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주식/펀드
· ISBN : 9788960600560
· 쪽수 : 260쪽
· 출판일 : 2007-10-15
책 소개
목차
지은이의 말 _ 실전 매매시 완벽한 조건을 제시하는 이동평균선 매매기법
1장 경재의숙에서 사용하는 이동평균선의 종류와 의미
1. 경재의숙에서 사용하는 이동평균선의 특징
올바른 이동평균선이란 무엇인가?
경재의숙에서 사용하는 5가지 이동평균선의 의미
2장 이동평균선을 활용한 시장의 분석과 판단
1. 이동평균선을 알면 세상이 보인다
이동평균선의 방향은 시장의 방향을 나타낸다
이동평균선은 시장의 강도를 나타낸다
이동평균선은 향후 시장의 변화를 알려준다
이동평균선은 반전을 판단하는 최적의 툴이다
이동평균선은 조정 후 추세 흐름을 보여준다
2. 이동평균선의 구조를 알고 국면을 이해하자
이동평균선은 효용의 흐름을 나타낸다
이동평균선의 구조적 판단을 위한 기준 7가지
3. 이동평균선의 방향을 파악하고 흐름을 예측하자
이동평균선의 방향이 곧 주가의 진행 방향이다
조정은 본래의 추세에 따라 결정된다
4. 이동평균선의 강도는 기간과 기울기로 결정된다
이동평균선의 기간에 따라 강도가 다르다
이동평균선의 기울기는 기세다
5. 이동평균선의 변화는 시장의 변화 형태를 반영한다
이동평균선의 움직임으로 시장을 파악하라
이동평균선의 움직임으로 조정을 판단하라
스스로 풀어보는 예제 1~7
3장 이동평균선을 활용한 현물투자의 매매 원칙
1. 시장의 5가지 국면별 특징을 파악하라
이동평균선을 활용한 국면별 분석 1 _ 매집기
이동평균선을 활용한 국면별 분석 2 _ 정비기
이동평균선을 활용한 국면별 분석 3 _ 안정기
이동평균선을 활용한 국면별 분석 4 _ 확산기
이동평균선을 활용한 국면별 분석 5 _ 상투기
2. 이동평균선 매집기에서의 투자 원칙을 살펴보자
원칙 1 _ 이동평균선 매집기의 매매 목적
원칙 2 _ 이동평균선 매집기를 판단하는 방법
원칙 3 _ 이동평균선 매집기의 매매 원칙 7가지
스스로 풀어보는 예제 8~14
3. 이동평균선 정비기에서의 투자 원칙을 살펴보자
원칙 1 _ 이동평균선 정비기의 매매 목적
원칙 2 _ 이동평균선 정비기를 판단하는 방법
원칙 3 _ 이동평균선 정비기의 매매 원칙 8가지
스스로 풀어보는 예제 15~28
4. 이동평균선 안정기에서의 투자 원칙을 살펴보자
원칙 1 _ 이동평균선 안정기의 매매 목적
원칙 2 _ 이동평균선 안정기를 판단하는 방법
원칙 3 _ 이동평균선 안정기의 매매 원칙 5가지
스스로 풀어보는 예제 29~32
5. 이동평균선 상투기에서의 투자 원칙을 살펴보자
원칙 1 _ 이동평균선 상투기의 매매 목적
원칙 2 _ 이동평균선 상투기를 판단하는 방법
원칙 3 _ 이동평균선 상투기의 매매 원칙 5가지
스스로 풀어보는 예제 33~37
4장 이동평균선을 활용한 선물투자의 매매 원칙
1. 선물투자가 현물투자와 다른 특징을 명확히 파악하라
시장의 곡선적인 흐름을 자연스럽게 따라가라
선물투자시 이동평균선을 활용해 오류를 줄여라
2. 선물투자의 기준과 원칙을 알아보자
이동편균선을 활용한 선물 매매시의 기준
이동평균선 구간에서의 선물투자 원칙
추세 구간에서의 선물투자 원칙
스스로 풀어보는 예제 38~74
리뷰
책속에서
이동평균선의 방향은 주가가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장기 이동평균선은 상승하고 있는데 단기 이동평균선이 하락하고 있다면 장기적인 상승 흐름은 유지되지만 단기적으로는 하락하는, 즉 상승 추세 중의 조정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따라서 이때는 조정이 어디에서 멈출 수 있을 것인지를 찾는 데 주력해야 한다.
장기적인 상승 또는 하락 추세가 진행되고 있는 와중에 나타나는 일시적인 반락과 반등은 2가지 경우 중 하나에 해당된다. 하나는 이격이 과다한 상태에서 이격 과다를 해소하기 위한 움직임, 즉 이격 보정의 흐름이고, 두 번째는 추세를 마무리 하고 하나의 파동을 끝내는 매듭, 즉 조정의 흐름이다.-본문 38p 중에서
[차트 34]는 3시간 이동평균선에서 매도한 후 하락해 다시 14시간 이동평균선까지 하락한 상태다. 이 상태에서는 당연히 매도를 청산하고 재매수를 해야 한다. 지금까지는 다시 회귀한 3시간 이동평균선과 14시간 이동평균선 구간에서 시장이 움직이고 있으므로 지지인 14시간 이동평균선에서는 매도를 청산하고 매수로 대응해야만 한다.
이 시점에서는 특히 이동평균선의 변화에 주목해야 한다. 지지인 14시간 이동평균선이 현재까지는 지수가 하락하더라도 아래로 기울지 않았지만, 지수가 14시간 이동평균선에 닿은 상황에서 볼 때는 방향이 아래로 기울어 있다. 이런 현상은 14시간 이동평균선의 강도가 약해졌음을 나타내는 것이고, 그렇다면 지지력도 약화됐다는 뜻이다. 또한 지난번에 잠시 14시간 이동평균선이 무너졌던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본문 207p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