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다문화교육의 이론과 실제

다문화교육의 이론과 실제

변종헌, 염미경, 권상철, 류현종, 김민호, 전영준, 황석규, 오고운, 장승심, 홍주희 (지은이)
박영스토리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000원 -0% 0원
570원
18,4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3,300원 -10% 660원 11,310원 >

책 이미지

다문화교육의 이론과 실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다문화교육의 이론과 실제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91185754352
· 쪽수 : 375쪽
· 출판일 : 2015-08-31

책 소개

다문화교육에 관한 기존의 서적들과 차별화하기 위해 ‘지역사회’라는 관점을 다문화교육과 연계하고자 애썼다. 다문화교육의 지역화 논리를 개발하기 위해 다문화교육이 지역사회에 기반을 두어야 하는 이유, 곧 지역사회가 지닌 다문화교육 환경으로서의 장점을 부각시키고자 했다.

목차

Chapter 01 다문화교육의 개념과 지역화 동향

1. 다문화교육의 개념 2
(1) 다문화교육의 목적_3
(2) 다문화교육에 대한 오개념_4
(3) 다문화교육의 유사 개념_5
2. 다문화교육의 맥락적 다양성 7
(1) 다문화교육의 다양성_7
(2) 다문화교육의 유형_8
3. 다문화교육의 지역화 동향 13
(1) 다문화교육의 지역화 필요성_13
(2) 다문화교육의 지역화 모형_21
(3) 다문화교육의 지역화 추진전략_23

Chapter 02 다문화현상과 지역사회

1. 다문화현실과 다문화공간의 형성 28
2. 다문화사회와 다문화주의 33
(1) 전통적인 문화 개념의 한계_33
(2) 다문화주의의 성립 배경_35
(3) 다문화주의의 개념적 구조와 한계_37
(4)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_42
3. 다문화사회, 다문화주의, 그리고 다문화공간에서 정체성 46

Chapter 03 다문화사회와 시민

1. 시티즌십의 의미와 내용 50
(1) 시민과 시티즌십_50
(2) 시티즌십의 내용_52
2. 다문화사회의 정체성 55
3. 세계화와 세계시민성, 지역정체성 59
(1) 세계시민성의 의미와 내용_61
(2) 제주인과 지역정체성_65

Chapter 04 우리 역사 속의 다문화양상

1. 머리말 70
2. 한국 고대사회의 다문화요소와 문화적 교류 72
3. 한국 중세사회의 다문화유형과 국가 정책 84
(1) 고려시대 팔관회의 설행과 문화교류_84
(2) 고려시대 異民族의 귀화 유형과 諸정책_100
(3) 고려후기 제주 移居 元이주민과 通婚_119
4. 맺음말 137

Chapter 05 다문화 생태주의와 지역 지식

1. 머리말 142
2. 자연-사회의 관계와 자연구성주의 143
(1) 자연-사회 관계의 변화_143
(2) 자연구성주의_144
3. 환경윤리 146
(1) 보전과 보존_147
(2) 동물의 해방과 심층 생태학_148
(3) 사례_150
4. 환경 지역 지식과 지속가능한 공동재 관리 156
(1) 과학 대비 지역 지식_156
(2) 지속가능한 공동재 관리_159
5. 제주 세계평화의 섬: 인간 간 그리고 인간-자연 간 평화 162
(1) 제주 평화 관광: 역사?문화_163
(2) 제주 평화 관광: 자연생태_165
6. 다원적 관점 보론: 후기식민주의 167

Chapter 06 외국 다문화교육 현황과 과제

1. 들어가기 174
2. 외국의 다문화교육 현황 175
(1) 유럽의 다문화교육_175
(2) 미주의 다문화교육_183
(3) 아시아 일본의 다문화교육_192
3. 외국과 한국 다문화교육의 과제 195

Chapter 07 제주 다문화교육 현황과 과제

1. 머리말 200
2. 한국 다문화교육 전달체계 201
3. 제주특별자치도 다문화현황 205
4. 제주 다문화교육 전달체계 208
5. 제주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실천 현황 210
(1) 제주다문화교육센터_210
(2) 중점학교_211
(3) 정책연구학교_217
6. 제주 다문화교육의 의미와 과제 219
(1) 제주 다문화교육의 의미_219
(2) 제주 다문화교육의 과제_220
(3) 제주 다문화교육의 미래를 위하여_220

Chapter 08 다문화교육과 지역교육과정 운영

1. 교육과정과 다문화교육 224
(1) 교육과정이란 무엇인가?_224
(2) 우리나라의 다문화교육은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가?_226
2. 다문화교육과정: 베넷의 의사결정 모델 231
3. 다문화교육과정의 편성 원리 235
(1) 다문화교육의 목적 선정_235
(2) 다문화교육 내용의 선정과 조직_238
4. 다문화교육과정의 실행 241
5. 다문화관점과 지역교육과정 편성 244
(1) 다문화교육과 지역사회_244
(2) 다문화교육과정 편성의 기대효과_245

Chapter 09 문화반응교수를 적용한 초등 다문화교육

1. 문화반응교수 248
(1) 문화반응교수의 특징과 개념_249
(2) 문화반응교수의 필요성_251
(3) 문화반응교수의 주요 요소_254
2. 다문화교육의 목적과 문화반응교수 257
(1) 다문화교육의 목적_257
(2) 다문화교육과 문화반응교수_258
3. 다문화가정 학생의 이해 260
(1) 다문화교육에서 교사의 역할_260
(2) 다문화가정 학생의 문화 이해_263
4. 문화반응교수를 적용한 다문화교실 수업 사례 265
(1) CRT 교사의 기본 신념 적용 수업 사례_266
(2) CRT 내용선정원리(IE) 적용 수업 사례_273
(3) CRT 학생참여원리(SE) 적용 수업 사례_282
(4) CRT 학습평가원리(LA) 적용 수업 사례_287

Chapter 10 학급 내 상호문화교육 탐색

1. 다문화주의 교수방법의 이론적 근거 294
2. 다문화주의 교수방법 개선의 현실적 근거 296
(1) 결혼이주민 자녀에 대한 사회적 분리_296
(2) 결혼이주민 자녀의 학습 부진_297
(3) 정주민 학생 대상의 상호문화교육 소홀_298
(4) 학교 안팎의 자민족중심주의적 풍토_299
3. 다문화주의에 대한 대안으로서 ‘상호문화주의’ 303
4. 상호문화교육의 특징과 등장과정 305
5. 상호문화교육 모형 308
(1) 상호문화적 접근을 적용한 주요한 교육 분야_308
(2) 상호문화교육에서 주요한 교수법_312

Chapter 11 세계의 음악과 다문화교육

1. 개 관 316
2. 제주지역 초등학교의 다문화학급 현황 317
3. 다문화음악수업의 실제: 문화의 ‘다름’과 ‘같음’ 그리고 ‘다문화감수성 함양’ 319
(1) 베트남 음악의 이해_319
(2) 몽골음악의 이해_321
4. 다른 나라의 음악체험활동을 통한 다문화감수성 함양 322
(1) 풍가 알라피아: 나이지리아 동요_322
(2) 시마마 카: 탄자니아 동요_323
5. 다문화사회의 상호 ‘소통’ 방법 모색 325

Chapter 12 다문화수업 구성 및 비평

1. ‘다양성’과 역사학습 328
2. 역사 수업 실행: 고려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332
(1) 신분에 따라 사람들의 생각과 행동이 다름을 알기_332
(2) 시와 이야기를 읽으며 고려 사람들의 삶을 느껴보기_335
(3) 신분제도의 계층 속에서 다양한 사람들을 바라보기_341
(4) 학생들의 생각을 매개로 ‘고려 사람들의 삶’ 생각하기_350
3. 역사 수업 성찰: ‘다양성’을 가르친다는 것 356
(1) 역사학습 내용의 다양성_356
(2) 역사 해석의 다양성_359
(3) 역사학습 방법의 다양성_361
4. 맺음말 364

참고문헌 366

찾아보기 367

저자소개

염미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제주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 교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평화인권헌장 제정위원회」 위원 한국사회과교육학회 부회장, 한국열린교육학회 부회장 전남대학교 대학원 사회학박사(인구·지역사회학 전공)
펼치기
류현종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제주대학교 교육대학 교수. 한국교원대학교 사회과교육 전공에서 박사학위 취득. 논문으로 <‘사건’과 ‘정서’로 역사수업 읽기>(≪사회과교육연구≫ 제21권 1호), <초등학생들의 시 쓰기 활동에 나타난 역사 이해 및 재현 양상>(≪역사교육연구≫ 17호), <‘수업공동체’ 활동을 통한 사회과 수업의 성찰과 소통>(≪사회과교육연구≫ 제20권 1호), <제주 지역 교과서에 나타난 동아시아 재현 양상>(≪동양문화연구≫ 12호), 공저로 ≪지역과 사회과교육≫, ≪지역사회와 다문화교육≫ 등이 있다.
펼치기
김민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제주대학교 교육대학 교수.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교육사회학으로 석사학위를, 평생교육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UCLA와 KSU 방문 교수, 한국평생교육학회 회장, 한국초등교육학회 회장, 제주참여환경연대 공동대표, 대통령자문교육혁신위원회 상근전문위원을 역임했다. 『다문화 시민교육의 과제』(한국문화사, 2024), 「The implications of ‘May 4, 1970 and its aftermath’ for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The constitutional rights against national security ideology」(비교교육연구, 2023), 「평생교육 관점에서 바라본 시민교육의 과제: 확장에서 혁신과 통합으로」(교육학연구, 2021) 등의 논저가 있다.
펼치기
황석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사단법인 제주다문화교육·복지연구원 원장 제주시민고충처리위원회 위원장 독일 빌레펠트대학교 사회학 박사
펼치기
오고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제주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과정 수료(교육과정전공) 러시아 모스크바 국립사범대학교 대학원 석사 (현)제주대학교 국제교류본부 한국어과정 한국어 강사
펼치기
장승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제주 애월읍 애월리 출생. 제주교육대학 졸업. 제주대학교 대학원 졸업 (교육학 박사). 2002년 《시조세계》 신인상. 한국문인협회·한국시조시인협회·제주문인협회·애월문학회·시조세계포엠 회원. 시조집 『구상나무 얹힌 생각』(2015), 『울 어머니 햇빛』(2020) 발간. 물메초, 더럭초, 월랑초 교장 정년퇴임. 지속가능발전교육상. 대한민국공무원상 근정포장. 황조근정훈장. 공저 『지역사회와 다문화교육』(학지사), 『다문화교육의 이론과 실제』(박영스토리). 제주대학교 강사(2011년~2021년). 한국건강가정진흥원 다문화·다양한가족 이해교육 전문강사.
펼치기
장승심의 다른 책 >
홍주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대학원 음악학 박사(음악인류학전공) (전)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학교예술강사지원사업 제주지역 위원장 (현)제주대학교 교육대학 음악교육전공 교수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857544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