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지구의 깊은 역사

지구의 깊은 역사

(지구의 기원을 찾아가는 장대한 모험)

마틴 러드윅 (지은이), 김준수 (옮긴이)
동아시아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4,000원 -10% 700원 11,900원 >

책 이미지

지구의 깊은 역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지구의 깊은 역사 (지구의 기원을 찾아가는 장대한 모험)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지구과학 > 지구
· ISBN : 9788962623833
· 쪽수 : 480쪽
· 출판일 : 2021-08-27

책 소개

지구의 시간을 밝히는 사람들과 그들의 작업에 관한 이야기다. 그리고 존재하지 않던 분야의 과학이 탄생하고 발전하며 성숙하는 모습을 그려낸 대서사시이기도 하다. 한 가지 주제를 두고 다양한 이론이 경합하며 문제를 해결해내는 과정을 풍부한 자료를 제시하며 펼쳐 보인다.

목차

서론

1. 과학이 된 역사
연대기의 과학/ 세계사의 연대 추정/ 세계사의 시기 구분/ 역사로 본 노아의 홍수/ 유한한 우주/ 영원주의의 위협

2. 자연 고유의 고대품
역사가와 고대품 연구자/ 자연의 고대품/ 화석에 대한 새로운 관념/ 역사에 대한 새로운 관념/ 화석과 대홍수/ 지구의 역사를 그려내다

3. 큰 그림 그리기
새로운 과학 장르/ ‘성스러운’ 이론이라고?/ 지구가 서서히 식어간다고?/ 세계 기계가 순환한다고?/ 이전 세계와 현재 세계라니?

4. 시간과 역사의 확장
화석, 자연의 동전/ 지층, 자연의 기록 보관소/ 화산, 자연의 유적/ 자연사와 자연의 역사/ 지구의 시간 척도에 대한 추측

5. 시간의 한계를 깨트리다
멸종의 실재성/ 지구상의 마지막 혁명/ 현재, 과거의 열쇠/ 표석의 증언/ 성서의 대홍수와 지질학적 대범람

6. 아담 이전의 세계
지구의 마지막 혁명 이전/ 기묘한 파충류의 시대/ 새로운 ‘층서학’/ 지구의 장기 역사를 그려내다/ 서서히 식은 지구

7. 흔들리는 합의
지질학과 창세기/ 불편한 이방인/ 격변 대 균일/ 대’빙하기’

8. 자연사 속의 인류사
빙하기 길들이기/ 매머드에 둘러싸인 인간/ 진화 문제/ 인류의 진화

9. 파란만장한하고 심원한 역사
주변으로 밀려난 ‘지질학과 창세기’/ 지구의 역사에 지역 차를 반영하다/ 지질학의 세계화/ 생명의 기원을 향해서/ 지구 역사의 시간 척도

10. 세계화된 지구의 역사
지구 역사의 연대 추정/ 대륙과 대양/ 대륙 ‘표류’를 둘러싼 논쟁/ 새로운 지구적 지질구조학

11. 여러 행성 중 하나
지질연대학의 활용/ 격변의 귀환/ 머나먼 과거를 밝혀내다/ 우주 속의 지구

12. 결론
지구의 깊은 역사를 되돌아보며/ 과거의 사건과 그 원인/ 깊은 역사에 대한 지식은 얼마나 신뢰할 수 있는가?/ 지질학과 창세기 다시 보기

부록: 심원함에서 헤어 나올 수 없는 창조론자

용어 설명
더 읽을거리
감사의 말
옮긴이 후기
참고 문헌
삽화 출처

저자소개

마틴 러드윅 (지은이)    정보 더보기
캘리포니아대학교 샌디에이고 분교의 역사학 명예교수이자 케임브리지대학교 과학사 및 과학철학과의 방문교수이다. 고생물학자로서 학계에 첫발을 내딛었으며, 이후 과학사학자로 활동하며 오랫동안 지구과학의 역사에 천착해왔다. 지은 책으로 『화석의 의미The Meaning of Fossils: Episodes in the History of Paleontology』(1972), 『데본 대논쟁The Great Devonian Controversy: The Shaping of Scientific Knowledge among Gentlemanly Specialists』(1985), 『시간의 한계를 깨트리다Bursting the Limits of Time: The Reconstruction of Geohistory in the Age of Reform』(2005), 『아담 이전의 세계World before Adam: The Reconstruction of Geohistory in the Age of Reform』(2008) 등이 있다.
펼치기
김준수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에서 과학기술사를 공부했으며, 지구과학, 생태학, 환경공학 등 인간과 주변 환경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여러 과학과 기술의 역사, 현대 사회를 지탱하는 물질적·비물질적 인프라 등에 관심이 있다. 옮긴 책으로 『지구온 난화를 둘러싼 대논쟁』, 『숫자, 의학을 지배하다』(공역)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앞서 언급한 기원전 4004년이란 악명 높은 연도는 계몽된 이성의 진보에 저항하는 교회의 억압적 반계몽주의를 상징하는 것으로 널리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과학Science과 종교Religion, 교회Church와 이성Reason 같은 딱지(보통 단수이고 첫 글자를 대문자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를 붙이는 일에는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야 한다. 진짜 역사는 그렇게 추상적이지도, 깔끔하지도 않다. 사실 과학과 종교가 끊임없이 갈등한다는 고정관념은 그런 갈등의 예로 언급되는 사건들을 면밀히 연구한 역사가들에 의해 폐기된 지 오래됐다.
_ ‘서론’ 중에서


어셔의 증거에서 훨씬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다른 연대학자와 마찬가지로 성서가 아니라 고대의 세속 기록에서 끌어온 증거였다. 당연한 말이지만 어셔의 전거는 기원전에서도 최근에 가까운 시대에 대한 것일수록 풍부했고, 먼 과거로 가면 갈수록 그 수가 급격히 줄어들었다. 초창기에 대한 자료는 매우 빈약했고, 고작해야 인류의 초기 세대에 ‘누가 누구를 낳았더라’라는 창세기의 기록이 전부인 경우가 많았다. 이 점을 보면 어셔의 주요 목표가 세계에 대해 상세한 역사를 한데 엮는 것이었지 본래부터 천지창조의 연도를 확정하거나 전반적으로 성서의 권위를 드높이려던 것은 아니었음이 분명하다.
_ ‘1. 과학이 된 역사’ 중에서


예를 들어 그는 진기한 물건을 수집하는 사람들이 매우 귀중한 것으로 평가했던 다양한 모습의 아름다운 ‘암모나이트’를 두고 논쟁을 벌여야 했는데, 암모나이트는 당시 알려진 어떤 조개의 껍질과도 닮지 않았다. 그러나 그는 멀리 떨어진 곳에 사는 동식물에 대해 아는 바가 매우 적다는 사실을 알았기 때문에 화석으로만 알려진 조개일지라도 언젠가는 살아 있는 채로 발견되리라 예상하는 편이 사리에 맞다고 여겼다. 장거리 항해나 탐험이 이루어질 때면 처음 보는 새로운 형체의 물건이 유럽에 여럿 유입되었다. 후크는 그게 아니라면 마치 품종 개량으로 새로운 가축 품종이 나타나듯이 어떤 종은 시간이 흐르며 형상이 바뀌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이 부분에서 그의 생각은 진화에 대한 후대의 생각과 비슷하다는 오해를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_ ‘2. 자연 고유의 고대품’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626238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