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지구과학 > 지구
· ISBN : 9788962623833
· 쪽수 : 480쪽
· 출판일 : 2021-08-27
책 소개
목차
서론
1. 과학이 된 역사
연대기의 과학/ 세계사의 연대 추정/ 세계사의 시기 구분/ 역사로 본 노아의 홍수/ 유한한 우주/ 영원주의의 위협
2. 자연 고유의 고대품
역사가와 고대품 연구자/ 자연의 고대품/ 화석에 대한 새로운 관념/ 역사에 대한 새로운 관념/ 화석과 대홍수/ 지구의 역사를 그려내다
3. 큰 그림 그리기
새로운 과학 장르/ ‘성스러운’ 이론이라고?/ 지구가 서서히 식어간다고?/ 세계 기계가 순환한다고?/ 이전 세계와 현재 세계라니?
4. 시간과 역사의 확장
화석, 자연의 동전/ 지층, 자연의 기록 보관소/ 화산, 자연의 유적/ 자연사와 자연의 역사/ 지구의 시간 척도에 대한 추측
5. 시간의 한계를 깨트리다
멸종의 실재성/ 지구상의 마지막 혁명/ 현재, 과거의 열쇠/ 표석의 증언/ 성서의 대홍수와 지질학적 대범람
6. 아담 이전의 세계
지구의 마지막 혁명 이전/ 기묘한 파충류의 시대/ 새로운 ‘층서학’/ 지구의 장기 역사를 그려내다/ 서서히 식은 지구
7. 흔들리는 합의
지질학과 창세기/ 불편한 이방인/ 격변 대 균일/ 대’빙하기’
8. 자연사 속의 인류사
빙하기 길들이기/ 매머드에 둘러싸인 인간/ 진화 문제/ 인류의 진화
9. 파란만장한하고 심원한 역사
주변으로 밀려난 ‘지질학과 창세기’/ 지구의 역사에 지역 차를 반영하다/ 지질학의 세계화/ 생명의 기원을 향해서/ 지구 역사의 시간 척도
10. 세계화된 지구의 역사
지구 역사의 연대 추정/ 대륙과 대양/ 대륙 ‘표류’를 둘러싼 논쟁/ 새로운 지구적 지질구조학
11. 여러 행성 중 하나
지질연대학의 활용/ 격변의 귀환/ 머나먼 과거를 밝혀내다/ 우주 속의 지구
12. 결론
지구의 깊은 역사를 되돌아보며/ 과거의 사건과 그 원인/ 깊은 역사에 대한 지식은 얼마나 신뢰할 수 있는가?/ 지질학과 창세기 다시 보기
부록: 심원함에서 헤어 나올 수 없는 창조론자
용어 설명
더 읽을거리
감사의 말
옮긴이 후기
참고 문헌
삽화 출처
리뷰
책속에서
앞서 언급한 기원전 4004년이란 악명 높은 연도는 계몽된 이성의 진보에 저항하는 교회의 억압적 반계몽주의를 상징하는 것으로 널리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과학Science과 종교Religion, 교회Church와 이성Reason 같은 딱지(보통 단수이고 첫 글자를 대문자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를 붙이는 일에는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야 한다. 진짜 역사는 그렇게 추상적이지도, 깔끔하지도 않다. 사실 과학과 종교가 끊임없이 갈등한다는 고정관념은 그런 갈등의 예로 언급되는 사건들을 면밀히 연구한 역사가들에 의해 폐기된 지 오래됐다.
_ ‘서론’ 중에서
어셔의 증거에서 훨씬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다른 연대학자와 마찬가지로 성서가 아니라 고대의 세속 기록에서 끌어온 증거였다. 당연한 말이지만 어셔의 전거는 기원전에서도 최근에 가까운 시대에 대한 것일수록 풍부했고, 먼 과거로 가면 갈수록 그 수가 급격히 줄어들었다. 초창기에 대한 자료는 매우 빈약했고, 고작해야 인류의 초기 세대에 ‘누가 누구를 낳았더라’라는 창세기의 기록이 전부인 경우가 많았다. 이 점을 보면 어셔의 주요 목표가 세계에 대해 상세한 역사를 한데 엮는 것이었지 본래부터 천지창조의 연도를 확정하거나 전반적으로 성서의 권위를 드높이려던 것은 아니었음이 분명하다.
_ ‘1. 과학이 된 역사’ 중에서
예를 들어 그는 진기한 물건을 수집하는 사람들이 매우 귀중한 것으로 평가했던 다양한 모습의 아름다운 ‘암모나이트’를 두고 논쟁을 벌여야 했는데, 암모나이트는 당시 알려진 어떤 조개의 껍질과도 닮지 않았다. 그러나 그는 멀리 떨어진 곳에 사는 동식물에 대해 아는 바가 매우 적다는 사실을 알았기 때문에 화석으로만 알려진 조개일지라도 언젠가는 살아 있는 채로 발견되리라 예상하는 편이 사리에 맞다고 여겼다. 장거리 항해나 탐험이 이루어질 때면 처음 보는 새로운 형체의 물건이 유럽에 여럿 유입되었다. 후크는 그게 아니라면 마치 품종 개량으로 새로운 가축 품종이 나타나듯이 어떤 종은 시간이 흐르며 형상이 바뀌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이 부분에서 그의 생각은 진화에 대한 후대의 생각과 비슷하다는 오해를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_ ‘2. 자연 고유의 고대품’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