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간호학 > 간호학 일반
· ISBN : 9788961306973
· 쪽수 : 235쪽
· 출판일 : 2014-02-03
목차
1 간호연구의 이해 _13
1. 간호연구 소개?15
1) 연구의 정의 15
2) 연구의 목적 16
3) 근거중심 간호실무(Evidence-based nursing practice) 17
2. 간호연구와 관련된 윤리문제?17
1) 연구 윤리 17
2) 연구 및 출판 윤리(Research & Publication ethics) 19
3) 과학적 위법을 방지하기 위한 단계(Hall, 2012) 23
2 간호연구의 시작 _35
1. 간호연구의 주제 선정?37
1) 연구 주제의 출처 37
2) 연구문제와 연구목적의 차이 38
3) 연구문제를 선정할 때 고려해야할 점 38
4) 문제설정의 방법 39
2. 문헌 고찰?40
1) 문헌 고찰(Literature review)이란? 40
2) 문헌 고찰의 과정 41
3) 의료 정보 데이터베이스 44
4) 고찰연구 46
5) 찾은 문헌 관리 47
6) 찾은 문헌의 질 평가 48
3. 이론과 간호연구?49
1) 용어 49
2) 이론의 생성과 발전 50
3) 간호 연구를 위한 이론의 출처 51
4) 간호 연구에서 이론 검정 51
4. 연구 가설?52
1) 가설의 목적 52
2) 연구 가설의 출처와 근거 53
3) 가설검정(Hypothesis testing) 53
3 연구 설계(Research designs) _57
1. 연구의 분류?59
1) 비실험연구(Non-experimental research) 59
2) 실험 연구(Experimental research) 61
2. 연구 설계(Research design)?63
1) 실험설계(Experimental design) 63
2) 유사실험설계(Quasi-experimental design) 68
3. 연구의 타당성?70
1) 내적 타당도(Internal validity) 70
2) 외적 타당도(External validity) 73
4 표본추출 _75
1. 모집단(Population)?77
2. 표본(Sample)?77
1) 표본프레임(Sampling frame) 78
3. 표본추출방법?78
1) 확률적 표본추출(Probability sampling) 78
2) 비확률적 표본추출(Non-probability sampling) 81
4. 표본의 크기?83
5. 표본추출오차(Sampling error)와 표본추출편중(Sampling bias)?84
5 자료수집 _85
1. 자료수집과정?87
2. 자료수집방법(Data-Collection Methods)?87
1) 질문지(설문지) 88
2) 면담(Interview) 90
3) 관찰 92
4) 생리적 측정 93
5) 태도측정(Attitude scale) 93
6) 투사법(Projective technique) 93
7) 델파이기법(Delphi technique) 94
8) 시각적 유사물 득점(Visual analogue score) 94
6 측정 _95
1. 측정의 의미?97
2. 측정의 수준?97
3. 측정수준별 분석방법?99
4. 측정의 요소?99
5. 측정의 타당도(Validity of measurement)?100
1) 표면타당도(Face validity) 100
2)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 101
3) 준거관련타당도(Criterion-related validity) 101
4) 구성타당도(Construct validity) 102
6. 측정의 신뢰도(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103
1) 검사-재검사신뢰도(Test-retest reliability) 103
2) 측정자 신뢰도(Rater reliability) 104
3) 동형검사신뢰도(Alternate-forms reliability) 104
4) 내적일관성신뢰도(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105
7. 타당도와 신뢰도의 관계?105
7 기술통계(Descriptive statistics) _107
1. 통계부호?109
2. 통계의 분류?109
3. 기술통계의 분류?110
1) 도수분포(Frequency distribution) 110
2) 그래프(Graphic presentations) 110
3) 백분율(Percentages) 112
4) 대표값(Measures of Central tendency, 중심경향값) 112
5) 이원적 서술통계 114
6) 분포의 형태 116
7) 정규분포 117
8 추론통계(Inferential statistics) _119
1. 추론통계의 목적?121
2. 모수추정?121
3. 표본분포의 평균?122
4.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122
5. 가설검정(Hypothesis testing)?123
1) 연구가설(Hypothesis) 123
2) 통계검정 방법의 선택(Choosing a statistical test) 124
3) 유의수준(Level of significance) 124
4) 단측검정과 양측검정(One-tailed and two-tailed tests) 125
5) 계산된 값(Calculated value)과 기각값(Critical value, 임계치)의 비교 125
6) 제1종, 제2종 오류 125
6. 모수통계와 비모수통계검정(Parametic and non-parametic statistical test)?127
1) T검정(T-test) 127
2) 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 ANOVA) 128
3) 카이제곱검증(Chi square) 128
4) 고급통계검정(Advanced statistical tests) 129
9 자료분석 및 통계처리방법(SPSS를 사용한 실전) _131
1. SPSS의 시작?133
1) SPSS의 실행 133
2) SPSS의 기본구성 135
3) SPSS 분석의 기본 단계 137
2. 데이터 편집?141
1) 엑셀 자료를 SPSS에서 불러오기 143
3. 데이터 탐색?145
1) 빈도분석하기 145
2) 막대그래프 그리기 150
3) 히스토그램 그리기 152
4) 파이차트 그리기 154
5) 정규성 검정 157
4. 척도와 검정방법?160
1) 통계방법의 결정 160
2) 실험설계의 분석절차의 결정 162
5. 평균 비교?165
1) 독립된 두 모평균의 가설 검정(독립표본 T검정 : Independent-samples t-test) 165
2) 짝지은 두 모평균의 가설 검정(대응표본 T검정 : Paired t-test) 168
3)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174
6. 비모수통계 검정?180
1) 카이제곱 검정(Chi-Square test) 180
2) 독립 2 표본 185
3) 독립 K 표본 188
4) 대응 2 표본 191
7.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194
8.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198
1) 산점도와 회귀선 198
10 연구 보고 _205
1. 논문의 구성과 작성?207
1) 제목 207
2) 초록 207
3) 서론 207
4) 이론적 배경 208
5) 연구방법 208
6) 연구결과 208
7) 논의(Discussion) 209
8) 결론(Conclusion) 210
9) 참고문헌(Reference) 210
2. 논문의 국내외 학술지 게재방법?212
3. 논문의 비판적 평가?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