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예체능교육 전공
· ISBN : 9788962063714
· 쪽수 : 270쪽
· 출판일 : 2016-09-01
책 소개
목차
제1부 체육교육과정론 11
제1장 체육과 교육과정의 이해 12
1. 체육과의 정체성 12
1) 체육이란? 12
2) 신체 활동 지식의 구조 12
2. 교육과정의 개념 14
1) 교육과정의 정의 14
2) 교육과정의 정의와 유형 15
3) 교육과정의 기초 16
3. 체육과 교육과정의 개념과 유형 17
1) 체육과 교육과정의 개념 17
2) 체육과 교육과정의 유형 18
4. 체육과 교육과정의 특성 23
1) 공식성(formal) 23
2) 계획성(planning) 24
3) 의도성(intent) 24
4) 실천성(practice) 24
5) 잠재성(hidden) 24
제2장 체육과 교육과정의 개발과 운영 26
1. 체육과 교육과정 개발 수준과 개발 과정 26
1) 체육과 교육과정 개발의 개념과 대상 26
2) 체육과 교육과정의 개발 원리 및 기준 27
2. 체육과 교육과정의 구성 요소 설계 32
1) 체육과 목표 32
2) 체육과 내용 36
3) 체육과 교수ㆍ학습 방법 39
4) 체육과 평가 41
3. 교사수준의 체육과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 42
1) 체육과 교육과정 개발자로서의 교사 역할 42
2) 교사수준의 체육과 교육과정 개발 절차 43
3) 교사수준의 체육과 교육과정 개발의 실제 44
4) 체육과 교육과정의 운영 45
제3장 체육과 교육과정의 사조와 모형 46
1. 체육과 교육과정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6
1) 교과 내용 46
2) 학습자 47
3) 사회 47
2. 체육과 교육과정의 사조(가치 정향) 47
1) 내용 숙달(disciplinary mastery) 사조 47
2) 자아 실현(self-actualization) 사조 48
3) 사회적 책무성(social responsibility) 사조 49
4) 학습 과정(learning process) 사조 50
5) 생태 통합(ecological integration) 사조 51
3. 체육과 교육과정 사조(가치 정향)와 모형의 관계 52
4. 체육과 교육과정 모형 54
1) 움직임 분석 모형 (Movement Analysis Model) 54
2) 체력 교육 모형 (Fitness Education Model) 59
3) 스포츠 교육 모형 (Sport Education Model) 62
4) 발달 교육 모형 (Developmental Education Model): 발달 단계 모형 A 67
5) 책임감 발달 모형 (Responsibility Development Model): 발달 단계 모형 B 71
6) 개인 의미 추구 모형 (Personal Meaning Model) 77
7) 학문중심 모형(Kinesiological Studies Model) 83
제4장 체육과 교육과정의 다양한 측면 85
1. 통합 교육과정 85
1) 통합 교육과정의 의미와 필요성 85
2) 교육과정 통합 전략 86
3) Fogarty의 통합 교육과정 모형 88
4) 통합 교과 내용 조직 방안 96
2. 수준별 교육과정과 수준별 체육수업 101
1) 수준별 교육과정의 개념 101
2) 과제 및 전망 : 개인차를 고려한 수준별 체육수업 101
3. 미래의 체육교육과정에서 추구해야 할 방향 103
1) 창의력과 문제 해결력을 길러주는 체육 103
2) 협동학습을 중시하는 체육 103
3) 개인차를 고려한 학습자 중심의 체육 104
4) 교과 간 통합교육을 추구하는 체육 104
제5장 우리나라 체육과 교육과정의 역사 105
1. 미군정 과도기와 교수 요목기(1945∼1954) 105
1) 교육과정의 특징 105
2) 체육과 교육과정 105
2. 제1차 교육과정기(1954∼1963) 106
1) 교육과정의 특징 106
2) 체육교육과정 106
3. 제2차 교육과정기(1963∼1973) 107
1) 교육과정의 특징 108
2) 체육교육과정 108
4. 제3차 교육과정기(1973∼1981) 109
1) 교육과정의 특징 109
2) 체육과 교육과정 109
5. 제4차 교육과정기(1981∼1987) 110
1) 교육과정의 특징 111
2) 체육과 교육과정 111
6. 제5차 교육과정기(1987∼1992) 112
1) 교육과정의 특징 112
2) 체육과 교육과정 113
7. 제6차 교육과정기(1992∼1997) 114
1) 교육과정의 특징 114
2) 체육과 교육과정 114
8. 제7차 교육과정기(1997∼2007) 115
1) 교육과정의 특징 115
2) 체육과 교육과정 116
9. 2007 개정 교육과정기(2007∼2009) 117
1) 교육과정의 특징 117
2) 체육과 교육과정 117
10. 2009 개정 교육과정기(2009∼2015) 119
1) 교육과정의 특징 119
2) 체육과 교육과정 119
제2부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121
제1장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교육과정의 성격 122
Ⅰ 교육과정 구성의 방향 123
1. 추구하는 인간상 123
2. 교육과정 구성의 중점 124
3. 학교 급별 교육 목표 124
가. 초등학교 교육목표 124
나. 중학교 교육목표 125
다. 고등학교 교육목표 125
Ⅱ 학교 급별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기준 126
1. 기본 사항 126
2. 초등학교 127
가. 편제와 시간 배당 127
나. 교육과정 편성·운영 기준 128
3. 중학교 129
가. 편제와 시간 배당 129
나. 교육과정 편성·운영 기준 130
4. 고등학교 131
가. 편제와 시간 배당 131
나. 교육과정 편성·운영 기준 135
5. 특수한 학교에서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139
Ⅲ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140
1. 기본 사항 140
2. 교수・학습 사항 141
3. 평가 142
4. 모든 학생을 위한 교육 기회의 제공 143
Ⅳ 학교 교육과정 지원 144
1. 국가 수준의 지원 144
2. 교육청 수준의 지원 145
제2장 [공통 교육과정] 체육 148
1. 체육과의 성격 148
가. 체육과의 본질과 역할 148
나. 체육과의 역량 149
다. 체육과의 영역 151
2. 체육과의 목표 152
3.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152
가. 내용 체계 152
나. 성취기준 155
[초등학교 3∼4학년] 155
[초등학교 5∼6학년] 163
[중학교 1~3학년군] 172
4.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 184
가. 교수・학습 184
나. 평가 191
제3장 [선택 중심 교육과정] - 일반 선택 - 체육 197
1. 성격 197
2. 목표 197
3.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198
가. 내용 체계 198
나. 성취기준 199
4.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 206
가. 교수・학습 206
나. 평가 213
제4장 [선택 중심 교육과정] - 일반 선택 - 운동과 건강 216
1. 성격 216
2. 목표 216
3.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217
가. 내용 체계 217
나. 성취기준 218
4.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 222
가. 교수・학습 222
나. 평가 229
제5장 [선택 중심 교육과정] - 진로 선택 - 스포츠 생활 233
1. 성격 233
2. 목표 234
3.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234
가. 내용 체계 234
나. 성취기준 235
4.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 240
가. 교수・학습 240
나. 평가 246
제6장 [선택 중심 교육과정] - 진로 선택 - 체육 탐구 250
1. 성격 250
2. 목표 250
3.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251
가. 내용 체계 251
나. 성취기준 251
4.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 256
가. 교수・학습 256
나. 평가 262
참고문헌 265
찾아보기 267
체육교육과정론
2016년 8월 29일 초판 인쇄
2016년 9월 1일 초판 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