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주식/펀드
· ISBN : 9788960400580
· 쪽수 : 242쪽
· 출판일 : 2012-07-25
책 소개
목차
머리말·소액으로도 부자 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
Part 1
펀드 투자의 필요성
1. 고령화 사대의 생존전략, 투자…14
2. 수익과 위험은 동전의 양면이다…17
3. 소액으로도 가능한 펀드투자…19
4. 가장 빨리 1억 원을 만드는 투자…22
5. 가장 빨리 1억 원 만들기…25
6. 펀드투자의 매력…27
7. 펀드 투자의 6가지 장점…31
Part 2
펀드의 의미와 선택방법
1. 펀드랑 무엇인가?…36
2. 펀드와 다른 상품과의 차이점…39
3. 펀드를 나누는 방법…44
4. 주요펀드 깊이 알아보기…49
5. 인덱스펀드…56
6. 펀드를 선택하는 3단계…58
7. 내게 맞는 펀드는 어떻게 고르는 방법 10가지…62
8. 펀드 고를 때 특히 유의해야할 사항…67
9. 피해야할 펀드…72
10. 펀드 투자시 가장 범하기 쉬운 13가지 실수…75
11. 펀드에도 등급이 있다…79
Part 3
펀드 가입하기
1.펀드 가입 순서…84
2.펀드 가입하러 가기…88
3. 펀드투자 설명서 제대로 보고 전문가가 되자…93
Part 4
펀드 선택시 고려해야 할 사항
1. 독립계 운용회사에 주목하라…100
2. 과거 운용성적을 너무 믿지 마라…102
3. 자산운용의 주치의, 실력 있는 FP를 만나라…105
4. 실력파 FP를 찾아라…107
Part 5
펀드의 수익과 세금 및 비용
1. 당신이 기대하고 있는 수익률은?…112
2. 펀드가 내는 다양한 종류의 수익…116
3. 펀드 수익은 언제 내 손에 들어올까?…120
4. 펀드의 비용은 얼마나 되나?…121
5. 절세형 상품…123
6. 펀드에도 세금이 있나요?…125
7. 수수료 체계를 꼼꼼히 살펴라…128
8. 운용보수에 대해서 알아보자…131
Part 6
펀드로 수익 올리기
1. 펀드의 기준가격과 수익률…134
2. 적립식 펀드로 수익 올리기…137
3. 인덱스 펀드로 수익 올리기…141
Part 7
펀드 가입 후 관리
1. 꾸준한 수익률을 유지하고 있는지 확인하라…144
2. 펀드매니저의 이름을 꼭 확인하라…145
3. 포트폴리오 변화를 주목하라…147
4. 주식편입비율을 주목하라…149
5. 시장상황의 변화에 관심을 기울여라…150
Part8
펀드관리를 위한 정보 얻기
1. 신문을 통해서…152
2. 펀드평가사 인터넷 홈페이지 방문하기…156
3. 자산운용업협회 방문하기…157
4. 그밖에 펀드관련 정보 알아보기…158
Part 9
펀드 환매하기
1. 펀드 환매, 수익의 기본이다…160
2. 환매는 펀드의 종점이다…164
3. 환매를 교대할 시기…167
4. 환매를 가능케 하는 요소…171
5. 반드시 환매해야 할 때…175
Part 10
펀드 투자로 미래 설계하기
1. 내집장만을 위한 펀드투자…178
2. 펀드투자로 교육자금 마련하기…184
3. 노후자금 마련을 위한 펀드투자 설계…187
4. 자녀에게 펀드를 상속하려면?…190
5. 펀드도 담보대출이 가능하다…193
6. 수익을 월급처럼 주는 펀드도 있는가?…195
Part 11
해외펀드
1.브릭스 펀드…202
2. 리츠펀드…207
3. 해외펀드 투자시 유의할 점…210
부록
펀드 용어집…216
저자소개
책속에서
6. 펀드투자의 매력
펀드의 가장 큰 특징은 ‘간접투자’상품이라는 것이다. 주식이나 부동산투자와 같이 자신의 돈을 가지고 스스로 투자대상을 정하고 투자시기와 방법을 결정하는 ‘직접투자’와 달리 펀드는 투자대상, 시기 등을 직접 결정할 필요가 없다. 간접투자는 다른 사람에게 내 돈을 맡겨 투자를 대신하게 하는 것이다. ‘다른 사람’은 물론 전문가인 펀드매니저이다. 이로 인해 펀드는 여러 가지 이점을 가진다. 간접투자 상품이기 때문이며, 여러 사람이 모여 하는 공동투자이기 때문이다. 그럼, 펀드의 장점을 살펴봅시다.
첫 번째, 전문가인 펀드매니저가 펀드를 운용한다.
펀드는 전문적인 지식을 갖춘 전문적인 지식을 갖춘 전문가가 직접 펀드를 운용한다. 펀드매니저라고 불리는 이들 전문가는 대개 대학에서 경영학이나 경제학 등을 전공한 후 자산운용회사에 입사한다. 또 자산운용회사 내에서도 애널리스트의 경험을 쌓은 후에 자금 운용부서에 들어가 운용그룹의 일원으로서 어시스턴트 펀드매니저가 되어 펀드나 포트폴리오 운용을 실제로 습득해 간다. 이러한 과정을 성공적으로 거친 후에야 펀드운용을 담당하는 펀드매니저로서 새로이 태어나게 된다. 물론 펀드매니저 모두가 이러한 과정을 거치는 것은 아니지만, 어떤 형태로든 투자조사나 투자운용의 경험을 쌓은 사람들이 바로 펀드매니저이다. 이러한 전문가는 ‘내 돈’을 믿고 맡길 수 있는 근거가 된다.
두 번째, 소액으로도 투자할 수 있다.
한꺼번에 목돈을 넣어두는 펀드도 있지만, 펀드를 꼭 큰 규모의 목돈이 있어야만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10만 원, 20만 원 등 소액의 자금으로도 얼마든지 펀드투자를 할 수 있다. 적립식펀드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적립식펀드는 목돈이 없어도 투자할 수 있고, 한꺼번에 큰돈을 들여야 하는 다른 펀드에 비해 투자위험이 낮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이에 부응해 적립식펀드의 판매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데, 판매의 중심축은 은행이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총판매잔액 규모에는 여전히 증권업계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펀드 총 판매 중 적립식펀드 판매 비중도 증가하고 있다.
세 번째, 분산투자가 가능하다.
여러 사람으로부터 돈을 모아 투자하는 펀드는 적은 돈으로도 여러 종목에 투자하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펀드투자는 지분투자이기 때문이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펀드투자는 지분투자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A라는 펀드에 가입했다면, 펀드매니저는 A 펀드의 전체 규모를 가지고 투자하고 투자자 개개인은 자신의 지분만큼의 수익을 챙기는 것이다. 그래서 매월 20만 원으로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한국전력 주식에 모두 투자할 수 있다는 얘기이다. 이러한 분산투자는 또한 투자의 위험을 줄이는 좋은 방법이기도 하다. 한 개인의 주식에 투자할 경우 가질 수 있는 위험을, 수위에 따라 대형주, 중형주, 가치주 그리고 섹터주 등에 나누어 분산투자를 함으로서 그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네 번째, 소액의 수수료로 전문가를 고용할 수 있다.
펀드에 투자한다는 것은 약간의 수수료를 내고 투자전문가를 고용하는 것과 같다. 비전문가인 일반투자자가 투자를 위해 정보를 모으고, 분석하고, 투자를 결정하기까지는 어려움이 많다. 펀드에 투자하면 소액의 수수료로 전문지식과 노하우로 무장한 투자전문가를 고용,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투자기회를 가지는 것이다.
다섯 번째, 객관적인 성적을 볼 수 있다.
펀드는 자산을 운용하는 자산운용회사, 판매를 담당하는 판매회사, 자산을 보관하는 자산 보관회사, 사무관리를 하는 사무수탁회사 등으로 나뉘어 조직적으로 운영된다. 투자자는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지 자신의 펀드투자에 대해 객관적인 성적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의 도표에서 보듯 펀드별, 운용사별, 설정일, 순자산액, 기준가, 12개월 수익률 그리고 코스피 대비 수익률을 일목요연하게 점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