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한문/한자
· ISBN : 9788959967964
· 쪽수 : 488쪽
· 출판일 : 2021-02-20
책 소개
목차
제1부
≪논어≫에 나타난 문학론
1. 문제를 제기하면서
2. ≪논어≫에 나타난 문학론의 예
3. 동양 문학론의 근원 고찰 의의와 전망
≪동인시화≫를 통해 본 서거정의 용사와 점화에 대한 인식
1. ≪동인시화≫에서 서거정은 용사와 점화를 어떻게 바라보았을까?
2. ≪동인시화≫에 나타난 용사론
3. ≪동인시화≫에 나타난 점화론
4. 용사와 점화로 표절 극복
송강 정철의 한시에 나타난 용사와 점화
1. 송강의 한시를 통해 본 용사와 점화 그리고 도습
2. 경서 구절 인용과 창신
3. 전인의 문학 작품 모방과 창신
4. 지나친 연군에 담긴 송강의 의도
고전문학을 통해 본 점화평과 점화 작법의 실재
1. 점화와 표절의 차이
2. 점화론과 점화평
3. 모방을 통한 신의
4. 성숙한 작가는 훔친다
제2부
≪논어≫를 통해 본 공자의 교육관과 활용 방안: 외국인의 한국어 교육 시 시사할 교육방안 제시
1. 공자의 교육관에 따른 외국인의 한국어 학습법
2. 시문학을 통한 성정순화와 풍속의 교화
3. 인인시교의 교육관
4. 현대적 활용 방안
5. 노랫말과 정서순화
중국과 한국의 굴원론: 몇 가지 사례를 중심으로
1. 한?중 지성인들이 생각하는 굴원은?
2. 중국과 한국의 굴원론
3. 충절가 굴원
≪동국이상국집≫을 통해 본 이규보의 포스트휴머니즘
1. 포스트휴머니즘으로 본 이규보
2. 다른 종에 대한 애증
3. 타 계층에 대한 동정
4. 자연과 비인간에 대한 외경심
5. 포스트휴머니즘의 출발점으로서의 이규보
회재 이언적을 통해 본 16세기 전기 조선의 사상적 특징
1. 회재 이언적이 지녔던 사상이란?
2. <무극태극변>?≪대학장구보유≫에 나타난 회재의 사상과 후대의 평가
3. 시문학에 나타난 회재의 사상적 배경 고찰
4. 사상적 다양성이 가능했던 회재 이언적
16세기 초 회재 이언적의 자연관을 통해 본 유자로서의 특성
1. 유자의 자연관
2. 회재의 출처관과 후대의 평
3. 유자의 시문학을 통해 본 자연관
4. 유자의 자연관은 현실을 잊지 않는 자세이다.
율곡 문학론의 유가 문학관적 의의
1. 율곡의 문학론에 반영된 세계관
2. 율곡 문학론의 유가 문학관적 의의
3. 율곡의 유가의 전통적 문학관과 실용적 학풍
송강 정철의 한시에 나타난 작법과 유자의 자연관
1. 송강의 한시 작법과 자연관 알기
2. ≪시경≫과 ≪초사≫의 수용에 따른 작법과 창신
3. 작법을 통해 본 유자의 자연관
4. 유자의 자연관과 송강의 처세
한시를 통해 본 허난설헌의 지향의식
1. 허난설헌의 지향의식 고찰
2. 주체적 자아로서의 여성
3. 글쓰기를 통한 자기 세계 추구
4. 열사의 기풍
5. 시대를 앞서 간 여인 허난설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 책의 464쪽에는 ‘왜 허난설헌이 그 당시의 선구자적 인물이 될 수 있었는가’에 대한 내용이 나온다. 대부분의 연구자들이 허난설헌의 진보적 성향은 손곡 이달의 영향이라고 하였지만, 허난설헌의 선구자적 기상은 집안에서부터 시작되었던 것이다.
“이처럼 아버지와 형제들이 자신들의 뜻이 옳다고 믿으면 행동으로 실천하는 진보적 성향을 지녔던 인물들이다. 이런 집안에서 자란 허난설헌이기에 시대를 앞선 생각은 당연한 결과인 것이다. 난설헌의 문장이 家學가학의 결과라고 허균도 이미 밝힌 바 있다. 시대를 앞서 간 여인은 이렇듯 집안에서부터 시작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