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88963248097
· 쪽수 : 516쪽
· 출판일 : 2021-09-2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축사
머리말
I 조선왕국의 철도사
1 조선왕국의 철도소사
2 1882년 최초로 논의된 조선왕국 철도부설 문제
3 1892년 조선왕국의 경부철도 부설협의
4 1896년 경인철도 부설 허가
5 경인철도 첫 삽은 왜 쇠뿔고개에서?
II 대한제국의 철도사
1 대한제국의 철도소사
2 경인철도 부설과 미국의 시각
3 최초의 경인철도 집중탐구
III 일제강점기 철도사
1 일제강점기의 철도소사
2 한국철도의 역사가 담긴 등록문화재 ‘레일 한 토막’
3 철도어차(鐵道御車)
4 신문외정거장은 최초의 서울역
5 경부철도 부설
6 경부철도 남쪽 시발역과 부산역
7 경부철도의 첫 손님
8 경부선의 최초 지선 마산선
9 대한제국 경의철도 부설권을 노린 일본의 행태
10 경의철도와 압록강철교 부설
11 경의선과 철도학교의 탄생
12 조선왕조실록을 통해 본 임금님의 철도 이용 국토 순행
13 압록강철교(鴨綠江鐵橋)
14 대륙을 향한 열차
15 평남선(平南線)과 평양탄광선
16 역사 속으로 묻혀간 군산선(群山線)
17 호남선철도 부설운동을 벌인 민족 선구자 서오순
18 등록문화재 제428호 용산철도병원
19 프랑스인이 최초로 부설 특허를 신청한 호남선
20 철도관광이 시작된 경원선
21 철도의 시작과 한국 철도기구의 변천
22 한국철도와 남만주철도
23 경동선(慶東線)을 아시나요?
24 3.1독립 만세운동과 서대문역
25 경기도 장호원(長湖院)까지 운행된 철도
26 옛날 역사(驛舍) 이야기
27 한반도 종단철도를 이루어낸 함경선 이야기
28 제주도의 기찻길 흔적
29 서울-용산 교외순환철도(京龍郊外循環鐵道)
30 다목적 산업 금강산전기철도
31 협궤철도
32 송충이가 열차를 정지시킨 이야기
33 탄환열차부터 고속철도까지
34 인차철도 부설 허가 못 받고 협궤철도로 시작된 전라선
35 철도의 날 유감(有感)
36 미국에서 돌아온 황소상과 경춘선 이야기
37 인클라인, 스위치백 철도
38 빛바랜 기차표에서 찾아본 역사 이야기
39 태평양전쟁이 경북선 방향을 옮겨놓았다
IV 대한민국 철도사
1 대한민국 철도소사
2 광복 후 첫 서울역장
3 조선해방자호 열차
4 대한민국 철도 최초의 CEO
5 녹색경영(綠色經營) 선두주자는 영암선(嶺岩線) 철도
6 역사 속의 철도교량(鐵道橋梁)
7 전쟁과 철도인
8 철마는 달리고 싶다
9 전쟁이 남긴 철도문화재
10 「철도의 노래」의 변천
11 「교통부 부가」 노랫말을 쓴 이득룡(李得龍)은 누구인가?
12 귀빈차(貴賓車)
13 또 하나의 귀빈차(貴賓車)
14 창경원을 누빈 꼬마열차 삼천리호
15 철도 사보(社報)의 역사를 찾아
16 조국 근대화에 크게 기여한 철도인 안경모
17 역사 속에 묻힌 옛 서해안선(西海岸線)
18 사설철도로 시작한 충북선
19 규정 준수에 얽힌 생과 사의 갈림길
20 섬으로 간 기차
21 기찻길 자전거
22 추억 속의 열차 이름들
23 가까운 명학역 운임이 더 먼 금정역보다 비싸다?
24 우리의 도시철도
25 세계 최초로 교통카드를 탄생시킨 이야기
26 과거를 잊을 수는 있어도 지우지는 못한다
27 일본 철도박물관 탐방
28 금강(錦江)을 건너간 장항선(長項線) 기차
29 역사 속으로 찾아간 철도 CEO
30 해저터널 이야기
31 철도의 품을 떠난 철도문화재 ‘옛 서울역사’
32 세계 속의 철도박물관
33 50년 만에 찾아본 나의 첫 근무지 수인선 어천역
34 광주(光州) 철도 100년을 돌아보며
35 기찻길
36 철도역사 연구에 도움을 준 미국인 친구 이야기
37 25년 만에 다시 개업한 수인선 어천역의 57년 전 이야기
38 해저(海底)터널의 철도
39 철도사(鐵道史)에서 찾아본 억지춘양(春陽)
40 내가 겪은 세계 속의 한국철도
41 열차 이름 및 속도의 변천
42 철도기관 로고의 변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