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현대 일본경제의 역사

현대 일본경제의 역사

(안정성장기에서 구조개혁기까지 (1973~2010))

深尾京司, 中村尙史, 中林眞幸 (엮은이), 윤종인 (옮긴이)
해남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0,000원 -0% 0원
900원
29,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0개 26,34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현대 일본경제의 역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현대 일본경제의 역사 (안정성장기에서 구조개혁기까지 (1973~2010))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아시아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88962381757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23-06-12

책 소개

총 6권으로 기획된『일본경제의 역사』 시리즈 중 가장 마지막인 여섯 번째 책이다. 각 권은 총론에 해당하는 서장, 노동과 인구(제1장), 금융(제2장), 농업과 토지 이용(제3장), 광공업(제4장), 상업과 서비스(제5장), 생산·물가·소득의 추정(권말 부록)으로 기획되어 있다.

목차

서장
제1절 성장과 거시경제
1. 고도성장에서 안정성장으로, 그리고 장기정체로
2. 저축초과 문제
3. 공급 측면으로부터 본 경제성장 둔화의 원인
4. 자본축적은 왜 둔화되었는가?
5. 총요소생산성(TFP)의 정체
제2절 정부의 역할
1. 1970년대 이후의 재정운영 - 개관
2. 일반정부로부터 본 재정
3. 정부지출·재정수지의 장기적 변화
4. 사회보장급여의 확충과 그 영향
5. 재정조달 방법에 관한 선택
6. 국민저축으로부터 본 정부
7. 저출산 고령화에의 대응
제3절 소득과 자산의 분배
1. 소득불평등화
2. 소득불평등화와 연령구조, 세대 유형의 변화
3. 노동분배율의 추이
4. 노동시장의 변화
5. 자산의 분배
6. 빈곤 문제
7. 세제와 재분배정책
8. 결론을 대신하여 - 피케티 비판
참고문헌

제1장 노동과 인구 현대의 노동시장과 생활수준의 변천
제1절 노동시장의 변화 - 안정성장기·저성장기·인구감소기
1. 네 가지 관점으로부터 본 노동시장
2. 생산연령인구(15~64세)와 노동인구의 변화
3. 산업 구성과 종업자 구성의 변화
4. 임금과 평균근속연수의 변화
5. 비정규 노동자 수의 변화
6. 노동시간의 변화
7.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
8. 일본 노동시장의 변천과 향후의 전망
제2절 생활수준의 전후사 - 소비와 여가의 관점에서
1. 실질임금의 상승과 소비수준·잉여시간
2. 소비·여가 선호의 검토
3. 전후 경제성장과 생활수준의 변화
참고문헌

제2장 금융 저성장하의 일본 금융시스템 - 버블·위기·정체하의 안정
제1절 경제 환경·금융제도와 금융구조
1. 금융제도의 변화와 금융시장·금융기관
2. 금융구조의 변화
3. 기업금융과 은행관계
제2절 자산 가격 버블의 형성과 붕괴 - 1980년 후반~1990년대 초
1. 버블의 실태와 성질
2. 버블과 신용팽창
3. 버블의 확대 요인과 금융정책
제3절 불량채권 문제와 금융위기 - 1990년대~2000년대 초
1. 불량채권 문제와 금융위기의 실태
2. 불량채권 문제·금융위기의 요인
제4절 잃어버린 20년과 금융 - 1990년대~2000년대
1. 요인(1): 금융기관의 건전성과 대출 기피
2. 요인(2): 금융기관의 건전성과 비효율적인 대출
3. 요인(3): 금융정책과 남아도는 돈
4. 금융인가 실물인가?
참고문헌

제3장 농업과 토지이용 전환기의 일본 농업과 도시 부동산업
제1절 농산물 과잉과 감반정책
1. 포스트 고도경제성장기의 일본 농업
2. 농산물 과잉과 감반정책
3. 감반은 어떻게 진행되었던 것인가
제2절 1970년대 이후의 농지 문제
1. 정책적 우대 수혜자로서 농업자
2. 농지 문제의 특성
3. 농협의 역할
4. 1990년대 농정의 전환
5. 농지제도의 변천
6. 일본 농업의 나아갈 길
제3절 도시 부동산업과 버블/디플레이션
1. 토지 신화의 붕괴와 부동산기업
2. 도시 부동산업 시장의 동향
3. 버블/디플레이션기의 부동산업
4. 버블 붕괴와 부동산기업 - 미쓰이부동산의 사례
참고문헌

제4장 광공업 구조 변화와 생산성 정체
제1절 제조업의 장기적 동향
1. 거시경제에서 차지하는 제조업의 비중 저하
2. 제조업 내의 구조 변화
3. 무역마찰 및 생산의 해외 이전과 새로운 국제분업의 전개
제2절 1990년대 이후 TFP 상승 둔화의 원인
1. 어떤 산업이 제조업 전체의 TFP 상승을 둔화시켰는가
2. 생산성 동학으로부터 본 TFP 상승 둔화의 원인
3.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생산성 격차 확대
제3절 1960년대 이후 건설업 - 정부투자의 역할과 생산성에 대한 영향
1. 건설업의 개요
2. 건설업과 정부투자의 관계
3. 건설업의 노동생산성
참고문헌

제5장 상업과 서비스 서비스산업의 전개와 정책
제1절 서비스경제화의 가속과 다양화
1. 서비스경제화의 동향과 구조 변화
2. 서비스경제화의 메커니즘
3. 서비스산업 정책의 전개
4. 서비스경제화와 경제·사회
제2절 무역수지 흑자와 해외직접투자의 진전
1. 일본의 무역수지 흑자
2. 수입 경쟁과 국내 산업
3. 해외직접투자의 진전과 무역구조의 변천
4. 변화가 예상되는 일본의 국제무역
제3절 운수와 지역경제
1. 자동차·항공·해운의 추이
2. 자동차
3. 고속도로망의 건설
4. 항공
5. 해운
6. 운수정책과 지역경제
참고문헌

권말 부록 생산·물가·소득의 추정
부표 1 생산·인구·생산요소 투입·분배율·생산성·물가·환율·임금률의 시계열(1970~2017)
부표 2 노동생산성 상승의 원천-성장회계분석
부표 3 산업별 부가가치와 생산요소 투입(1970, 80, 90, 2000, 12년)
부표 4 명목 및 실질 사회자본스톡의 추이
부표 5 명목 국내총지출의 구성(1970~2017)
부표 6 산업별 명목 총산출액과 그 용도 및 명목부가가치의 구성(1970, 80, 90, 2000, 12년)
부표 7 저축·투자균형의 추이(명목GDP 대비 비율, 1955~2016)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深尾京司 (엮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中村尙史 (엮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中林眞幸 (엮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윤종인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제경제학과(학사, 석사), 경제학부(박사) 현 백석대학교 경상학부 교수 논문 “Do Small Firms Grow Faster than Large Firms?,” ��산업조직연구』, 2019(in Korean) “The Growth of Employment and Gibrat's Law,” ��경제학연구』, 2019(in Korean) “Top Income Share and Income Distribution Function,” ��통계연구』, 2018(in Korean) “A Study on the Age Effects and the Cohort Effects of Income Distribution in Korea,” ��경제학연구』, 2018(in Korean) “Empirical Studies on the Income Distributions using the Life-time Incomes: Focusing on the Cohort Effects,” ��재정학연구』, 2017(in Korean) “A Cohort Analysis of the Household Savings in Korea,” ��재정학연구』, 2016(in Korean) 관심 분야 거시경제학의 연구자로서 한국경제의 장기 추세 분석과 향후 전망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1980년대 이후 일본의 현대경제사는 귀중한 교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본서를 번역하기로 하였습니다. 한국경제와 일본경제는 다른 점도 많지만 유사한 점도 많습니다. 그중에서도 빠른 속도의 고령화는 한국과 일본이 공유하고 있는 가장 큰 고민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일본은 지금까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었으며, 세계에서 최초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나라입니다. 하지만 현재 진행되고 있는 고령화의 속도를 보면 한국이 일본을 능가합니다. 따라서 일본이 겪어 왔던 ‘잃어버린 10년’과 같은 현상이 한국에서 나타날 가능성은 매우 높고, 아마도 보다 더 심각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장기정체기의 일본경제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축적되었고 그 성과가 본서에 정리되어 있다고 생각합니다. 본서가 한국의 여러 독자들에게 널리 읽히기를 기대합니다. 이를 통하여 한국경제에 대한 이해, 그리고 더 나아가서 위기의식이 더 확산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