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유라시아 고려인, 디아스포라의 아픈 역사 150년

유라시아 고려인, 디아스포라의 아픈 역사 150년

(개정증보판)

김호준 (지은이)
주류성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10% 0원
1,500원
25,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3개 12,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유라시아 고려인, 디아스포라의 아픈 역사 150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유라시아 고려인, 디아스포라의 아픈 역사 150년 (개정증보판)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88962461138
· 쪽수 : 580쪽
· 출판일 : 2013-11-15

책 소개

광활한 유라시아 대륙에 흩어져 살고 있는 50만 고려인의 150년 역사를 개괄한 통사. 한국의 역사학계는 지금까지 카레이스키 통사, 즉 유라시아 고려인 통사를 내놓은 적이 없다. 사학자가 아닌 한 언론인이 그 통사에 도전했다.

목차

제1장 고려인과 연해주
Ⅰ 고려인은 누구인가
Ⅱ 연해주는 고려인의 고향

제2장 연해주 개척시대
Ⅰ 두만강 건너 신천지로
Ⅱ 고려인 3부류로 나눠 차별
Ⅲ 20세기 초 정착마을 32개

제3장 항일독립운동 기지로
Ⅰ 국권 회복·의병운동 앞장
Ⅱ 차르와 천황의 틈바귀에서
Ⅲ 권업회 결성, 민족혼 고취

제4장 혁명과 내전의 와중에서
Ⅰ 고려인 사회, 정치적 분화
Ⅱ 상해임정 참여 싸고 분열
Ⅲ 4월참변
Ⅳ 두 개의 고려공산당 대립
Ⅴ 자유시사건 121
Ⅵ 적군(赤軍)과 연대하여

제5장 소비에트 시대
Ⅰ 토지소유의 기대 컸지만
Ⅱ 강제이주 선행실험
Ⅲ 잠재력 지닌 민족공동체

제6장 ‘국가테러리즘의 극치’ 강제이주
Ⅰ 피의 전야제
Ⅱ ‘일본간첩’ 누명 씌워
Ⅲ 지도층 무더기 체포-공포 조성
[인터뷰] 강제이주 1년 전에 온 오청구
Ⅳ 중앙아시아행 ‘검은 상자’
Ⅴ 12월까지 18만 명 이주

제7장 한반도-서역(중앙아시아) 교류사 [고대·중세]
Ⅰ 서역은 한반도행 문화통로
Ⅱ 서역을 간 고대 한인들

제8장 고려인의 중앙아시아 진출 [강제이주 이전]
Ⅰ 1897년 24명 거주등록
Ⅱ 1920년대 유럽러시아지역 확산
[인터뷰] 최 류드밀라의 키르기스스탄 정착
Ⅲ 카자흐스탄 유배살이

제9장 중앙아시아 정착 [강제이주 이후]
Ⅰ 땅굴 파고 움막생활
Ⅱ 거주 제한, 내륙에 갇힌 포로
Ⅲ 60% 재배치, 이탈 성행
[인터뷰] ‘파란 눈의 고려인’ 니나 할머니

제10장 고려인과 2차 세계대전
Ⅰ 소련 승리 위해 헌신적 지원
Ⅱ 남자는 노동군 동원
Ⅲ 성공 신화(神話)를 쓰다
Ⅳ 북한 창건 전위대로
Ⅴ 교육·노동에 ‘올인’

제11장 스탈린 사망 후 넓어진 영역
Ⅰ 거주제한 해제, 정치참여 허용
Ⅱ 북한에선 숙청당하고 305
Ⅲ 고향의 그리움과 역사 복원
Ⅳ 도시 이주, 전문직 도전
[인터뷰] 최장수 각료 김 니키포르
Ⅴ 독창적 생존전략 고본질
[인터뷰] 고본질 백만장자 신 아나톨리

제12장 ‘역사의 미아’ 사할린 고려인
Ⅰ 악명 높은 유형지(流刑地)
Ⅱ 귀환 불허에 무국적으로 살아

제13장 소련 붕괴와 그 파장
Ⅰ ‘전주곡’ 페레스트로이카
Ⅱ 고려인탄압 죄과(罪過) 인정
Ⅲ 토착민 득세, 소수민족 차별
Ⅳ ‘꿈속의 꿈’ 고려인 자치주

제14장 고려인 다시 황야에
Ⅰ 역마살 타고 났나-재이주 물결
[인터뷰] 한국서 온 목사 류동수
Ⅱ 두 흐름-러시아행과 한국행

제15장 재기하는 고려인 [유라시아 2000년대]
Ⅰ 자영업에 몰려
[인터뷰] 도르도이의 또순이 윤 스베타
Ⅱ 카자흐스탄서 두각
Ⅲ 선거직 도전 활발
[인터뷰] 키르기스스탄 3선의원 신 로만

제16장 유라시아 고려인 분포 현황
[인터뷰] 탈영한 북한군 대위 출신 김수봉
총 48만-우즈베키스탄・러시아에 많아
Ⅰ 슬라브문화권
1, 러시아연방
① 모스크바·상트페테르부르크 ② 사할린 ③ 연해주
④ 남부 지역 [인터뷰] 연해주로 이주한 최 니키타
2, 우크라이나
3, 벨라루스
Ⅱ 이슬람 문화권 458
1, 우즈베키스탄
2, 카자흐스탄
3, 키르기스스탄
[인터뷰] 사할린에서 온 황용근
[인터뷰] ‘자유언론의 횃불’ 김 알렉산드르
4, 타지키스탄 [인터뷰] 후잔드로 역주행한 고 갈리나
5, 투르크메니스탄
Ⅲ 무국적 고려인
Ⅳ 한국 속의 고려인
2만여 명 취업
[인터뷰] 서울 고려인촌의 박 알렉산드르.
[인터뷰] 안산 땟골의 김 갈리나
[인터뷰] 고려인출신 주한대사 편(片) 위탈리

제17장 고려인의 문화·유산·정체성
Ⅰ 세시풍속과 생활문화
Ⅱ 무너진 집단농장
Ⅲ 고려일보·고려극장
Ⅳ 민족 정체성

맺는말 ; 왜 지금 고려인인가? 그들을 재조명한 이유
참고문헌
색인

저자소개

김호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젊은 시절부터 역사문제에 관심이 많았던 저널리스트다. 그동안 언론과 해로(偕老)해온 저자가 고희에 처음 내놓은 역사서가 ‘유라시아 고려인 - 디아스포라의 아픈 역사 150년’이다.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한 후 미국 조지타운대학교와 존스홉킨스대학교 SAIS에서 수학하고,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최고위언론과정을 수료하였다. 서울신문과 문화일보에서 기자, 워싱턴특파원, 편집국장, 논설주간, 편집인 등으로 활약하고 한양대학교와 충남대학교에서 ‘논설과 평론’을 강의하였다. 저서로는 ‘사설(社說)이란?’이 있다. 공직에 나가 국가인권위원회 상임위원, 신문발전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현재는 북한주민의 인권 개선 및 고려인 돕기 운동을 벌이는 시민단체에 관여하고 있다. 지난 10년의 현지답사와 연구를 토대로 쓴 이 책은 50만 고려인의 150년 역사를 통사(通史)로 정리한 것이다. 조선조 말인 1860년대 연해주로 건너간 뒤 1937년 스탈린에 의해 중앙아시아로 강제이주를 당한 처절한 수난, 그리고 성공한 소수민족으로 일어섰다가 다시 유랑의 길로 나서야 했던 ‘현대판 디아스포라’ 고려인들이 ‘역사적 조국’ 대한민국과 새롭게 만나는 현재의 과정까지를 추적했다. 카레이스키(고려인) 역사의 복원이란 그동안 잊었던 민족사의 아픔과 근현대사의 숨은 그림 찾기라는 게 저자의 생각이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