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책/행정/조직
· ISBN : 9788960355514
· 쪽수 : 202쪽
· 출판일 : 2015-08-01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연구 배경
2. 연구 목적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1. 연구 범위
2. 연구 방법
3. 연구 수행 절차
제2장 관광통역안내사 제도 현황
제1절 관광통역안내사 제도 추진경위
제2절 관광통역안내사 자격취득 현황
1. 관광통역안내사 자격시험 개요
2. 관광통역안내사 자격취득 현황
제3절 관광통역안낸사 교육 현황
1. 역량강화교육
2. 프리미엄 가이드양성교육
제4절 관광통역안내사 관련 최근 정책 추진 현황 및 주요 이슈
1. 관광통역안내사 관련 최근 정책 추진 현황
2. 관광통역안내사 관련 최근 주요 이슈
제3장 관광통역안내사 관련 주요 국외례 분석
제1절 분석 개요
제2절 갱신제 도입사례
1. 싱가포르
2. 호주
3. 홍콩
4. 일본
제3절 등급제 도입사례
1. 중국
2. 영국
3. 프랑스
제4절 요약 및 시사점
제4장 이해관계자 의견조사ㆍ분석
제1절 조사개요
제2절 관광통역안내사 의견조사 결과
1. 1차 소규모 그룹인터뷰 조사결과
2. 2차 소규모 그룹인터뷰 조사결과
3. 3차 소규모 그룹인터뷰 조사결과
제3절 여행사 의견조사 결과
1. 관광통역안내사 자격증 갱신제 도입 관련
2. 관광통역안내사 등급제 도입 관련
3. 애로사항 또는 정책적 요구사항
제4절 요약 및 시사점
제5장 관광통역안내사의 질적 향상을 위한 정책 추진방안
제1절 기본방향
1. 관광통역안내사의 역할 및 중요성
2. 관광통역안내 서비스 질적 수준 제고의 필요성
3. 정책방향
4. 관광통역안내사 갱신제와 등급제 비교 검토
5. 추진과제 설정
제2절 정책과제
1. 갱신제와 연동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2. 갱신제 동비을 위한 기반 구축
3. 관광통역안내사 대상 다각적 교육지원 강화
4. 우수 가이드 선발 및 지원
5. 관광통역안내사 자격시험 개선
6. 관광통역안내사의 활동 기반 구축 강화
7. 주요 역사문화 지구 대상 안내해설 서비스 제공자 지정
8. 요약
제6장 결론 및 정책제언
제1절 요약 및 결론
제2절 정책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