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야생동물 생태 관리학

야생동물 생태 관리학

(제2판)

이우신 (지은이)
라이프사이언스
2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6,000원 -0% 0원
780원
25,2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야생동물 생태 관리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야생동물 생태 관리학 (제2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자연과학계열 > 생물학
· ISBN : 9788961542562
· 쪽수 : 356쪽
· 출판일 : 2017-03-01

목차

1장 인간과 야생동물 1
1. 야생동물이란? 2
가. 정 의 2
나. 우리나라의 야생동물 서식 현황 9
2. 인류와 야생동물 9
가. 인류의 역사와 야생동물 9
나. 우리 민족과 야생동물 10
다. 우리나라에서 야생동물과 인간의 관계 변화 11
라. 야생동물의 이용 14
3. 야생동물의 가치 15
가. 긍정적 가치 15
나. 부정적 가치 16

2장 생태계와 야생동물 19
1. 생태계 구성원으로서 야생동물의 역할 20
가. 종자 산포 21
나. 해충 구제 24
다. 개체군 조절 24
라. 물질 순환 25
2. 야생동물 구성원 간 상호작용 28
가. 생물 간 상호작용 연결망 28
나. 생태계 탄력성 28
3. 생물다양성 현황과 위협요인 29
가. 생물다양성 29
나. 생물다양성의 위협요인 30

3장 야생동물과 개체군 생태학 33
1. 개체군 동태학 34
가. 개체군의 변화 요인 34
나. 성 비 37
다. 연령 구조 37
라. 개체군 성장 38
마. 메타개체군 40
2. 개체군 유전학 41
가. 유전자 다양성의 감소 41
나. 개체군 유전학의 적용 42
3. 개체군 상호작용 44
가. 경 쟁 44
나. 포 식 47
다. 기생과 공생 49
라. 서식지 선택 50
마. 분 산 54
바. 이 주 55

4장 야생동물과 서식지 59
1. 우리나라 야생동물 서식지 유형 60
가. 서식지의 공간 위계 60
나. 우리나라의 지형과 지질, 야생동물 서식지 61
2. 야생동물의 서식지 구성요소 69
가. 먹 이 69
나. 커 버 75
다. 물 77
라. 공 간 80
3. 야생동물 서식지와 관련된 개념 82
가. 영양단계(trophic levels) 83
나. 열역학 제2법칙 83
다. 니 치 83
라. 수용능력 84
마. 천이단계 84
바. 가장자리 효과 84

5장 야생동물의 행동 89
1. 행동이란? 90
2. 사회행동 90
가. 무리생활 90
나. 공간이용 93
다. 공격행동 97
라. 사회적 우위 98
3. 성행동 99
가. 혼인체계 99
나. 구애행동 101
4. 모성행동 102
5. 채이행동 104

6장 야생동물 조사 및 분석 109
1. 조사 계획의 수립 110
가. 조사의 목적 110
나. 조사 계획 수립 시 고려사항 110
2. 조사 방법 112
가. 개체군 및 군집 조사 112
나. 포획 및 개체 표지 123
다. 행동권 및 이동경로 조사 129
라. 로드킬 조사 137
3. 조사 자료의 분석 139
가. 지수의 산출 139
나. 행동권 분석 141

7장 서식지 조사 및 분석 145
1. 서식환경 조사 146
가. 수목의 흉고직경 분포 조사 146
나. 산림환경구조 조사 147
다. 수목잔존물 조사 149
라. 초본식생 조사 150
마. 야생동물과 서식환경 사이의 관계 151
2. 환경원격탐사 153
가. 항공사진의 개념과 특성 153
나. 야생동물의 서식지 분석을 위한 항공사진의 활용 155
3. 원격탐사를 이용한 조사 157
가. 센서의 종류 158
나. Landsat 위성 159
다. 식생지수 161
4.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조사 162
가. 지리정보시스템의 개념 163
나. GIS의 구성요소 164
다. 서식지 적합성 지수의 정의 167
라. GIS와 서식지 적합도 지수를 이용한 노루의 서식지 분석 168

8장 서식지 유형별 야생동물의 관리 177
1. 도 시 178
가. 도시화에 따른 서식환경의 변화 178
나. 도시화에 따른 야생동물의 영향 179
다. 도시 서식환경 개선을 위한 주요 이론 및 개념 181
라. 유형별 야생동물 보호 및 관리 184
2. 산 림 190
가. 천 이 190
나. 건전한 산림생태계 193
다. 교란된 산림생태계 194
3. 도 로 199
가. 도로 건설에 따른 야생동물의 영향 199
나. 로드킬 199
4. 습 지 202
가. 습지의 종류 202
나. 습지의 역할 204
다. 습지 관리 205

9장 수렵동물 관리 및 야생동물에 의한 피해 217
1. 야생동물 관련법 218
가. 부처별 관련 법률과 시행령 218
나. 관련 법률의 제정 원칙과 정책 수단 219
2. 수렵정책 및 관리 221
가. 우리나라의 수렵 221
나. 외국의 수렵제도 223
다. 수렵과 수확 223
라. 수렵 윤리 226
3. 야생동물에 의한 피해 보상 제도 226
가. 야생동물에 의한 피해 보상 226
나. 야생동물 피해 경감 기술 229
다. 야생동물과 인간의 공존 230

10장 멸종위기 야생동물의 보전 233
1.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물 234
가. 종의 멸종과 멸종위기종 234
나. 멸종위기종에 대한 국제적 기준 235
다. 국내 멸종위기 야생동물의 법적 지위와 관리 239
라. 국제적인 멸종위기 야생동물의 거래 규제 242
2. 종과 개체군에 대한 주요 위협 요인 244
가. 결정적 요인 244
나. 확률적 요인 252
3. 야생동물관리학과 보전생물학 255
가. 보전생물학이란 255
나. 야생동물관리학과 보전생물학의 관계 255
4. 야생동물 관리를 위한 보전생물학의 주요 개념 257
가. 유전자 다양성과 최소존속개체군 257
나. 분류학적 불확실성의 제거 258
다. 진화적 유의 단위와 관리 단위의 설정 261
라. 멸종의 소용돌이와 최소존속개체군 261
마. 개체군-서식지 생존능력 평가 263
5. 멸종위기 야생동물의 관리와 복원 265
가. 야생동물관리학과 멸종위기 야생동물의 보전 265
나. 멸종위기 야생동물의 복원 266

11장 야생동물과 질병 273
1. 질병의 발생 274
가. 질병의 3대 요소 274
나. 야생동물의 주요 질병 276
다. 인수공통전염병 288
2. 질병의 예방과 관리 296
가. 질병의 예방 296
나. 질병의 관리 299

12장 국내외 야생동물 보전 활동 301
1. 주요 협약 및 협정 302
가. 국제포경규제협약 302
나. 람사르 협약 303
다.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 305
라. 이동성 야생동물의 보전에 관한 협약 306
마. 남극해양생물자원보전협약 306
바. 생물다양성협약 307
사. 한·러/한·호/한·중 철새보호협정 308
2. 야생동물과 관련된 국제기구 및 조직 309
가. 국제자연보전연맹 309
나. 세계자연기금 310
다. Wetland International 311
라. BirdLife International 311
마. 국제두루미재단 312
바. 국제맹금류재단 312
사. Wildlife Conservation Society 313
아. 왕립조류보호협회 314
자. Nature Conservancy 314
차. Conservation International 315
카. 동아시아-대양주 이동경로 파트너십 316
타. 아시아 맹금류 연구 및 보전 네트워크 317
3. 국내 기구 및 조직 318
가. 정부 및 공공기관 318
나. 연구 및 학술단체 319
다. 시민단체 및 비정부기구 319
라. 관련 동호회 320

찾아보기 321

저자소개

이우신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대학원에서 새를 본격적으로 공부하기 시작하여, 1990년 홋카이도대학 대학원에서 응용동물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과학부 교수로 재직하였고, 한국조류학회 및 복원생태학회,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회장 및 공공기관(환경부) 환경보전협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현재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명예교수이며, 한국습지보전연합(Wetlands Korea) 회장이다. 저서: 야생동물 생태 관리학(2017), 한국의 새 생태와 문화(2021)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