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지속가능한 관광

지속가능한 관광

Alexandra Coghlan (지은이), 최규환, 황영현, 윤해진, 송명근, 강상훈 (옮긴이)
청람
2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9,000원 -0% 0원
870원
28,1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5개 27,11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지속가능한 관광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지속가능한 관광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생활환경계열 > 관광학
· ISBN : 9788959729500
· 쪽수 : 308쪽
· 출판일 : 2023-02-28

책 소개

지속가능한 관광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는 책이다. 지속가능한 관광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것을 달성하기가 왜 어려운지, 그리고 지속가능한 관광의 실제적인 긍정적·부정적 영향이 무엇인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목차

Section 1 서론
Chapter 1 지속가능한 관광의 정의와 기원
1.1 지속가능성의 개념
1.2 지속가능한 개발
1.3 지속가능한 관광
1.4 지속가능한 관광에 대한 생각의 순서
1.5 지속가능한 관광을 위한 제도적 틀
1.6 생태관광: 지속가능한 관광의 대명사
1.7 실행에 있어서의 복잡한 관계
Chapter 2 관광에서 지속가능성을 실천하는 데 있어 도전과제
2.1 지속 가능성에 대한 비즈니스 사례
2.2 관광 분야에 특정된 도전 과제
2.3 기후변화
Chapter 3 관광의 영향
3.1 관광 영향 파악의 문제
3.2 관광의 경제적 영향
3.3 관광의 사회문화적 영향
3.4 관광의 환경적 영향

Section 2 지속가능성의 관리
Chapter 4 지속가능한 관광 정책 프레임워크
4.1 관광: 불명확한 난제
4.2 관광분야 정책 및 계획의 개요
4.3 지속가능한 관광과 관련된 국제 규약
4.4 관광 분야의 국제 규약
4.5 지속 가능한 관광을 위한 공급망 정책
4.6 지속가능한 지역관광 전략계획 및 정책 수립
Chapter 5 거버넌스와 파트너십
5.1 바람직한 거버넌스의 원칙
5.2 바람직한 거버넌스의 개발
5.3 거버넌스 및 파트너십이 직면한 과제
5.4 사례 연구: 골드 코스트(Gold Coast)
5.5 지속가능한 관광을 위한 기타 형태의 파트너십
Chapter 6 윤리와 가치
6.1 윤리의 기초
6.2 관광윤리
6.3 비즈니스 윤리 포지셔닝
6.4 관광업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목소리 내기
Chapter 7 측정 및 도구
7.1 방문객 영향 측정도구
7.2 규제 수단
7.3 경제적 인센티브
7.4 자발적 매커니즘
7.5 지원 매커니즘
Chapter 8 지속가능한 관광의 운영
8.1 경험 경제: 관광객 경험에 지속가능성을 통합
8.2 공동 창출된 경험과 서비스 지배 논리
8.3 지속가능성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8.4 사례 연구: 비즈니스 모델과 지속가능성의 통합

Section 3 지속가능한 관광의 미래
Chapter 9 변화와 혁신
9.1 변화의 이해
9.2 예측
9.3 관광분야의 혁신
9.4 혁신 사례: 가상현실
Chapter 10 결론

저자소개

Alexandra Coghlan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호주 퀸즐랜드에 위치한 Griffith University의 Tourism, Sport, and Hotel Management 학과에서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Dr. Coghlan은 호주의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 해양공원을 포함한 국립공원에서 20년의 경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주된 연구관심 분야는 관광에서의 소비자 행동과 친환경 관광에 대한 것이다. 특히 Dr. Coghlan은 관광객들에게 생태계에서 리프의 복잡성을 알리는 방법으로 가상현실 게임을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Dr. Coghlan은 본 저서(‘An Introduction to Sustainable Tourism’, 2019년 굿펠로우 출판)를 포함하여 관광분야에서 90편 이상의 논문 및 보고서 등의 출판물을 보유하고 있고, 2020년 호주 연구위원회 디스커버리 상을 수상하였다.
펼치기
최규환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동아대학교 관광경영학과 교수 일본 릿쿄대학 관광학 박사 미국 University of Missouri, Columbia 방문교수 (전) 한국관광학회 부회장 (전) 한국관광레저학회 편집위원장 (현) 한국관광레저학회 부회장 <주요 저서 및 논문> ∙관광학총론(공저), 관광학의 이해(공저), 처음 만난 관광학(공저) 등 다수 ∙Meng, B., & Choi, K. (2016). The role of authenticity in forming slow tourists’ intentions: Developing an extended model of goal-directed behavior. Tourism Management, 57, 397-410. ∙지승희, 최규환 (2020). 항공 객실 승무원의 잡 크래프팅과 핵심자기평가에 관한 연구: 긍정적 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44(7), 199-216. 외 다수
펼치기
최규환의 다른 책 >
황영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동아대학교 관광경영학과 교수 미국 University of Illinois 여가관광학 박사 (현) Asia Pacific Tourism Association(APTA) 회장 <주요 저서 및 논문> ∙관광학개론(공저) ∙Pham, D. D., and Hwang, Y.-H.(2022). Halo effects of a country in film-induced tourism: A case study of the Ha Long Bay, Vietnam in ‘Kong: Skull Island’. Journal of Destination Marketing & Management, 25, 100722. ∙왕로, 장지현, 황영현 (2022). 관광정보 탐색을 위한 VR 이용의도의 영향요인: 중국 VR이용자를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46(1), 129-146. 외 다수
펼치기
윤해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동아대학교 관광경영학과 교수 미국 The Ohio State University 호텔외식경영학 박사 미국 The Ohio State University 통계학 석사 <주요 저서 및 논문> ∙Moon, H., Yoon, H. & Han, H. (2017). The effect of airport atmospherics on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testing the moderating role of perceived safety. Journal of Travel & Tourism Marketing, 34(6), 749-763. ∙배윤미, 윤해진 (2022). 항공사의 소셜미디어 품질이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소셜미디어 진정성과 항공사이미지의 이중매개효과 검증. 호텔경영학연구, 31(8), 117-135. 외 다수
펼치기
송명근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동아대학교 관광경영학과 교수 미국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환대산업경영학 박사 미국 Cornell University 환대산업경영학 석사 <주요 저서 및 논문> ?Song, M., Noone, B. M., & Mattila, A. S. (2023). Cross-category add-on bundling: impact of the consumption nature of bundled products on discount framing effectiveness. Journal of Travel Research, 62(1), 197-216. ?Song, M., Noone, B. M., & Han, R. J. (2019). An examination of the role of booking lead time in consumers’ reactions to online scarcity messages. International Journal of Hospitality Management, 77, 483-491. ?Song, M., Noone, B. M., & Mattila, A. S. (2018). A tale of two cultures: Consumer reactance and willingness to book fenced rates. Journal of Travel Research, 57(6), 707-726. 외 다수
펼치기
강상훈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동아대학교 관광경영학과 조교수 미국 Clemson University 관광학 박사 미국 Michigan State University 관광학 석사 <주요 저서 및 논문> ∙Kang, S. (2016). Associations between space–time constraints and spatial patterns of travels, Annals of Tourism Research , 61, 127-141. ∙Kang, S., Lee, G., Kim, J., & Park, D. (2018). Identifying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tourist attraction system in South Korea using GIS and network analysis: An application of anchor-point theory. Journal of Destination Marketing & Management, 9, 358-370. ∙Kang, S., & Nicholls, S. (2021). Determinants of willingness to pay to stay at a green lodging facility. International Journal of Hospitality Management , 94, 102834. 외 다수
펼치기

책속에서

역자 서문

관광이 세계적으로 인류 역사상에 처음 등장한 것은 선사시대 자신과 종족의 생존을 위한 필연적 이동에서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이후 고대 이집트, 그리스, 로마시대를 거치면서 휴식, 오락, 식도락 등 현재의 관광의 목적이나 형태를 거의 갖추게 된다. 중세시대로 넘어오면서 로마제국의 멸망으로 1,000년의 암흑기를 맞이하지만, 십자군 원정에 따른 동서문화 교류가 시작되고 종교목적의 순례관광이 활성화되어 그 명맥을 어렵게 유지해 오다가, 르네상스의 문예부흥과 그랜드투어의 탄생으로 다시 근대관광의 부흥기를 맞이하였다. 이후 교통기관의 발달, 여가시간 및 국민소득의 증대, 매스컴의 발달에 따른 관광자원의 홍보효과로 드디어 대중관광이 탄생하게 되었다.
하지만 대중관광은 특권층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관광을 누릴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였다는 긍정적 평가도 있지만, 동시에 자연환경 및 생태계 파괴, 문화유산의 파괴 및 변용 등 여러 가지 환경문제를 야기시키게 되었다. 이에 대중관광의 악영향을 방지하고 보다 친환경적인 형태의 관광, 다시 말하면 기존의 대중관광을 대신할 수 있는 새로운 관광의 모색이 중시되었는데, 이때 등장한 것이 바로 지속가능한 관광이다.
이제 지속가능한 관광은 어느 특정지역이나 국가만이 아닌 전 인류의 미래 생존을 걸고 다 같이 해결해 나가야 할 중차대한 과제이자 목표이다. 하지만 지속가능한 관광의 이념과 개념이 매우 복잡하고 난해하며 그 적용범위 역시 광범위하여 어떻게 하면 학생들에게 잘 전달할 수 있을까 하고 고심이 많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특히 사례연구를 통하여 지속가 능한 관광의 이념과 개념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교재를 한 번 번역해야겠다는 생각이 계기가 되어 이번에 그 결과물이 나오게 되었다.
‘An Introduction to Sustainable Tourism’이라는 원서는 다른 책과는 달리, 탄탄한 이론을 기반으로 다양한 성공 및 실패사례를 분석하여 성공적인 지속가능한 관광 실현을 위한 핵심요인을 제시하고 동시에 앞으로 지속가능한 관광이 나아갈 방향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받을 만하다.
한편 이 원서를 번역하면서 다음과 같은 점에 역점을 두었다. 첫째, 원서에 충실하여 번역함으로써 분량을 줄이지 않았다. 때로는 의역도 필요하고 분량을 줄이는 것이 효율적이겠지만, 결국 지속가능한 관광에 대하여 원 저자가 소구하고자 하는 철학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전달하기 위해서는 원서에 충실할 수밖에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둘째, 주요 용어에 대하여 한글과 원어를 병기함으로써 원래의 원어가 주는 본질적 의미를 가능한 살리려고 하였다. 셋째, 국제기구나 조직, 특정보고서들은 전체 원어와 함께 일일이 한글로 번역하였으며, 일반인들에게는 다소 생소한 전문용어들 역시 원어 뒤에 바로 그 의미를 구체적으로 풀이해 둠으로써 독자들의 이해를 도우려고 하였다.
이제 번역서를 출판하면서 관광을 전공하고 있는 학생들이나 사회적·환경적 문제에 관심이 많은 일반인 및 실무자들이 지속가능한 관광을 이해하고 실천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먼저 대중관광에 의한 사회적·환경적 악영향을 깊이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가능한 관광의 도전과제들은 무엇인지, 이를 실천하는 정책적 틀과 파트너들과의 협력체제, 그리고 지속가능한 관광의 구현으로 얻을 수 있는 가치는 무엇인지, 그 속에서 개인적으로 내가 할 수 있는 역할은 무엇인지를 진지하게 고민하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