외방
2. 궁정의 의전과 산대나례
3. 시정의 오락과 산대도감극
4. 극장문화의 형성과 탈춤의 대응 양상
제2장 <본산대놀이>의 형성과 대본의 변모 양상
1. 머리말
2. <본산대놀이>의 형성과 전개
3. <본산대놀이> 대본의 변모 양상
4. 맺음말
제3장 <봉산탈춤>의 웃음 창출 양상과 문화사적 의미
1. 머리말
2. 연극 공연의 층위와 웃음의 양상
3. <봉산탈춤> 웃음거리의 주체와 웃음의 특정성
4. <봉산탈춤> 웃음거리의 타자와 웃음의 배타성
5. <봉산탈춤> 웃음의 전략과 실천
제4장 마당놀이 관객의 ‘웃음으로 하나 되기’
1. 머리말
2. 웃음 찾기
3. 웃음 주기
4. 웃음으로 하나 되기
5. 맺음말
제5장 <변강쇠가>의 가면극 수용 양상과 연희사적 의미
1. 서론
2. 판소리와 가면극의 교섭 양상
3. <변강쇠가>의 가면극 수용 양상
4. <변강쇠가>의 연희사적 의미
5. 결론
부록: 궁중정재(宮中呈才)의 공연공간과 연출원리
1. 머리말
2. 궁정 연회의 규범
3. 궁정 연회의 공연공간
4. 정재의 이념과 미학
5.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