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생활환경계열 > 관광학
· ISBN : 9788960354302
· 쪽수 : 180쪽
· 출판일 : 2013-12-01
목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1. 연구의 범위
2. 연구의 방법
제2장 지역문화자원 융합의 의미
제1절 지역문화자원의 정의
1. 지역과 지역문화의 개념
2. 문화자원의 개념
제2절 융합과 창조성
1. 융합의 정의
2. 융합과 창조성 간의 관계
제3절 지역문화 관련 정책의 흐름
제3장 지역문화자원 융합 개념의 재정립
제1절 융합관점의 지역문화자원 분류체계
1. 융합관점에서 지역문화자원 재분류 필요성
2. 융합관점의 지역문화자원 분류체계
제2절 지역문화자원 융합의 환경
1. 문화분야의 높은 암묵성
2. 문화자원 융합의 4가지 환경
제3절 지역문화자원 융합의 지속가능성
1. 지역문화정책에서 주요하게 거론되는 공통 요인들
2. 지속가능성을 위한 지역 자발성
제4장 지역문화자원 융합의 사례
제1절 사례수집 및 분석방법
1. 사례수집 방법
2. 사례분석 방법
제2절 유형Ⅰ: 사고화 환경의 융합사례
1. 대전스토리 창착스쿨
2. 경주 최부자 아카데미
3. 대전 '주화' 디지털 콘텐츠 사업
제3절 유형Ⅱ: 연결화 환경의 융합사례
1. 평창 감자꽃스튜디오
2. 부천 고리울 골목길 프로젝트
3. 제천 중앙시장 재생사업
4. 진안 마을만들기사업
제4절 유형Ⅲ: 가치공유 환경의 융합사례
1. 강릉커피축제
2. 춘천 실레이야기마을 조성사업
3. 고양호수예술축제
제5절 유형Ⅳ: 가치확장 환경의 융합사례
1. 경주, 공주, 부여, 익산 고도 보존육성사업계획
제6절 소결
제5장 지역문화자원 융합을 위한 정책
제1절 문화원형 발굴형 정책
제2절 지역문화 친화형 정책
제3절 지역문화 공유형 정책
제4절 지역문화 확장형 정책
제6장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