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88963470863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13-06-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後記 - 필자 서문에 대신하여 -
1. ‘와질토기론’ 제창 이전의 원삼국토기 인식
일제강점기의 김해패총 조사 보고
1950년대의 ‘김해식 회도론’과 반박 또는 수정
1960년대와 1970년대 전반의 ‘김해식토기론’ 정리와 ‘원삼국시대론’ 제창
1970년대 후반의 ‘김해식토기론’ 보완과 원삼국토기의 규정
2. ‘김해토기론’에 대한 도전: ‘와질토기론’의 제기(1982년)
‘김해식토기’의 개념과 회의적 시각의 발생
‘와질’ 용어의 등장
신경철의 「부산·경남 출토 와질계 토기」
최종규의 「도질토기 성립 전야와 전개」
‘와질토기론’ 제기의 의의
3. 편년을 통한 ‘와질토기론’의 정비와 반향(1983~1985년)
최종규의 「慶州市 朝陽洞遺蹟 發掘調査槪要とその成果」
최종규의 「瓦質土器の檢討と意義」
김원용의 반박 「소위 ‘와질토기’에 대하여」
한병삼의 색다른 반박 「성주 출토 일괄 와질토기」
4. ‘도질토기론’의 정비와 ‘와질토기론’의 확대(1986년)
‘고식도질토기’의 편년
‘고식도질토기’의 발생과 상한 연대
‘고식도질토기’의 다원발생설
‘신식도질토기’의 등장과 신라토기 다원발생설
김원용에 대한 반박과 ‘와질토기’ 개념의 확대
5. ‘와질토기론’, 비판과 대안 모색, 그리고 일보 후퇴(1987~1989년)
김양옥의 반론: ‘와질토기’의 동남부지역 특수성론
이은창의 가야토기 고찰을 통한 반론
최성락의 반론 「원삼국토기의 변천과 문제점」
이성주의 혁신적인 원삼국토기 분석과 ‘와질토기론’ 재고
반증 자료에 봉착한 ‘와질토기론’의 일보 후퇴
전옥년의 ‘후기와질토기’ 형식분류와 편년
박순발의 한강유역 원삼국토기 인식과 편년
최병현의 영남지방 원삼국토기 편년과 ‘와질토기론’ 본격 비판
6. ‘전국계보설’의 정비와 생산체제로의 인식전환(1991~1994년)
이성주의 「원삼국시대 토기의 유형·계보·편년·생산체제」
최병현의 원삼국토기 생산체제 인식과 이성주 대안과의 대조
7. ‘와질토기’의 세부 편년과 비판에 대한 반격(1991~1996년)
신경철의 「韓國の瓦質土器」와 김원용의 비평
신경철의 「김해 예안리 160호분에 대하여」
임효택의 「낙동강 하류역 토광목관묘의 등장과 발전」
안재호의 「삼한시대 후기 와질토기의 편년」
최종규의 「도질토기」의 기원과 비판에 대한 본격 반격
김용성의 「토기에 의한 대구·경산지역 고대분묘의 편년」
8. ‘삼한시대후기 와질토기문화론’과 실험에 의한 소성법 연구(1995~1996년)
김미란의 소성 실험에 의한 원삼국토기의 연구
신경철의 ‘삼한시대사회론’과 ‘도질토기’ 기원 재론
신경철의 「와질토기문화론」
佐佐木幹雄의 「색조로 본 와질토기의 소성에 대하여」
9. 논쟁의 절정, 상호 재비판과 공격적 언쟁(1996~1998년)
최성락의 「와질토기론의 비판적 검토」
신종환의 「충북지역 삼한·삼국토기의 변천」
신경철과 최병현의 ‘마한토기’ 논쟁
최병현의 「원삼국토기의 계통과 성격」
10. 논쟁의 폐막, 세부편년의 종합과 관심의 확대(1990년대 말과 2000년대 초)
이성주의 진변한 토기의 편년과 단계별 기술혁신에 대한 평가
이성주의 「타날문토기의 전개와 도질토기 발생」
계량분석에 의한 토기 분류와 편년의 모색
안순천의 「삼한토기의 정면수법 연구」
김두철의 「타날기법의 연구」
맺음말 - 20세기 원삼국토기 논쟁의 성찰 -
1) 시대의 구분과 명칭
2) 분류
3) 계보
4) 가마와 토기의 번조 문제
5) 편년과 연대
6) ‘도질토기’의 발생과 삼국토기와의 관계
마무리
引用文獻
부록 1. 와질토기 논쟁의 계보(1914~2005)
부록 2. 와질토기논쟁 관련 주요 유적 조사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