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88963247977
· 쪽수 : 212쪽
· 출판일 : 2021-03-25
책 소개
목차
■ 총서를 펴내며
■ 서문
I. 머리말I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대상 및 방법
3. 책의 구성
III. 이론적 배경I
1. 중국조선족의 이주 연구
2. 한국 거주 고려인 연구동향
3. 디아스포라와 초국적 네트워크
IIII. 중국조선족의 신 이주와 초국가적 삶I
1. 중국조선족의 신 이주
1) 중국의 개혁개방과 도시 이주
2) 세계화와 글로벌 이주
2. 중국 베이징 왕징의 조선족과 초국적 공동체
1) 중국의 신도시 개발정책
2) 한국인의 이주와 코리안타운 형성
3) 조선족의 이주와 정착
4) 다국적 기업 진출
5) 베이징 왕징 조선족의 커뮤니티 활동
6) 조선족 커뮤니티의 주요 기능
3. 일본 도쿄의 조선족과 커뮤니티
1) 조선족의 일본 이주와 특성
2) 재일조선족의 커뮤니티 조직과 활동
IIV. 고려인의 신 이주와 초국가적 삶I
1. 고려인의 한국 이주와 정착
1) 외국인 집거지의 개념과 유형
2) 외국인의 이주와 집거지 형성
3) 한국 내 고려인 현황
2. 한국 내 고려인의 공동체
1) 광주광역시 고려인마을의 형성
2) 광주광역시 고려인마을의 공간적 특성
3) 경기도 안산시 고려인마을의 형성
3. 한국 내 고려인의 네트워크
1) 광주광역시 고려인마을의 네트워크
2) 경기도 안산시 고려인마을의 네트워크
IV.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언어 사용과 민족교육I
1.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주류언어 사용
1) 디아스포라의 적응과 거주국의 언어
2) 코리안 디아스포라 거주국의 언어정책
3)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거주국 언어 사용 실태
2. 조선족교사의 언어사용과 조선족학교
1) 조선족의 이주와 사회적 변화
2) 조선족학교 조선어교사의 언어 사용
3) 조선족학교의 현실과 모국의 지원
4) 조선족학교의 발전 과제
3. 한국 내 고려인청소년의 교육
1) 다문화가정 자녀의 교육권
2) 한국의 다문화교육 정책
3) 다문화가정 자녀의 교육지원과 학교생활
4) 고려인청소년의 교육 현황 및 과제
IVI. 맺음말I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