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대중문화론
· ISBN : 9791191670738
· 쪽수 : 440쪽
· 출판일 : 2025-06-10
책 소개
목차
발간사 005
기획자의 글 007
편집자의 글 014
1부
담론과 공간
한류, 그 거대한 흐름을 읽다
01 한류: 21세기 글로벌 문화 지형도에서 길을 찾다 • 심두보 047
한류의 형성과 발전 048
혼종성과 정체성: 한류 콘텐츠의 진화와 쟁점 053
한류 시대 구분 담론의 비판적 성찰과 제언 055
한류인가, K-컬처인가 059
지속가능성을 위하여 061
02 한류와 K-콘텐츠 담론의 지평 확장 • 배기형 067
K-콘텐츠의 개념과 특성 068
한류 담론의 특성과 흐름 071
산업적 관점의 담론 072
수용자 중심의 담론 076
K-콘텐츠에서 K-콘텍스트로 082
글로벌 문화 지형에서의 함의 085
한류의 공간
03 동북아시아의 한류: 역사적 맥락, 현재의 유대, 미래의 전망 • 심두보 091
중국의 한류 091
대만의 한류 096
일본의 한류 100
몽골의 한류 103
북한의 한류 106
한류 현상의 중심, 동북아시아 108
04 동남아시아의 한류: 문화 근접성 너머, 수용의 맥락을 이해하기 • 심두보 113
‘문화 근접성’과 한류: 이론적 한계와 새로운 접근 115
초기 동남아 한류의 특징 116
싱가포르 한류 팬덤의 성장 118
한류 수용의 동기와 문화적 의미 120
동남아 한류 수용에 대한 성찰과 향후 과제 122
05 유럽 한류의 역동적 진화 • 정수경 125
형성과 확산의 연대기 126
확산의 주체, 팬덤 131
엇갈린 시각 134
지속가능성의 과제 139
06 미국 내 한류의 진화와 방향성 • 홍지영 143
강남스타일: 한류의 전환점 144
BTS의 영향력: K-팝 팬덤 문화 147
블랙핑크와 로제: 새로운 도약 152
K-드라마 수용과 효과 154
한류의 성장과 글로벌 영향력 158
07 중남미 한류의 현황과 과제: 브라질·멕시코·페루 사례를 중심으로 • 정길화 163
문화 혼종성과 문화 전이(轉移) 164
한류 확산의 역사적 전개 165
중남미 한류의 특징 166
주체들의 등장: 팬덤, 미디어, 그리고 디아스포라 168
경제적 파급과 산업적 확장 170
중남미 한류의 문화정치성과 포스트-K 가능성 172
에필로그: 남반구에서 다시 중심을 꿈꾸다 173
2부
행위자와 주체
한류, 그 역동적인 생태계를 들여다보다
08 한류 콘텐츠의 생산자: K-음악과 영상 시장의 재편 흐름 • 조영신 177
| 음악 분야 | 178
1세대 K-팝 태동기 (1990년대 중반~2000년대 초반) 178
2세대 K-팝 성장기(2000년대 중반~ 2010년대 초반) 182
3세대 K-팝 글로벌화(2010년대 중반~2020년 초반) 184
4세대 팬덤 경제와 기술 확장기(2020년대 이후) 187
| 영상분야 | 191
09 한류와 글로벌 플랫폼: MTV에서 유튜브를 거쳐 넷플릭스까지 • 조영신 199
신규 플랫폼과 음악 한류 200
원더걸스와 소녀시대의 다른 선택 206
신규 플랫폼과 영상산업 211
10 한류의 진정한 주체, K-팬덤 • 박소정 219
K-팬덤의 특성 221
K-팬덤이 만들어내는 가치와 의미 226
팬에서 더 넓은 향유층으로 230
지속가능한 K-팬덤 233
11 한류와 대한민국 정부 정책과의 상관 관계 • 이성민 237
한류와 대한민국 정부 정책 238
정부와 공공기관의 역할 241
정책의 시기별 흐름 244
3부
콘텐츠와 기술
한류를 이끌어가는 두 엔진을 탐구하다
12 산업화 성공이 만든 기적: K-영화의 성공 비결 • 곽동균 257
영화 시장의 특성 258
산업적 부침과 정부 통제 261
성공의 비결 264
새로운 도전 과제 271
13 동시대 정서와 감성의 통로, 한국 드라마의 발전 경로 • 정수경 275
드라마 한류 전사(前史), 1970년대부터 90년대까지 276
한류, 확산 조짐의 시작 280
다채널이 가져온 변화 284
웹툰, 웹소설이 넓혀온 소재와 서사 287
로맨스물의 진화와 여성상의 변화 291
넷플릭스가 가져온 기회와 위기 295
지속가능한 해법 찾기 299
14 K-팝의 진화와 글로벌 확장 • 야마모토 조호(山本淨邦) 305
서태지와 아이들의 등장 306
K-팝의 기반을 마련한 1세대 아이돌 308
글로벌 시장으로 확장 310
디지털 시대의 전성기 313
글로벌 확장의 근거 316
경제적 영향 318
경계를 넘어 미래로 321
15 한류의 새로운 구심점, 웹툰과 웹소설 • 이진 325
웹툰 · 웹소설의 부상 326
형식적 · 내용적 특성 331
콘텐츠 IP 확장과 웹툰 · 웹소설 336
한국형 스토리 데이터베이스 342
16 게임과 e스포츠, K-컬처의 새로운 중심 • 최은경 〮 오병민 347
전자오락실에서 PC방까지 348
온라인 게임 전성시대 351
한국 e스포츠가 이끈 영광의 시대 353
e스포츠와 K-팬덤 356
융합산업으로 성장하는 e스포츠 360
17 생성형 AI 시대의 K-콘텐츠산업 전망 • 유진희 365
콘텐츠 분야별 활용 현황 368
콘텐츠 시장에 가져올 변화 372
인공지능 시대의 K-콘텐츠 전략 381
맺음말 386
18 한국형 가상(virtual) 캐릭터의 시대별 변화 양상 • 최원재 391
K-버추얼 휴먼 1기 392
K-버추얼 휴먼 2기 393
확대와 인식 변화 397
K-버추얼 휴먼 3기 398
K-버추얼 휴먼 4기 401
K-버추얼 휴먼 5기 404
가상 인간성과 한류 405
19 K-라이프 스타일: 생활 속을 파고드는 한국 상품들 • 채지영 411
한류의 뚜렷한 확산 412
한류 소비의 발전 단계 413
한류의 파급 효과 416
한류 스타와 함께 소비하는 화장품 417
“드라마 등장 음식 원해요” 421
한국말로 이야기하기 424
한국 생활 체험하기 425
소셜미디어 활용 428
한국에 대한 시선의 변화 429
저자 소개 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