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일반
· ISBN : 9788963602974
· 쪽수 : 396쪽
· 출판일 : 2019-06-13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서론: 복음에 나타난 윤리
1장 기독교 윤리학의 토대
윤리학이란 무엇인가
습관, 관습, 도덕, 윤리의 차이│윤리학의 분류 │기독교 윤리학의 정의 │소크라테스와 헤겔, 그리고 지틀리히카이트와 모랄리태트 │현대 사회에 윤리가 더욱 필요해진 다섯 가지 이유
교리와의 관계
기독교 윤리와 교리와의 관련성 │그리스도의 세 가지 직분과 그 의미 │제사장, 왕, 선지자 직분의 적용
성경과의 관계
성경 해석과 사랑의 실천 │페트루스 판 마스트리히트의 주석 │기독교 윤리학과 성경 │성경을 윤리학에 적용하는 네 가지 방식 │율법의 종류와 용도
구약 속의 윤리
구약성경이 가르치는 윤리적 교훈의 핵심
신약 속의 윤리
신약성경이 가르치는 윤리의 원리 │로마서 12장/에베소서 4-6장이 가르치는 윤리의 핵심 교훈들
2장 주요 신학자들의 윤리학
아우구스티누스의 ‘영혼과 초월성의 윤리’
윤리를 다룬 아우구스티누스의 저서들 │아우구스티누스 윤리 사상의 배경과 특징 │아우구스티누스 윤리학 전략의 이중성 │아우구스티누스 윤리와 ‘사랑의 질서’ │아우구스티누스 윤리와 성경 │성경 주석을 통한 윤리적 판단과 해석학의 문제 │구원 역사 속에서 나타난 하나님의 보편적인 뜻 │아우구스티누스의 성 윤리 │아우구스티누스의 사회·정치 윤리와 정당전쟁론 │아우구스티누스의 윤리학에 대한 결론
장 칼뱅의 ‘자기부인의 윤리’
그리스도인의 생활 │그리스도인의 생활의 핵심: 자기부정 │그리스도인의 삶의 네 가지 특징(‘자기부정’, ‘십자가를 지는 것’, ‘종말에 대한 묵상’, ‘하나님의 은사를 창조적으로 사용하는 것’)
마르틴 루터의 ‘소명 윤리’
루터의 직업 윤리에 대한 비판 │볼프의 루터 이해에 대한 비판 │역사적 맥락에서 본 루터 ‘소명론’의 중요성 │루터의 저서들에서 본 루터의 ‘소명론’의 의미 │루터의 직업 윤리에 대한 현대 학자들의 재발견 │결론: 21세기 한국 교회를 위한 루터의 직업 윤리
3장 철학적 윤리학과 기독교 윤리학
철학적 윤리학
윤리적 전통의 세 가지 유형 │철학적 윤리와 기독교 윤리와의 접점과 차이점 │에마뉘엘 레비나스의 윤리학 │슈베이커의 책임 윤리와 니버의 기독교 현실주의
진화론과 윤리학
다윈주의 진화론과 윤리학 │자연주의와 윤리학
기독교 윤리의 특수한 주제들
기독교 윤리의 핵심 원리인 사랑과 정의 │기독교 윤리와 아디아포라 │기독교 윤리에서 의무 간의 충돌 │기독교 윤리와 경우론 │불신자들의 선행 문제
4장 기독교 사회윤리
국가와 교회의 관계
아우구스티누스의 교회와 국가 이해 │루터의 교회와 국가 이해 │재세례파의 교회와 국가 이해 │칼뱅의 교회와 국가 이해 1·2·3│교회와 국가의 관계에 대한 결론
웨스트민스터 대교리문답으로 구성한 공공신학
공공신학적 토대 위에 선 교육의 필요성 │공공신학의 토대로서 개신교 신조들 │공공신학의 토대인 웨스트민스터 대교리문답 │웨스트민스터 대교리문답에서 읽어낸 공공신학의 목적·방법·내용 │웨스트민스터 대교리문답에서 나타난 공공신학 교육
맺음말
주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대체적으로 바울 서신의 큰 구조는 교리와 윤리로 나뉜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교리와 윤리, 두 가지 모두 ‘복음’이라는 사실이다. 교리가 직설법으로 된 복음이라면, 윤리는 명령법으로 된 복음이다. 기독교 신앙에는 이 두 가지 모두가 있어야 한다. ‘교리’와 ‘윤리’ 모두가 복음이라는 사실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실현되었다.
_ ‘서론’ 중에서
로마의 황제가 주는 ‘복음’과 기독교의 예수 그리스도께서 주시는 ‘복음’ 사이에는 다른 차이가 하나 더 있는데, 로마 황제의 복음은 힘, 권력, 번영, 영광, 권세와만 관련되었다면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은 오히려 수치와 죄인의 죽음, 가난, 낮아짐, 겸손 등과 관련되어 있다.
_ ‘서론’ 중에서
교의학과 윤리학의 관계는 어떠한가? 교회 역사 속에는 교의학만을 강조하고 윤리학을 소홀히 하던 때가 있었다. 중세의 사변적 신학이 그러했다. 이러한 신학은 삶과 신앙을 분리시킨다. 반대로 윤리학만을 강조하고 교의학을 소홀히 하던 때도 있었다. 19세기 독일의 자유주의 신학자들이 그러했다. 그렇게 되면 자연스럽게 삼위일체론이나 그리스도의 신인성 문제와 같은 주제는 무시된다. 교의학과 윤리학은 각자의 고유한 역할이 있다. 교의학은 올바른 믿음(orthodox faith)을 가르치고, 윤리학은 지도 받는 믿음(directed faith)을 가르친다.
_ ‘교리와의 관계’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