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문화콘텐츠 해외 홍보인프라 고도화 방안 연구

문화콘텐츠 해외 홍보인프라 고도화 방안 연구

(기본연구 2016_42)

채지영 (지은이)
한국문화관광연구원
1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0,000원 -0% 2,500원
500원
12,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문화콘텐츠 해외 홍보인프라 고도화 방안 연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문화콘텐츠 해외 홍보인프라 고도화 방안 연구 (기본연구 2016_42)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생활환경계열 > 관광학
· ISBN : 9788960356535
· 쪽수 : 189쪽
· 출판일 : 2016-12-01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연구 배경
2. 연구 목적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1. 연구 범위
2. 연구방법

제2장 국가브랜드와 국가 홍보정책
제1절 국가이미지와 국가브랜드
1. 국가이미지
2. 국가브랜드
3. 국가이미지, 국가정체성, 국가브랜드
4. 대한민국의 이미지와 국가브랜드
5. 국가이미지 · 국가브랜드 제고에 미치는 문화콘텐츠의 영향

제2절 역대 정부의 해외 홍보정책
1. 이승만 ~ 장면 정부
2. 박정희 ~ 노태우 정부
3. 김영삼 정부
4. 김대중 ~ 노무현 정부
5. 이명박 정부
6. 박근혜 정부(2013년 ~ 현재)

제3절 시사점

제3장 해외 홍보인프라 현황
제1절 문화체육관광부 및 산하기관
1. 문화체육관광부
2. 산하기관

제2절 외교부 및 산하 기관
1. 외교부
2. 산하기관

제3절 산업통상자원부 및 산하기관
1. 산업통상자원부
2. 산하기관

제4절 미래창조과학부 및 산하기관
1. 미래창조과학부
2. 산하기관

제5절 한국 민간인프라 사례
1. CJ E&M의 KCON
2. KT의 K-live
3. SM의 홀로그램 전용관

제6절 시사점

제4장 외국의 해외 홍보인프라 사례
제1절 프랑스의 해외 홍보정책 및 인프라
1. 프랑스 해외 홍보정책의 역사
2. 퀼튀르프랑스(Cultures France)
3. 앵스티튜 프랑세(Institut Francais)
4. 알리앙스 프랑세즈(Alliance FranCaise)

제2절 영국의 해외 홍보정책 및 인프라
1. 문화외교정책의 역사와 정책
2. 브리티시 카운슬(British Council)

제3절 일본 해외 홍보정책 및 인프라
1. 문화외교정책의 역사
2. 쿨재팬(Cool Japan)
3. 국제교류기금(Japan Foundation)
4. 홍보문화센터(일본문화원)
5. 재팬하우스(Japan House)

제4절 문화콘텐츠 민간 인프라 사례 : 엡콧(EPCOT)
1. 월트디즈니월드 엡콧의 역사
2. 엡콧의 구성 및 현황
3. 엡콧 내 국가관
4. 월드 쇼케이스 사업 확장 전망

제5절 시사점

제5장 해외 홍보인프라 건립에 대한 전문가 의견조사
제1절 의견조사 개요

제2절 의견조사 결과
1. 문화콘텐츠 홍보인프라 구축 피룡
2. 기존 인프라들의 역할 중첩
3. 중앙 콘트롤타워 필요
4. 해외 홍보인프라의 입지
5. 해외 홍보인프라의 컨셉

제3절 시사점

제6장 문화콘텐츠 해외 홍보인프라 고도화를 위한 정책 방안
제1절 분석 결과
1. 한국에 대한 체험 및 홍보 공간 분산
2. 콘텐츠의 중첩
3. 현지 수요에 맞는 한류 대중문화콘텐츠 활용 미약
4. 해외 홍보 관련 정부 부처 간 연계 부족
5. 콘트롤타워 부재
6. 한국의 민간 해외 홍보인프라 분석의 시사점
7. 외국의 해외 홍보인프라 분석의 시사점
8. 외국 민간 홍보인프라(엡콧) 내 한국관 건립 효과성 분석

제2절 문화콘텐츠 해외 홍보인프라 고도화를 위한 정책 방안
1. 해외 홍보 업무를 총괄하는 콘트롤타워 설립
2. 대한민국 해외 홍보 그랜드 플랜 수립
3. 코리아센터 확산: Co-Location & 프리미엄화
4. 해외 홍보의 핵심 콘텐츠: 한국어 및 한류 대중문화콘텐츠
5. 해외 소비자 관점에서의 접근

제7장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소개

채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문화관광연구원(KCTI) 콘텐츠연구본부 선임연구위원. 미국 조지워싱턴 대학(George Washington University)에서 MBA를 받고,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소비자·광고 심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본 동경대학교 사회심리학 연구실과 시즈오카현립대학 국제관계연구과 현대한국조선연구센터에서 연구하였으며, 한국문화관광연구원에서는 한류, 콘텐츠산업 정책, 문화상품소비자 등을 주로 연구해왔다. 『콘텐트산업 트렌드 2028 (2023)』, 『한·일 문화콘텐츠 교류 현황 및 활성화 방안(2023)』, 『대중문화콘텐츠가 국가브랜드 증진에 미친 영향 연구(2022)』, 『한류 20년, 성과와 미래전략(2020)』 및 『2025 대한민국 대전망(2024)』, 『한류포에버(2012)』,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이해(2009)』 등 다수의 정책 보고서와 저서가 있다.
펼치기
채지영의 다른 책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