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사회/심리학
· ISBN : 9788963306810
· 쪽수 : 373쪽
· 출판일 : 2011-08-30
목차
머리말
1부 다문화주의와 지역사회
제1장 다문화 사회와 지역사회
1. 다문화 현실과 다문화 공간의 형성
2. 다문화 사회와 다문화주의
3. 다문화 사회, 다문화주의 그리고 다문화 공간에서 정체성
제2장 다문화 사회와 시민성
1. 시민성의 의미와 내용
2. 다문화 사회의 정체성
3. 세계화와 세계시민성, 지역정체성
제3장 다문화 정책과 다문화 권리
1. 다문화 정책과 다문화 권리의 필요성
2. 근대적 인권의 발전과 다문화 권리의 형성
3. 다문화주의 정책과 동화주의 정책
4. 우리나라 중앙과 지역의 다문화 정책과 다문화 권리
5. 다문화 정책과 다문화 권리와 관련된 우리의 과제
제4장 다문화 사회와 역사 이해
1. 민족사의 틀을 넘어서
2. 국사교육과 민족
3. 민족주의 역사교육의 전통
4. 국사교육과 관용
5. 희망봉을 향하여
제5장 다문화 생태주의와 지역 지식
1. 다문화적 사고와 실천
2. 자연-사회의 관계와 자연 구성주의
3. 문화 생태학과 정치 생태학 접근
4. 환경 지역 지식과 지속 가능한 공동재 관리
5. 다원적 관점의 시도
2부 다문화교육의 지역화
제6장 다문화교육의 의미와 지역화
1. 다문화교육의 개념
2. 다문화교육의 역사
3. 다문화교육의 지역화
제7장 외국과 제주의 다문화교육 비교
1. 다문화 정책
2. 외국의 다문화교육
3. 제주의 다문화교육
4. 미래 제주의 다문화교육
제8장 다문화교육 관점과 다문화 학생 이해
1. 다문화교육에 대한 소고(小考)
2. 다문화교육 이념
3. 다문화, 교육과정과 학교현장의 문제
4. 다문화가정 학생의 이해
5.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습과 상담
제9장 다문화주의와 교육과정 지역화
1. 다문화주의에서 본 교육과정의 현주소
2. 다문화주의 교육과정 편성 원리
3. 지역 교육과정 편성과 다문화교육
3부 지역사회 다문화교육의 실제
제10장 다문화 음악교육의 현황 및 과제
1. 다문화 음악교육의 필요성
2. 제주 지역 다문화 음악교육의 실태 분석
3. 다문화 음악교육의 이론과 실제
제11장 다문화 사회의 정보활용 교육
1. 우리 생활과 정보사회
2. 사이버 세상
3. 정보사회에서 교육변화
제12장 다문화 수업 전략과 지역사회 자원 활용
1. 다문화 사회로의 문명사적 전환
2. 다문화 교육과정 개발과 가치 수업 전략
3.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한 다문화 수업 구성
제13장 다문화 수업 구성 및 비평
1. 다문화교육 담론을 들여다보며
2. 다문화 수업의 조건: 문화에 반응하여 가르치기
3. 다문화 관점으로 수업 관행 읽기
4. 다문화 수업의 여정을 떠나며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