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화학 교과서는 살아있다

화학 교과서는 살아있다

문상흡, 박태현, 하창식, 이관영, 오명숙, 탁용석, 노중석, 박승빈, 성종환 (지은이)
동아시아
1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2,600원 -10% 2,500원
700원
14,400원 >
12,600원 -10% 2,500원
0원
15,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G마켓 직접배송 1개 6,3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7,560원 -10% 370원 6,430원 >

책 이미지

화학 교과서는 살아있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화학 교과서는 살아있다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화학 > 쉽게 배우는 화학
· ISBN : 9788962620580
· 쪽수 : 275쪽
· 출판일 : 2012-10-19

책 소개

우리 주변 곳곳에 숨어 있는 화학적 작용과 원리를 밝힘으로써 화학을 재미있게 공부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그런 목적 아래, 대한민국 최고의 화학공학 교수들이 모여 화학의 기초부터 응용에 이르기까지 알기 쉽고 재미있게 설명하고 있다.

목차

여는 글 화학을 좋아하게 되는 책

제1장 아름다운 분자들의 세계
생명의 씨앗, DNA로 멸종 동물 살려내기 / 박태현
‘아나스타샤’는 진짜 러시아 공주일까? - DNA 지문법 / 박태현
Jump In Life DNA 세계에 불가능은 없다 - DNA로 만든 나노 로봇 / 박태현
신비한 나노 기술 -미인 만들기 프로젝트 / 성종환
Jump In Life 고분자가 제 이름을 찾기까지 / 하창식
나일론 - 세기의 발명품답게 어려웠던 이름 짓기 / 하창식

제2장 개성 넘치는 원소
케미 돋는 사랑 - 원자와 분자의 세계 / 노중석
세상을 이루는 물질 - 원소 이름과 원소 기호의 유래 / 오명숙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질서, 주기율표 / 노중석
산업의 비타민, 희토류 원소 / 오명숙
Jump In Life 63빌딩에 갇힌 전자 / 박승빈

제3장 닮은꼴 화학 반응
잉카 제국의 비극과 철 제련 기술 / 문상흡
반짝반짝 빛나는 금의 가치 / 탁용석
자동차가 움직이는 원리와 맥주의 발효 원리가 같다고? / 성종환
Jump In Life 전쟁을 연장시킨 과학자의 발명 / 문상흡

제4장 다양한 모습의 물질들
김연아 선수가 얼음 위에서 넘어지지 않는 이유는? / 박승빈
Jump In Life 태양열로 난방이 아니라 냉방을 한다고요? / 박승빈
부드럽고 고소한 지방의 두 얼굴 / 성종환
총알도 뚫지 못하는 방탄복 / 하창식
삼투압의 원리와 스포츠 음료 / 박태현

제5장 물질 변화와 에너지, 화학 평형
Jump In Life 붉은 악마의 추억 - 엔트로피와 자유 에너지 / 노중석
아낌없이 주는 석유 / 이관영
충전이 필요 없는 스마트폰 / 탁용석
물로 가는 자동차 / 탁용석
Jump In Life 화학과 전기가 하나가 되는 까닭은? / 탁용석

제6장 화학 반응과 속도
악마와 천사가 함께 준 선물, 화약 / 문상흡
예수의 시신을 덮은 수의 / 문상흡
마법의 촉매 / 이관영
Jump In Life 마징가 제트의 한글 선생님 만세! - 치글러·나타 촉매 / 하창식
새 옷을 헌 옷처럼 - 빈티지 청바지의 비밀은 효소 / 박태현

제7장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하는 화학
새로운 프로메테우스를 기다리며 / 문상흡
Jump In Life 바이오 에너지 - 옥수수로 가는 자동차 / 성종환
천 달러 지놈 시대와 우리의 미래 / 박태현

저자소개

문상흡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화학공학과 졸업하고 일리노이대학교 화학공학과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화학공학회 회장, 아시아-태평양 촉매학회연합회 회장, 한국공학한림원,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제9차 세계화학공학학술대회 조직위원장, 「어플라이드 카탈리시스Applied Catalysis A: General(Elsevier)」 편집인으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박태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화학공학과를 졸업했고, 카이스트에서 화학공학 석사학위를, 미국 퍼듀 대학교에서 화학공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어바인)에서 박사후연구원을 지냈고, LG 바이오텍 연구소 선임연구원, 성균관대학교 유전공학과 교수, 미국 코넬 대학교 객원교수, 서울대학교 바이오공학연구소 소장 및 생명공학공동연구원 원장을 역임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교수 및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원장으로 재직 중이며, 생물공학 분야의 대표적인 국제 학술지인 『엔자임 앤드 마이크로비얼 테크놀로지Enzyme and Microbial Technology』와 『바이오테크놀로지 저널Biotechnology Journal』의 에디터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미국화학회에서 출간한 『바이올로지컬 시스템 엔지니어링Biological Systems Engineering』을 비롯하여, 『생물공정공학』, 『미래를 들려주는 생물공학 이야기』, 『처음 읽는 미래과학 교과서: 생명공학』, 『영화 속의 바이오테크놀로지』, 『생명과학 교과서는 살아 있다』, 『화학 교과서는 살아 있다』등이 있다. 한국공학한림원 해동상(2013), 특허기술 대상 세종대왕상(2003), 아시아생물공학연합체 야벡 어워드YABEC award(2012), 한국화학공학회 형당교육상(2012), 한국생물공학회 우수기술연구상(2008), 서울공대 우수강의상(2011)을 비 롯한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현재는 생명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생산된 인간의 후각과 미각 수용체를 나노 기술과 접목시킴으로써, 인간의 후각 · 미각과 유사한 기능을 갖는 ‘바이오전자코’와 ‘바이오전자혀’ 개발을 위한 연구를 수행 중이다. 또한 과학과 대중과의 소통에 관심을 갖고, 교양과학 서적의 저술 및 TV 특강 등을 통한 대중강연을 펼치며 과학의 대중화에도 힘을 쏟고 있다.
펼치기
하창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수필가·공학자. 한국과학기술원(KAIST) 공학박사, 1982년 9월부터 38년 6개월간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교수 역임. 2021년 2월, 부산대학교 석학교수로 특별임용되어 연구 활동을 계속하면서 부산대학교 미래시민교육원에서 <효원수필아카데미> 강의도 맡고 있다. 1996년, 수필부산문학회를 통해 수필 동인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2008년, 월간 《수필문학》으로 늦깎이 등단 절차를 밟았다. 부산가톨릭문인협회 회장과 수필부산문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부산수필문인협회 부회장, 부산문인협회, 국제PEN한국본부 회원, ‘길’ 동인 등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문학 분야로는 부산문학상 (대상), 부산가톨릭문학상 (본상), 수필문학상 등을, 학술 분야로는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부산광역시문화상, 삼성고분자학술상, SPSJ International Award 등을 수상하였다. 『강의실 너머』 (2023, 부산대학교출판문화원), 『내게 울림 준 세계문학, 스물다섯』(2021, 부산대학교출판문화원) 등 열여섯 권의 수필집과 에세이집 및 『화학 교과서는 살아있다』 (2012, 동아시아) 등 스무 권의 전공 관련 저서 및 역서를 출간하였다. 요즈음은 부산매니아합창단 단원으로 활동하면서, 문학과 음악을 중심으로 한 ‘예술의 융합’에 관한 독서와 집필 작업, 그리고 강연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펼치기
이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화학공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일본 동경 대학교에서 합성화학 전공으로 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화학공학회 총무 이사, 한국연구재단 나노융합단장,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장을 지냈다. 지금은 고려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교수로서 KU-KIST 융합대학원장, 기술경영대학원장, 그린 스쿨 원장을 겸임하고 있고, 한국공학한림원 정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오명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UC Berkeley를 졸업하고 미국 MIT 대학에서 화학공학 박사학위를 받은 여성 공학인. 1994년부터 홍익대학교 공과대학 신소재화공시스템공학부에서 후학을 양성하고 있으며, 전문 분야인 화학공학, 에너지, 여학생 교육, 공학 교육 분야에서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다. 국내 최초 여성 공학 교육 프로그램 도입 등 남다른 발자취로 공학계 여성 진출에 새 길을 열었으며, 학생들에게 먼저 다가가는 스승이자 멘토이기도 하다. 2020년 현재 위셋의 이사장이다.
펼치기
탁용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하대학교 생명화학공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화학공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화학공학과 석사, 아이오와주립대학교 화학공학과 박사학위를 받았다. 워싱턴대학교, 네바다대학교 방문교수. 국제에너지기구 수소이용협약IEA HIA 집행위원회 위원을 지냈고, 한국전기화학회 연료전지 분과 회장으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노중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예스코(주) 대표이사. 예스코에너지 대표이사. 서울대학교 화학공학과를 졸업하고 KAIST 화학공학 석사, Syracuse대학 화학공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원자력연구소 연구원, GS-Caltex 기술연구소장·변화지원부문장, 극동도시가스(주) 기술연구소장·전략기획부문장을 지냈다.
펼치기
박승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카이스트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화학공학과를 졸업하고 KAIST 화학공학과 석사, 퍼듀대학교 화학공학과 박사학위를 받았다. 카이스트 공과대학 학장, 「Advanced Powder Technology」 편집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성종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홍익대학교 화학공학과 조교수.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석사, 코넬대학교 Chemical and Biomolecular Engineering 박사학위를 받았다.
펼치기

책속에서













영화 <쥬라기 공원>에는 공룡이 등장한다.


@ ‘아나스타샤’는 진짜 러시아 공주일까? - DNA 지문법 (박태현)

“DNA의 절반은 어머니로부터 또 다른 절반은 아버지로부터 받는다. 따라서 DNA 지문을 비교함으로써 친자확인이 가능하다. 아나스타샤라고 주장하는 여인이 진짜인지를 분간하기 위해서는, 이 여인의 DNA 지문을 황제와 황후의 DNA와 비교하면 된다. 만약 DNA가 각각 절반씩 일치하면 이 여인은 진짜 아나스타샤인 것이다. 이 작업을 위하여 과학자들은 먼저 DNA를 비교하여 유골 중에 어느 것이 황제의 것이고 어느 것이 황후의 것인지를 가려내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황후의 유골은 비교적 쉽게 확인할 수 있었다. 영국 엘리자베스 여왕의 남편인 필립 공이 황후의 조카손자이기 때문에 필립 공의 DNA를 얻어 이와 비교함으로써 황후의 유골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황제의 유골을 확인하기 위하여, 과학자들은 황제의 형인 게오르그 로마노프가 잠들어 있는 대리석 관을 열고 DNA를 채취하려 했으나, 정부가 이를 허락하지 않았다. 수소문 끝에 황제의 친척 조카가 영국에 살고 있다는 것을 알아내고 DNA를 채취하려 하였다. 그러나 그는 이에 응하지 않았다. 자신이 지금 영국에 살고 있지만 영국에 대한 감정이 좋지 않았다. 러시아 왕조가 멸망할 당시에 영국이 로마노프 왕조를 도와주지 않았기 때문에 영국의 과학자가 주도하는 이 작업을 도와줄 수 없다는 것이었다. 황제의 유골을 확인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동안에 황제의 피가 묻은 손수건이 일본에서 발견되었다. 손수건에 묻어 있는 혈흔에서 DNA를 채취하는 작업을 시도하였으나, 작업 도중 오염되어 DNA를 얻을 수 없게 되었다. 이런저런 어려움 끝에 드디어 공산당 정부는 황제 형의 대리석 관을 열고 DNA를 채취하도록 허락하였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62626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