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생활환경계열 > 관광학
· ISBN : 9788962923926
· 쪽수 : 330쪽
· 출판일 : 2012-12-31
책 소개
목차
제1부
책머리에
Ⅰ. 축제와 지역축제
1. 축제와 현대인
2. 축제의 의미
3. 현대사회 변화와 축제적 변형
4. 축제의 지향점
5. 지역축제의 의미 확장
6. 문화감성 시대의 지역축제의 가치
7. 축제를 통한 지역갈등의 해소와 관광자원화
Ⅱ. 충북의 지역축제의 현황과 전망
1. 머리말
2. 충북 수계별 지역축제 양상
2-1. 충북 남한강 수계 축제
: 단양지역, 제천지역, 충주지역, 괴산지역
2-2. 충북 중간 수계 축제
: 청원지역, 청주지역, 진천지역, 증평지역, 음성지역
2-3. 충북 금강 수계 축제 : 영동지역, 보은지역, 옥천지역
3. 충북 지역축제의 잠재력과 경쟁력
4. 맺음말 : 지역축제의 전망
Ⅲ. 바우덕이축제의 팩션 담론과 확장
1. 머리말
2. 바우덕이축제 팩션 담론과 축제콘텐츠
3. 바우덕이축제의 새로운 대안과 전망
4. 맺음말
Ⅳ. 아리랑축제 관련 문화유산과 소리축제
1. 머리말
2. 아리랑축제의 문화적 층위와 킬러콘텐츠
3. 아리랑축제와 소리축제의 미래지향성
4. 맺음말
Ⅴ. 지역문화콘텐츠의 원형자원과 품바축제
1. 머리말
2. 지역축제의 변화와 지역문화의 축제 기획
3. 축제콘텐츠의 원형자원과 지역축제 개발전략
4. 품바축제의 문제점과 지역문화 공연정책의 한계
5. 결론 및 제안
Ⅵ. 지역축제의 정체성과 신화적 상상력
1. 지역축제와 지역문화
2. 마당축제의 근원과 미래
3. 마당축제의 모성애와 신화적 상상력
4. 마당축제판의 다양한 성격
5. 동해안 지역 강릉단오제와 신화인물 : 창해역사(滄海力士)
6. 새로운 동해안 해양축제와 팩션이론 : 김이사부
7. 맺음말 : 바람직한 지역축제 만들기 전략
제2부
Ⅰ. 충청북도 북부지역 대표 축제 현황분석
(우륵문화제, 소백산철쭉제, 온달문화재)
1. 일반적현황
2. 만족도현황
3. 지역적파급효과
Ⅱ. 충청북도 북부지역 축제 마케팅방안
1. 우륵문화제 마케팅 방안
2. 소백산철쭉제 마케팅 방안
3. 온달문화제 마케팅 방안
Ⅲ. 지역사회 애착도를 활용한 충청북도 북부지역 축제 발전을
위한 제언
1. 머리말
2. 이론적 배경
3. 연구모형의 설정
4. 결 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