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내과 > 종양
· ISBN : 9788962248128
· 쪽수 : 715쪽
· 출판일 : 2009-09-15
목차
| 추천의 글
CHA 의과학대학교 대체의학 대학원 원장 전세일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과 주임교수 전미선
| 역자서문
| 통합서 머리말
의료행위에 있어서의 통합의학
| 머리말
| 1. 왜 통합 종양학인가?1
| 2. 암 예방의 통합적 접근15
| 3. 화학적 예방에 사용되는 식물들의 분자적 목표43
| 4. 식이와 암: 역학과 예방63
| 5. 암의 영양학적 치료85
| 6. 통합종양학에서의 약용식물의학125
| 7. 카나비노이드와 암 177
| 8. 보완대체의학 : 화학적 상호작용-무엇이 알려져 있나? 207
| 9. 항산화제 논쟁 235
| 10. 신체활동과 암 259
| 11. 마사지 치료 279
| 12. 통합적 암 관리에 대한 심신 의학 293
| 13. 전통과 현대의 한의학 311
| 14. 암: 아유르베다적 관점 349
| 15. 1차적, 보조적 암 치료로써의 동종요법 373
| 16. 인지 의학, 통합 종양학, 그리고 겨우살이 암 치료 391
| 17. 에너지 의학과 암413
| 18. 암환자의 영혼 보살핌453
| 19. 영성의 역할463
| 20. 통합의학과 유방암 477
| 21. 전립선암 : 통합적인 접근법497
| 22. 결장직장암에서의 통합의학529
| 23. 방사선 치료와 통합의학 547
| 24. 증상관리와 완화적 관리에 있어서의 통합의학 565
| 25. 암 치료의 독성을 완화하기 위한 보완대체의학 치료들593
| 26. 1차적 암 치료 방법으로서의 대체의학605
| 27. 보완대체의학과 암 연구 방법론639
| 28. 통합 종양학의 진실과 진실 말하기649
| 29. 환자의 관점671
| 30. 통합 종양학: 그 미래687
| 찾아보기6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