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평생교육론

평생교육론 (김신일 외)

김신일, 강대중, 김민호, 김현수, 양은아, 양흥권, 이지혜, 채재은, 최돈민, 최선주, 현영섭 (지은이)
교육과학사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10,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평생교육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평생교육론 (김신일 외)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88925414171
· 쪽수 : 464쪽
· 출판일 : 2019-08-30

책 소개

평생교육학은 학교중심교육학과 다른 패러다임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혁신적이다. 성인기와 노년기 그리고 유아기도 포함하여 생애의 각 단계마다 학습의 필요가 있으므로 그 생애단계에 적절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에 목표를 둔다.

목차

서문 / 3

제1부 역사와 관점
제1장 평생학습자와 평생교육의 대두(김신일) 11
1. 교육과 학습 13
2. 학습활동 관리 17
3. 문명 단계별 학습관리 21
4. 평생학습론 31

제2장 평생교육의 발전 과정(강대중) 39
1. 사회교육에서 평생교육으로 40
2. 성인교육에서 평생교육으로 47
3. 담론의 확장과 평생교육 66

제3장 성인학습과 평생학습(강대중) 73
1. 동물의 학습과 인간의 학습 73
2. 페다고지에서 안드라고지로 77
3. 성인학습의 이론적 지형 83
4. 자생적 평생학습 이론을 향하여 96

제2부 평생교육의 관리
제4장 평생교육의 시설과 공간(양흥권) 105
1. 평생교육시설 106
2. 평생교육법에 규정된 평생교육시설 운영현황 108
3. 기타 평생교육시설과 운영 현황 114
4. 평생교육시설의 변천과 현황 121
5. 평생학습도시와 평생교육시설 네트워크 126

제5장 평생교육의 제도와 재정(최돈민) 135
1. 평생교육 제도의 유형 137
2. 평생교육 법령 143
3. 평생교육 행정 체제 147
4. 평생교육 지원 체제 156
5. 평생교육 재정지원 제도 165

제6장 평생학습결과 인정제도의 부상과 정체(최선주) 175
1. 평생학습결과 인정제도의 부상 배경 175
2. 독학학위제 177
3. 학점은행제 184
4. 평생학습계좌제 190
5. 한국 평생학습결과 인정제도의 특징과 발전 과제 196

제7장 평생교육 현장 전문가: 평생교육사를 중심으로(김현수) 203
1. 평생교육 현장 전문가의 다양성 203
2. 평생교육사 211
3. 평생교육 현장전문가와 민간조직 232
4. 평생교육 현장전문가의 발전 과제 239

제3부 평생교육의 영역과 대상
제8장 문해교육과 평생교육(이지혜) 255
1. 평생학습사회에서 문해교육의 의미 255
2. 문해 개념의 변화 256
3. 성인문해 조사 264
4. 문해학습자 267
5. 문해교육 지원정책 및 제도 282
6. 문해교육의 과제 290

제9장 직업생활과 평생교육(현영섭) 297
1. 인생의 세 가지 상자와 순환교육 297
2. 평생직업교육체계와 능력중심사회의 논리 303
3. 직업세계의 전통적인 교육 이슈 313
4. 사회변화와 직업평생교육의 방향 325

제10장 고등교육과 평생교육(채재은) 341
1. 고등교육과 평생교육 연계의 배경과 의의 341
2. 고등교육과 평생교육 연계의 유형 및 현황 344
3. 고등교육과 평생교육 연계 제도 및 정책 348
4. 고등교육과 평생교육 연계에 대한 미래 전망 및 과제 365

제11장 시민참여교육(김민호) 373
1. 시민참여교육의 배경 373
2. 시민성과 시민참여교육의 의미 379
3. 시민참여교육의 역사 390
4. 시민참여교육의 유형 및 현황 393
5. 시민참여교육의 한계와 과제 401

제12장 인문예술교육(양은아) 415
1. 인문교양교육의 새로운 맥락화 415
2. 평생교육 맥락에서 인문교양학습의 재설정 428
3. 문화예술교육과 평생학습 431
4. 문화예술교육의 미래과제 445

찾아보기 / 454

저자소개

김신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명예교수. 서울대학교에서 교육학 석사, 미 피츠버그대학교에서 교육학 박사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교수, 한국평생교육학회 회장, 한국교육학회 회장, 미 노던일리노이대학교 방문교수,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백석대학교 석좌교수를 역임하였다. 주요 저서로 『학습사회』(학이시습, 2020), 『교육사회학』(교육과학사, 2022), 『나의 학문, 나의 삶 6』(서울대학교 명예교수협의회, 2022) 등이 있다.
펼치기
최돈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원자치도 대학의 평생교육체제지원사업센터 센터장. 한양대학교 대학원에서 교육학으로 석·박사를 취득했다. 현재 교육부 정책자문위원, 강원자치도평생교육협의회 위원으로 있다,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위원, 상지대학교 교수와 미래라이프대학 학장을 역임하였다. 한국평생교육학회 회장(2012~2013), 한국평생교육총연합회 회장(2015~2017), 한국비교교육학회 회장(2021~2022), 학점인정심의위원회 위원장(2021~2023),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이사((2021~2023) 등을 맡았다. 저서로 『교육의 이해』(학지사, 2024), 『비교교육학과 교육학』(양서원, 2018), 『한국교육정책 현안과 해법』(교육과학사, 2013) 등이 있다.
펼치기
강대중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평생교육 석사, 미 조지아대학교에서 성인교육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한국교육학회 부회장, 한국평생교육학회 학술위원장이다.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원장(2021~2023), 유네스코한국위원회 교육분과위원장(2021~2023), 한국학부모학회 회장(2020~2024), 법무부 교정정책자문단 위원(2013~2022), 교육인적자원부 부총리정책보좌관(2006~2008)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 『총장의 뉴 리더십: 평생교육체제 기반 대학 경영』(교육과학사, 2024), 『미래교육, 교사가 디자인하다(2판)』(교육과학사, 2024), 『미래사회와 평생교육』(교육과학사, 2022), 『질적 연구: 전통별 접근』(학지사, 2022), 『대한민국 학부모』(학이시습, 2022), 『교육사회학(6판)』(교육과학사, 2022), 『Powering a Learning Society During an Age of Disruption』(Springer, 2021), 『코로나19, 한국 교육의 잠을 깨우다』(지식공작소, 2020) 등이 있다.
펼치기
현영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고려대학교 대학원 성인계속교육학 전공으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한국인력개발학회 회장, 한국건강가정진흥원 이사, 대구행복진흥사회서비스원 이사를 맡고 있다.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위원(2007~2009), 국가평생교육진흥위원회 위원(2018~2019), 대통력직속 교육기부 진로체험기관 인증위원회 위원(2018~2020), UNESCO 한국위원회 GNLC 자문위원(2018~2019)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 『평생학습: 내 삶의 행복레시피』(박영스토리, 2024), 『평생교육론』(박영스토리, 2023), 『평생교육실습』(박영스토리, 2023), 『전환기의 HRD 연구의 미래를 묻다』(박영스토리, 2021) 등이 있다.
펼치기
김민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제주대학교 교육대학 교수.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교육사회학으로 석사학위를, 평생교육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UCLA와 KSU 방문 교수, 한국평생교육학회 회장, 한국초등교육학회 회장, 제주참여환경연대 공동대표, 대통령자문교육혁신위원회 상근전문위원을 역임했다. 『다문화 시민교육의 과제』(한국문화사, 2024), 「The implications of ‘May 4, 1970 and its aftermath’ for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The constitutional rights against national security ideology」(비교교육연구, 2023), 「평생교육 관점에서 바라본 시민교육의 과제: 확장에서 혁신과 통합으로」(교육학연구, 2021) 등의 논저가 있다.
펼치기
김현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순천향대학교 창의라이프대학 교수.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교육학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한국평생교육학회 부회장, 한국평생교육사협회 이사, 교육부 재정사업 자율평가 자체평가위원회 위원, 충청남도 평생교육협의회 위원, 경제·인문사회연구회 기획평가위원회 위원을 맡고 있다.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학점인정심의위원회 위원(2020~2022), 경기도평생교육협의회 위원(2020~2023), 교육부 대학교원임용양성평등위원회 위원(2019~2022), 농림축산식품부 농업마이스터 지정 심의위원회 위원(2012~2024), 교육부 대한민국인재상 중앙심사위원회 위원(2020~202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직업자격연구실장(1997~2014)을 역임했다. 저서로 『녹색성장 녹색직업 녹색인재』(박영사, 2009), 『자격과 직업능력개발』(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6)이 있다.
펼치기
양흥권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구대학교 실버복지·평생교육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평생교육 전공으로 교육학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대구대 글로컬라이프대학 학장과 평생교육원 원장이며, 영남평생교육학회장, 한국평생교육학회 부회장, 경상북도평생교육협의회 위원을 맡고 있다. 한국교육개발원 평생교육센터 부연구위원(2004~2007), 한국평생교육총연합회 사무총장(2013~2015), 경남평생교육진흥원 이사(2021~2023), 경북인재평생교육진흥원 운영위원(2017~2019)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학습세기의 교육론 평생교육론 2판』(2022),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 준비와 삶의 질』(2015), 연구물로 「경상남도 생애주기별 맞춤형 평생교육체제 구축방안 연구」(2020), 「중고령 성인의 생애재설계 지원 모형개발 연구」(2021), 「한국 대학평생교육의 특성 변천에 관한 연구」(2019) 등이 있다.
펼치기
채재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가천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다. 이화여자대학교 법학과,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하버드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수학했다. 대학 졸업 후 제36회 행정고시에 합격하여 교육부에서 약 10년간 근무했다. 2006년부터 교수, 연구자로 활동하고 있으며 고등교육과 평생교육 정책에 관련된 연구 및 평가, 컨설팅을 하고 있다. 교육부 및 기재부 자문위원, 한국대학평가원 평가위원, 한국장학재단 비상임이사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평생교육론』(공저, 2019), 『4차 산업혁명과 고등교육 개혁』(공저, 2018)이 있고, “특성화사업이 참여 대학들의 특성화 추진과정에 미친 영향”(공저, 2019)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양은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나사렛대학교 교육학부 특수교육과 교수.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평생교육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같은 대학에서 미술경영 전공으로 두 번째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평생교육학회 이사, 한국성인교육학회 이사, (사)한국평생교육사협회 이사, 아시아태평양학습도시연맹(APLC) 자문위원, (재)한국지역사회교육재단 자문위원,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연구·사업관리심의위원회 위원, 충청남도 아산시 인사위원회 위원 등을 맡고 있다. 저서로 『평생학습: 내 삶의 행복레시피』(박영스토리, 2024), 『표준화 교육에서 복잡성 교육으로』(교육과학사, 2021), 『마음과 학습: 교육학의 복잡계적 접근』(교육과학사, 2017), 『대학로: 교육공간에서 문화공간으로』(교육과학사, 2017) 등이 있다.
펼치기
이지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림대학교 일송자유교양대학 교수.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교육사회학 석사와 평생교육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이사, 삼성꿈장학재단 질적종단연구 책임자(2013~현재), (사)한국북앤리터러시연구소 부소장,(사) 청소년과나란히 이사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문화체육부 청소년위원회 전문위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원격교육연구소 책임연구원, 한국교육개발원 부연구위원, 한국평생교육학회 편집위원장, 국가문해교육심의회 위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저역서로는 『성인문해학습자』(학이시습, 2023), 『리딩마인드』(학이시습, 2019) 등이 있다.
펼치기
최선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연구원 (학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박사(평생교육 전공) (주요경력) 서울대학교 BK연구교수, UNESCO 평생학습연구소 방문연구원 (연구분야) 학습생애사, 성인학습이론, 사회적 경제의 학습관리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