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책/행정/조직
· ISBN : 9788960356924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7-11-01
목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연구 배경
2. 연구 목적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1. 연구 범위
2. 연구 방법
3. 연구 과정
제3절 연구 한계 및 기대 효과
1. 연구 한계
2. 연구 기대 효과
제2장 지역 관광자원 개발 환경 변화 및 관광 트렌드
제1절 분석 개요
1. 분석 목적
2. 분석 범위
3. 분석 과정 및 방법 ·
제2절 관광환경 변화분석 및 관광소비자 트렌드
1. 관광환경 변화분석
2. 관광소비자 주요 트렌드 분석
3. 지역 관광자원 개발 영향항목
제3절 종합분석
제3장 국외 지역 관광자원 개발 정책 사례 분석
제1절 국외 사례 분석 개요
1. 사례 분석 목적
2. 사례분석 대상 및 특성
제2절 일본 지역관광 개발 정책
1. 일본 정부의 지역관광 개발 정책
2. 일본판 DMO의 특성과 사례
3. 지역관광 개발정책 성공사례
제3절 영국 지역관광 개발 정책
1. 지역관광 촉진 정부 조직과 예산 체계
2. 지역관광 활성화 도모 정책
3. 관광사업 창업 및 운영지원 정책
제4절 종합분석 및 시사점
1. 종합분석
2. 시사점
제4장 지역 관광자원 개발 정책진단 및 정책과제 도출
제1절 지역 관광자원 개발정책 진단
1. 국가 계획에서 관광자원 개발 정책 변화
2. 지역 관광자원 개발 진단과 대응 과제
제2절 지역 관광자원 개발 체계 변화 및 정책 대상
1. 지역 관광자원 개발 체계 변화
2. 지역 관광자원 개발정책 대상
3. 지역 관광자원 개발정책 과제(안) 도출
제3절 지역 관광자원 개발관련 전문가 조사
1. 조사 개요
2. 분석 결과
제4절 종합분석 및 기본방향
1. 종합분석
2. 기본방향
제5장 지역 관광자원 개발 정책 추진방안
제1절 지역 관광자원 개발정책 기본방향
1. 지역 관광자원 개발 정책 비전 및 기조
2. 지역 관광자원 개발정책 목표 및 전략
3. 지역 관광자원 개발 10대 정책과제 제안
제2절 지역 관광자원 개발 3대 핵심 정책과제 추진방안
1. 정책수단 전환:(가칭) 장소중심형 지역관광사업 패키지 모델
2. 정책수단 개편: 관광자원 개발사업 유형화(기금 사업 중심)
3. 전달체계 개선: 지역 관광개발 중간지원조직 육성
제3절 지역 관광자원 개발 7대 주요 정책과제 추진방안
1. 지역별 특화관광명소 지정 및 육성
2. 생활밀착형 관광자원 개발 지원
3. 유휴시설 재생을 통한 관광자원화
4. 기존 관광지 지정 제도 개선
5. 지역관광 활성화 비즈니스 지원
6. 지역관광 혁신 인재 육성 및 지원
7. 지역관광 서비스의 질적 수준 제고
제4절 지역 관광자원 개발정책 추진 로드맵
1. 지역 관광자원 개발정책 추진 단계
2. 지역 관광자원 개발정책 추진주체별 역할
3. 지역 관광자원 개발정책 관리 체계
제6장 결론 및 제언
제1절 결 론
제2절 제 언
참고문헌
ABSTRACT
부 록
1. 미래트렌드 중 관광환경변화
2. 선행연구 검토 및 관광개발 영향 요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