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류 101

한류 101

심두보, 배기형, 정수경, 홍지영, 정길화, 조영신, 박소정, 이성민, 곽동균, 야마모토 조호, 이진, 최은경, 오병민, 유진희, 최원재, 채지영, 정호재 (엮은이)
동국대학교출판부
3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2,300원 -5% 0원
1,020원
31,280원 >
30,600원 -10% 0원
0원
30,6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류 10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류 101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대중문화론
· ISBN : 9791191670738
· 쪽수 : 440쪽
· 출판일 : 2025-06-10

책 소개

K-콘텐츠의 산업적 성공을 넘어서, 한류를 하나의 문화적 장(場)으로 인식하고 그 본질과 미래 가능성을 체계적으로 조망한 입문서이자 정론서이다.

목차

발간사 005
기획자의 글 007
편집자의 글 014

1부
담론과 공간
한류, 그 거대한 흐름을 읽다


01 한류: 21세기 글로벌 문화 지형도에서 길을 찾다 • 심두보 047
한류의 형성과 발전 048
혼종성과 정체성: 한류 콘텐츠의 진화와 쟁점 053
한류 시대 구분 담론의 비판적 성찰과 제언 055
한류인가, K-컬처인가 059
지속가능성을 위하여 061

02 한류와 K-콘텐츠 담론의 지평 확장 • 배기형 067
K-콘텐츠의 개념과 특성 068
한류 담론의 특성과 흐름 071
산업적 관점의 담론 072
수용자 중심의 담론 076
K-콘텐츠에서 K-콘텍스트로 082
글로벌 문화 지형에서의 함의 085

한류의 공간
03 동북아시아의 한류: 역사적 맥락, 현재의 유대, 미래의 전망 • 심두보 091
중국의 한류 091
대만의 한류 096
일본의 한류 100
몽골의 한류 103
북한의 한류 106
한류 현상의 중심, 동북아시아 108

04 동남아시아의 한류: 문화 근접성 너머, 수용의 맥락을 이해하기 • 심두보 113
‘문화 근접성’과 한류: 이론적 한계와 새로운 접근 115
초기 동남아 한류의 특징 116
싱가포르 한류 팬덤의 성장 118
한류 수용의 동기와 문화적 의미 120
동남아 한류 수용에 대한 성찰과 향후 과제 122

05 유럽 한류의 역동적 진화 • 정수경 125
형성과 확산의 연대기 126
확산의 주체, 팬덤 131
엇갈린 시각 134
지속가능성의 과제 139

06 미국 내 한류의 진화와 방향성 • 홍지영 143
강남스타일: 한류의 전환점 144
BTS의 영향력: K-팝 팬덤 문화 147
블랙핑크와 로제: 새로운 도약 152
K-드라마 수용과 효과 154
한류의 성장과 글로벌 영향력 158

07 중남미 한류의 현황과 과제: 브라질·멕시코·페루 사례를 중심으로 • 정길화 163
문화 혼종성과 문화 전이(轉移) 164
한류 확산의 역사적 전개 165
중남미 한류의 특징 166
주체들의 등장: 팬덤, 미디어, 그리고 디아스포라 168
경제적 파급과 산업적 확장 170
중남미 한류의 문화정치성과 포스트-K 가능성 172
에필로그: 남반구에서 다시 중심을 꿈꾸다 173

2부
행위자와 주체
한류, 그 역동적인 생태계를 들여다보다


08 한류 콘텐츠의 생산자: K-음악과 영상 시장의 재편 흐름 • 조영신 177
| 음악 분야 | 178
1세대 K-팝 태동기 (1990년대 중반~2000년대 초반) 178
2세대 K-팝 성장기(2000년대 중반~ 2010년대 초반) 182
3세대 K-팝 글로벌화(2010년대 중반~2020년 초반) 184
4세대 팬덤 경제와 기술 확장기(2020년대 이후) 187
| 영상분야 | 191

09 한류와 글로벌 플랫폼: MTV에서 유튜브를 거쳐 넷플릭스까지 • 조영신 199
신규 플랫폼과 음악 한류 200
원더걸스와 소녀시대의 다른 선택 206
신규 플랫폼과 영상산업 211

10 한류의 진정한 주체, K-팬덤 • 박소정 219
K-팬덤의 특성 221
K-팬덤이 만들어내는 가치와 의미 226
팬에서 더 넓은 향유층으로 230
지속가능한 K-팬덤 233

11 한류와 대한민국 정부 정책과의 상관 관계 • 이성민 237
한류와 대한민국 정부 정책 238
정부와 공공기관의 역할 241
정책의 시기별 흐름 244

3부
콘텐츠와 기술
한류를 이끌어가는 두 엔진을 탐구하다


12 산업화 성공이 만든 기적: K-영화의 성공 비결 • 곽동균 257
영화 시장의 특성 258
산업적 부침과 정부 통제 261
성공의 비결 264
새로운 도전 과제 271

13 동시대 정서와 감성의 통로, 한국 드라마의 발전 경로 • 정수경 275
드라마 한류 전사(前史), 1970년대부터 90년대까지 276
한류, 확산 조짐의 시작 280
다채널이 가져온 변화 284
웹툰, 웹소설이 넓혀온 소재와 서사 287
로맨스물의 진화와 여성상의 변화 291
넷플릭스가 가져온 기회와 위기 295
지속가능한 해법 찾기 299

14 K-팝의 진화와 글로벌 확장 • 야마모토 조호(山本淨邦) 305
서태지와 아이들의 등장 306
K-팝의 기반을 마련한 1세대 아이돌 308
글로벌 시장으로 확장 310
디지털 시대의 전성기 313
글로벌 확장의 근거 316
경제적 영향 318
경계를 넘어 미래로 321

15 한류의 새로운 구심점, 웹툰과 웹소설 • 이진 325
웹툰 · 웹소설의 부상 326
형식적 · 내용적 특성 331
콘텐츠 IP 확장과 웹툰 · 웹소설 336
한국형 스토리 데이터베이스 342

16 게임과 e스포츠, K-컬처의 새로운 중심 • 최은경 〮 오병민 347
전자오락실에서 PC방까지 348
온라인 게임 전성시대 351
한국 e스포츠가 이끈 영광의 시대 353
e스포츠와 K-팬덤 356
융합산업으로 성장하는 e스포츠 360

17 생성형 AI 시대의 K-콘텐츠산업 전망 • 유진희 365
콘텐츠 분야별 활용 현황 368
콘텐츠 시장에 가져올 변화 372
인공지능 시대의 K-콘텐츠 전략 381
맺음말 386

18 한국형 가상(virtual) 캐릭터의 시대별 변화 양상 • 최원재 391
K-버추얼 휴먼 1기 392
K-버추얼 휴먼 2기 393
확대와 인식 변화 397
K-버추얼 휴먼 3기 398
K-버추얼 휴먼 4기 401
K-버추얼 휴먼 5기 404
가상 인간성과 한류 405

19 K-라이프 스타일: 생활 속을 파고드는 한국 상품들 • 채지영 411
한류의 뚜렷한 확산 412
한류 소비의 발전 단계 413
한류의 파급 효과 416
한류 스타와 함께 소비하는 화장품 417
“드라마 등장 음식 원해요” 421
한국말로 이야기하기 424
한국 생활 체험하기 425
소셜미디어 활용 428
한국에 대한 시선의 변화 429

저자 소개 433

저자소개

정길화 (엮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한류융합학술원 원장이자 특임교수. 문화방송(MBC) PD로 재직하며 《인간시대》, 《PD수첩》 등을 연출했고, 제12대 한국PD연합회장을 역임했다. MBC 중남미지사장 겸 특파원으로 파견되어 콘텐츠 비즈니스와 한류 현장 취재를 병행했으며, 귀국 후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브라질 등 중남미 한류 팬덤을 주제로 언론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아주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겸임교수,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KOFICE) 원장을 지냈다. 콘텐츠 창·제작, 유통과 마케팅, 연구 및 행정 등 한류 전반을 아우르는 실무와 연구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저서로는 『기록의 힘 증언의 힘』, 『오징어 게임과 콘텐츠 혁명』(공저, 2023년 세종도서 선정), 『당신의 발밑에는 피렌체보다 화려한 부여가 있다』(공저) 등이 있다. 한국방송학회 이사, 방송대상 및 이달의 좋은 프로그램 심사위원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K콘텐츠아카데미포럼(KOCAF) 회장으로 있다.
펼치기
채지영 (엮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문화관광연구원(KCTI) 콘텐츠연구본부 선임연구위원. 미국 조지워싱턴 대학(George Washington University)에서 MBA를 받고,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소비자·광고 심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본 동경대학교 사회심리학 연구실과 시즈오카현립대학 국제관계연구과 현대한국조선연구센터에서 연구하였으며, 한국문화관광연구원에서는 한류, 콘텐츠산업 정책, 문화상품소비자 등을 주로 연구해왔다. 『콘텐트산업 트렌드 2028 (2023)』, 『한·일 문화콘텐츠 교류 현황 및 활성화 방안(2023)』, 『대중문화콘텐츠가 국가브랜드 증진에 미친 영향 연구(2022)』, 『한류 20년, 성과와 미래전략(2020)』 및 『2025 대한민국 대전망(2024)』, 『한류포에버(2012)』,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이해(2009)』 등 다수의 정책 보고서와 저서가 있다.
펼치기
배기형 (엮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방송공사 프로듀서, 문화콘텐츠학 박사, 〈TV는 사랑을 싣고〉, 〈체험 삶의 현장〉, 〈연예가중계〉, 〈TV 책을 말하다〉 등 다수의 교양/예능 프로그램을 제작했다. KBS에서 국제협력실장과 팀장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콘텐츠와 채널의 해외 마케팅을 담당하고 있다. 국제프로젝트 전문가로서 아태방송연맹(Asia-Pacfic Broadcasting Union)에 초청되어 ABU 송 페스티벌과 CARE 국제공동제작 다큐멘터리 등을 기획, 진행하였다. 저서로 『K-콘텐츠와 새로운 한류 정경』, 『AI 시대의 PD』, 『콘텐츠가 너희를 자유롭게 하리라』, 『텔레비전 콘텐츠 마켓과 글로벌 프로듀싱』, 『국경없는 TV, 경쟁하는 프로그램』, 『OTT 서비스의 이해』, 『MCN』, 『국제공동제작』, 『라이브 커머스』, 『다큐멘터리 피칭』 등이 있으며 다수의 K-콘텐츠 관련 논문과 칼럼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심두보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성신여자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미국 위스콘신대학교(University of Wisconsin at Madison)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은 후 싱가포르국립대학교(NUS)에서 조교수로 재직했으며, 한류와 아시아 대중문화, 글로벌 미디어산업에 관한 연구를 수행해왔다. 저역서로는 『한류가 뭐길래』, 『케이팝은 흑인음악이다』, 『Pop Culture Formations across East Asia』(2011년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선정), 『미디어의 이해』 등이 있으며, International Journal of Cultural Studies, Journal of Fandom Studies, Asian Communication Research 등 국내외 학술지의 편집위원이자,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진흥사업위원회 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성신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학장, 한국소통학회 회장, 서울문화재단 및 인천문화재단 이사, 서울드라마어워즈 심사위원 등을 역임한 바 있다.
펼치기
이진 (엮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융합콘텐츠학과에서 “디지털 게임의 모빌리티 연구”(2018)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연구 분야는 디지털 스토리텔링 전반으로,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웹콘텐츠와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IP, 메타버스 등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문화콘텐츠 분야에 발맞추어 연구 분야를 넓히고 있다. 저서로 『게임과 인공지능』(2024), 『스토리텔링 입문』(공저, 2023) 『K-스토리텔링』(공저, 2022), 『모바일 게임 스토리텔링』(2020), 『게임 사전』(공저, 2016),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이해』(공저, 2015)가 있다. 논문은 “AI 기반 영상 콘텐츠 저작도구의 유형 및 동향”(2024), “메타버스의 캐릭터 재현 연구”(2024), “메타버스 개념과 유형에 대한 시론”(2021), “게임 IP 활용에 대한 미디어 산업 종사자들의 인식 연구”(2021), “숏폼 동영상 콘텐츠 유형 연구”(2020)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유진희 (엮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겸임교수. 한양대학교에서 문화콘텐츠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연세대 정보대학원에서도 ‘ICT 및 콘텐츠’로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2002년부터 종합광고대행사, 외국계 콘텐츠 기업, 방송사, IT 플랫폼사, 협회, 제작사 등에서 근무하면서, 콘텐츠 투자-편성/유통-마케팅, 브랜드 마케팅 기획 총괄, 대외협력, IPO 상장 TF 및 기업경영전략 등 다양한 실무경험을 거쳤다. 현재는 코스닥 상장사에서 IR 담당 이사로 재직 중이다. 주 연구분야는 뉴미디어산업, 콘텐츠 마케팅, 기업경영 전략 등 비즈니스 및 산업 정책이며, 한류 관련한 저서로는 『문화원형과 콘텐츠의 세계(공저, 푸른사상)』가 있다.
펼치기
이성민 (엮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디어영상학과 부교수.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문화 정책 분야의 국책 연구기관인 한국문화관광연구원에서 재직했다. 문화체육관광부 문화 다양성위원회 민간위원을 맡고 있으며, 미디어콘텐츠산업 융합발전위원회 전문위원, 한국방송학회 총무이사, 한국언론학회 연구이사 등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 『한류 탐색: 역사와 이론』(공저, 2024), 『디지털 미디어 인사이트 2025』(공저, 2024), 『언론산업 인공지능(AI) 활용방안 연구』(공저, 2023), 『영상문화콘텐츠산업론』(공저, 2022), 『오징어 게임과 콘텐츠 혁명』(공저, 2022) 등이 있다.·
펼치기
박소정 (엮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ERICA 문화콘텐츠학과 조교수.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후, 대중문화와 디지털 문화에 대해 가르치고 연구한다. 특히 한류와 K-콘텐츠가 생산되고 수용되는 방식과 그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담론 및 가치에 대해 다종의 연구를 수행했다. 또한, 새롭게 부상하는 디지털 플랫폼이 만들어내는 콘텐츠 문화와 수용자 문화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고 있다. 저서인 『미백: 피부색의 문화정치』(2022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2023년 ICAS 한국어 우수 학술도서)를 통해 한국 미디어 문화의 핵심 미학인 미백과 K-뷰티에 대해 포스트식민주의적인 해석을 제시했으며, 이를 토대로 한국 사회의 종족-미디어정경(ethnomediascapes)에 대한 탐구를 지속하고 있다.
펼치기
조영신 (엮은이)    정보 더보기
미디어, ICT산업 및 콘텐츠 비즈니스 전문가로서 기업, 기관, 학계를 아우르며 급변하는 글로벌 미디어산업과 콘텐츠 비즈니스의 생태계 변화를 분석하고 있다.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미디어산업의 트렌드 분석과 시장 예측을 전문적으로 수행해왔다. SK경영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과 SK브로드밴드 경영전략그룹장을 역임한 바 있으며, 현재는 프리랜서 미디어산업 평론가이자 동국대학교 대우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애프터 넷플릭스』와 『AI와 레거시 콘텐츠 산업』이 있다.
펼치기
곽동균 (엮은이)    정보 더보기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미디어정책연구실 연구위원. 미국 인디애나대학교(Indiana University Bloomington)에서 미국 영화산업의 수직결합 흥망성쇠에 관한 연구로 매스커뮤니케이션 박사학위를 받은 후, 국책 연구기관인 KISDI에서 방송을 비롯한 미디어 정책을 연구해 왔다. 정책연구 보고서로 『스마트 미디어 산업 발전 전략 연구(2014)』, 『미디어 상품의 문화적 할인 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2015)』, 『인터넷 동영상 서비스에 대한 합리적 제도화 방안 연구(2015)』, 『인터넷 동영상 콘텐츠 유통과 소비에 관한 실태조사 및 통계 체계 구축 (2018~2021)』 등을 발간 했다. 〈방송문화연구〉, 〈미디어 경제와 문화〉 등의 편집위원과 〈방송통신연구〉의 편집이사를 역임했으며, 2025년에는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편집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펼치기
정호재 (엮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한류융합학술원 전임연구원. 싱가포르국립대학교(NUS)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아세안 및 한류 전문가로, 동아시아 정치·미디어와 대중문화의 교차점을 연구해왔다. 동아일보와 채널A 등에서 기자로 활동하며 국제·경제·문화 분야를 두루 취재했고, 이후 동아시아 사회에 대한 심층적 연구를 위해 싱가포르로 이동, 미얀마와 한국의 재난 보도 방식에 대한 비교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특히 국가미디어를 중심으로 한 아시아 국가의 정치성과 사회 구조에 주목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아시아적 관점’의 가능성을 탐색했다. 『다시, K-를 보다: 한류는 어떻게 국경을 넘어 문명이 되었는가』(2021), 『아시아 시대는 케이팝처럼 온다』(2020) 등 저서를 통해 한류의 확장성과 문명적 함의를 조명했다.
펼치기
최은경 (엮은이)    정보 더보기
한신대학교 평화교양대학 영상콘텐츠전공 부교수. 현재 e스포츠융합 전공대학원 주임 및 휴먼케어서비스센터장을 겸직하고 있다. 영국 러프버러대학교(Loughborough University)에서 커뮤니케이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이후 한국방송학회, 한국언론정보학회,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한국게임학회 등에서 활동 중이다. 서울시 고등학교 인정 교과서 『e스포츠 실습』(2021), 『e스포츠 윤리』(2022), 『e스포츠 선수 심리』(2023), 중학교 교과서 『이스포츠 이해』(2025), 단행본 『AI와 이스포츠』(2025, 커뮤니케이션북스) 등 주요 교재와 연구서를 집필했다. 주요 논문으로는 「이스포츠 종목에 관한 비판적 고찰」(2020), 「이스포츠의 대학 교육 필요성과 정당성에 관한 연구」(2020), 「국제 이스포츠 리그 표준화 가능성 고찰」(2021), “Establishing Global Standards for Esports: A Comprehensive Framework for Interoperability, Fair Play, and Safety in a Rapidly Evolving Digital Ecosystem”(2024) 등이 있다. 최근에는 게임 접근권과 접근성, e스포츠의 법과 윤리, e스포츠 미디어와 세대 문화에 관한 교육 및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펼치기
정수경 (엮은이)    정보 더보기
베를린자유대 한국학연구소 연구원. 1990년대 중반부터 2010년대 초반까지 방송작가와 독립제작사 대표로 일하며 한국 방송산업의 변화를 현장에서 목격했다. 한국 리얼버라이어티쇼의 진화 과정을 추적한 논문으로 미국 조지아주립대학교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은 후, 민주언론시민연합 정책위원장, 국제법률경영대학원대학교 조교수로 일했다. 산업과 장르, 생산과 수용 간의 역동적 상호작용과 그 파장에 꾸준히 주목하고 있다.
펼치기
홍지영 (엮은이)    정보 더보기
남네바다 주립대학교(CSN)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네바다주립대학교(UNLV)에서 교육학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2025년 에미상(EMMY) 후보 및 『Who’s Who in American Education』에 등재되었다. 학문적 연구와 다큐멘터리 제작을 융합한 독창적인 방법론을 통해, 한국인들의 초국가적 정체성과 문화적 통합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다큐멘터리와 학술 연구를 연계한 대표적인 작업으로는 “베이스볼 하모니”(2024)와 연계 논문 "한국전쟁 혼혈인 김영도의 생애사 연구"(2024), 다큐멘터리 “One Korean but Two Koreas”(2023)와 연계 논문 “Collaborative Witnessing: A North Korean’s Immigration Experience in South Korea”(2021)가 있다. 이를 통해 영상 매체와 학술 연구의 통합적 접근을 실현한다. 또한, 최근 블랙코미디 영화 “마인드풀 소울”을 완성하며 창작의 폭을 넓히고 있다.
펼치기
야마모토 조호 (엮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리츠메이칸대학 강사. 1995년 대학 시절 한국 여행 중 K-팝을 접한 것을 계기로, K-팝에 대한 관심을 지속해왔다. 일본 불교대학 대학원에서 박사(문학) 학위를 취득했으며, 한국에 거주하며 한국학중앙연구원과 고려대학교 아시아문제연구소 초빙연구원, 일본 외무성 전문조사원(주부산일본국총영사관 근무)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 『K-POP 현대사』(2023, 치쿠마쇼보, 2025년 한국어판 출간 예정)등이 있다.
펼치기
오병민 (엮은이)    정보 더보기
국제대학교 e스포츠학과 초빙교수. 2015년 『하스스톤』 종목 e스포츠 선수로 데뷔하여 『인벤 하스스톤 클랜 챔피언십 시즌 4』 우승, 『OGN 하스스톤 마스터즈 코리아 시즌 6』 4강 등의 성과를 거두었으며, 2017년에는 『섀도우버스』 종목으로 전향하여 『OGN 마스터즈 오브 섀도우버스 코리아 시즌 1』 우승, 『RAGE Shadowverse World Grand Prix』 한국 대표 출전 등 주요 커리어를 이어갔다. 2017년부터 2018년까지 투네이션 소속 e스포츠 선수로 활동한 후, 2021년부터 약 3년간 한국e스포츠협회(KeSPA)에서 항저우 아시안게임, 한중일 e스포츠 대회, e스포츠 대학리그 등의 사업을 담당했다. 2024년부터 국제대학교 초빙교수로 재직 중이며, 현재 한신대학교 대학원 e스포츠융합전공 석박사 통합과정에 재학 중이다.
펼치기
최원재 (엮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사학과 외래교수. 교육학을 전공했으며, 역사학과 문학이 테크놀로지에 융합되는 과정과 결과를 연구하고 있다. 특히 빅데이터 연구 기법을 역사학에 도입하여 역사 데이터 시각화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끌고 있으며, 3D 모델링 소프트웨어와 DAW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에드테크, 엔터테크를 사학과 전공 과정에서 구현하는 인문학 인공지능 교과과정을 개발하고 있다. 최근에는 한류 공학과 한류 번역 등 대학 교육 과정에 한류와 인공지능 전환 이니셔티브를 활발히 전개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