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渡來人의 考古學과 歷史

渡來人의 考古學과 歷史

이송래, 멜빈 에이켄스, 지나 반즈 (지은이), 김경택 (옮긴이)
주류성
2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1,600원 -10% 0원
1,200원
20,400원 >
21,6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2,160원
19,44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渡來人의 考古學과 歷史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渡來人의 考古學과 歷史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고고학
· ISBN : 9788962465112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23-09-11

책 소개

1,400년간 (c. 800 BC~AD 600) 한반도에서 일본열도로 이동한 사람들, 기술, 그리고 문화. 최근까지 발견된 고고 및 역사자료를 바탕으로 서기전 800-600년경부터 서기 600년경까지 1,400년간 도래인 이야기를 7개 질문을 통해서 개관적으로 다룬다.

목차

『도래인의 고고학과 역사(Archaeology and History of Toraijin)』
한국어판을 내면서
도면/표 목록
지도 목록
일러두기
감사의 말
서문(Preface)

서론
Ⅰ. 주제의 중요성: 渡來人
Ⅱ. 철기/철공기술의 傳播/移植: 事例
Ⅲ. 정체: 그들은 어디에서 왔고, 열도에 무엇을 공헌했는가?
Ⅳ. 이주의 밀고 당기기의 역학
Ⅴ. 이 책의 주 목적: 일곱 가지 질문
Ⅵ. 이 책에 인용된 연구자료
고고자료
사료

제1장 / 쌀[水稻作技術]을 전파/이식한 도래인
Ⅰ.역사적·문화적 배경: 한반도 중기 무문토기사회의 송국리 유형 문화 (c. 900~400 BC)
1. 송국리식 토기
2. 취락
3. 농경
4. 석기
A. 농공구
B. 의식용 무기
5. 청동단검과 청동기 제작
6. 방직기술
7. 위신재 및 정치 권력의 상징
8. 무문토기시대 중기의 매장 의례
A. 거석 매장 구조: 지석묘
B. 석관묘
C. 옹관묘
9. 새로운 사회복합도
10. 무문토기시대 중기 사회의 밀고 당기기의 역학
Ⅱ. 벼와 벼농사기술에 익숙한 도래인들이 일본열도에 도착하다
1. 대륙에서 온 새로운 사람들
2. 열도에 나타난 새로운 주거 유형
3. 열도에 나타난 새로운 묘제
A. 지석묘(거석묘)
B. 석관묘와 옹관묘
4. 초기 도래인의 기여
A. 九州 북부의 수도작
B. 토기
C. 석기
D. 방직기술
5. 彌生時代 편년 문제
6. 기타 제문제/논란에 관한 전반적 합의

제2장 / 청동기/제작기술을 전파한 彌生(야요이) 중기의 도래인 (c. 350 BC~AD 50)
Ⅰ. 역사적·사회/문화적 배경: 무문토기시대 후기 (c. 400~50 BC)
1. 마한 전기의 세형동검문화
2. 철기와 철기 생산
3. 무문토기시대 후기 토기
4. 무문토기시대 후기의 매장 의례
A. 서북지방
B. 서남지방: 마한 전기
C. 동남지방
5. ‘삼보’: 검, 경, 곡옥
6. 무문토기시대 후기의 밀고 당기기의 역학
Ⅱ. 새로운 도래인 집단이 日本 九州에 오다
1. 새 도래인 취락
2. 彌生 중기 사회에 대한 새 도래인의 기여
A. 청동기 제작
B. 새로 등장하는 묘제
a. 목관묘 ……
b. 주구묘(周溝墓)
C. ‘삼보’: 검, 경, 곡옥
3. 九州 북부에 등장한 사회계층화
4. 반도/열도 간 교역의 시작

제3장 / 철기/철공 기술과 유리 제작 기술을 전파한 彌生(야요이) 후기/古墳(고훈) 전기의 도 래인 (c. AD 50~350) …
Ⅰ. 彌生 후기/古墳 전기 도래인의 역사와 사회/문화적 배경 : 삼한 (c. 50 BC~AD 300)
1. 『三國志』를 통해 본 삼한사회
2. 고고학적으로 본 삼한
A. 마한 후기 정치체들(c. AD 200~550)
B. 진한 정치체들
C. 변한 정치체들
3. 낙랑(樂浪)·대방(帶方)과 삼한(三韓) (지도 2.1 참조)
4. 삼한시대의 밀고 당기기의 역학
Ⅱ. 삼한으로부터의 새로운 도래인
1. 마한 후기 도래인들과 그들의 공헌
2. 열도 내의 변한/가야 초기 사람들: 변한/가야의 매장 의례, 철, 그리고 일본의 건국신화
3. 九州의 정치적 통합과 지역 간 전쟁
4. 한반도/열도 간 교역의 번창: 九州/近畿-늑도/김해 …

제4장 / 古墳(고훈)時代 중·후기의 도래인: “최근 도착한 숙련된 장인들(今來才技)” (c. AD 350~600)
Ⅰ. 역사문화적 배경: 한국 초기 국가들과 정치체들 (c. AD 300~700)
1. 개요
2. 백제, 가야, 후기 마한의 문화적·기술적 발전
A. 종교, 이데올로기, 예술, 건축
B. 철기 기술 …
C. 승마문화와 기병
D. 도질토기(陶質土器)
E. 금·금동·은 공예술
F. 검 문화
G. 묘제
H. 농경과 수리공학
3. 밀고 당기기의 역학: 한반도와 열도 내의 위기
A. 한반도 내의 위기
B. 열도 내의 위기
Ⅱ. 새로운 기술자들이 열도에 도착하다
1. 4C 말~5C 초는 “도래인의 세기”
2. 5C 중반~6C
3. 주요 도래인 취락들
A. 近畿 핵심지역(大阪, 奈良, 京都)
a. 大阪(河內) 평야의 도래인
b. 奈良 남부 飛鳥 지역의 도래인: 明日香村(東漢氏聚落地)
蘇我氏의 등장
분묘와 사원들
c. 奈良 南郷의 엘리트 도래인 기술자들
d. 山城의 도래인 취락
e. 고대 琵琶湖 주변과 近江의 도래인
B. 고대 吉備 (오늘날 岡山)의 도래인
C. 關東의 도래인
D. 九州의 도래인

제5장 / “최근 도착한 숙련된 장인(今來才技)들”의 古墳 중기·후기 사회에의 공헌
Ⅰ. 古墳時代 전기·중기 사회의 비교
Ⅱ. 기술 혁명
1. 鐵工業
2. 말 사육과 인마술
3. 홍수 통제, 토지 개간, 공공 사업
4. 금, 금동, 은 공예술
5. 잠사업
6. 須恵器 炻器 산업
Ⅲ. 사상적 변화
1. 大和 조정의 유교화
2. 국가를 위한 불교
3. 엘리트 묘제: 수혈식 묘제에서 횡혈식석실분으로
Ⅳ. 4C~6C 백제와 大和 엘리트 간 교환과 상호관계
1. 왕실 간 교류
2. 大和에 거주하는 백제 엘리트의 중간 역할
Ⅴ. 聖德太子: 604년 憲法十七條 공포와 도래인
Ⅵ. 大和 정권과 백제와의 지속적인 우애(友愛)

토론: 정복이 아닌 협력
결론

저자소개

이송래 (지은이)    정보 더보기
Song-nai Rhee (이송래) 인류학(고고학) 박사 (Ph.D. University of Oregon; 헤브라이어, 구약, 근동학 박사 [Ph.D., Dropsie Universityfor Hebrew and Cognate Learning(現 University of Pennsylvania Center for Advanced Judaic Studies)]; Bushnell University 학무 부총장 겸 고고학/근동사/구약 명예교수; University of Oregon, Center for Asia and Pacific Studies 우대 연구교수. 관심분야: 동아시아 역사와 고고학, 한국/일본 고대사, 도래 인 고고학, 이스라엘과 근동 역사와 고고학, 문명의 발생; 유태인 민족사, 고대 지중해 연안 성곽제도의 기원과 변천.
펼치기
멜빈 에이켄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류학(고고학) 박사 (Ph.D. University of Chicago); University of Oregon 인류학과(고고학) 명예교수, Museum of Natural and Cultural History 명예관장. 관심분야: 동북아시아 고고학; 선사 및 고대 한국/일본, 동해(일본해)지역 문화교류; 미국 서부 대분지(Great Basin) 고고학; 오레곤주 고고학.
펼치기
지나 반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류학(고고학) 박사 (Ph.D. University of Michigan); 영국 Durham University 日本學 명예교수, 지구과학 프로젝트 회원; SOAS University of London 고고미술사학과 연구원. 관심분야: 동아시아, 특히 일본과 한국의 고고학/고대사; 일본/한국 고대국가형성, 고대 한일관계, 大和 왕권(Kingship) 등장, 일본 지질학; 지질 고고학.
펼치기
김경택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융합고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한국선사고고학 전공) 졸업 후 미국 오리건대학교(University of Oregon)에서 복합사회(complex society) 연구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동북아 청동기시대 문화 연구』와 『와질토기 논쟁고』 등을 공동 집필했고, 『족장사회의 정치권력』과 『구미고고학의 관점에서 본 한국고고학』 등을 번역하였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