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 그림의 전통

한국 그림의 전통

안휘준 (지은이)
사회평론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000원 -0% 0원
840원
27,160원 >
28,000원 -0% 0원
0원
28,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 그림의 전통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 그림의 전통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비평/이론
· ISBN : 9788964355145
· 쪽수 : 588쪽
· 출판일 : 2012-02-29

책 소개

1988년 출간된 <한국회화의 전통>을 2012년 현재에 맞춰 새롭게 펴냈다. 저자는 지난 30여 년 사이에 새롭게 발견된 내용들을 추가하고, 색인을 보강하고 참고문헌 목록을 새로 만들고 작품을 컬러화하는 등의 작업을 꼼꼼하게 진행했다. 회화작품을 한 ‘시대’가 담긴 ‘사료’로 바라보고 역사에서 찾아낸 것을 정직하게 기록하려는 학문적 태도는 여전하다.

목차

《한국 그림의 전통》을 내며 4

Ⅰ 총론편

1. 한국 회화의 전통 15
1) 머리말 : 전통의 의의 15
2) 전통회화의 변천 21
가. 삼국시대 및 남북조(통일신라ㆍ발해)시대
나. 고려시대
다. 조선시대
3) 전통회화의 시련 31
4) 전통회화의 현황과 방향 34
5) 맺음말 39

2. 한국의 회화와 미의식 41
1) 머리말 41
2) 한국미에 관한 제설(諸說)의 검토 43
3) 선사시대의 선각화(線刻畵)와 미의식 59
가. 신석기시대의 선각화와 미의식
나. 청동기시대의 선각화와 미의식
4) 삼국시대 및 남북조(통일신라ㆍ발해)시대의 회화와 미의식 70
가. 고구려의 회화와 미의식
나. 백제의 회화와 미의식
다. 신라의 회화와 미의식
라. 통일신라 및 발해의 회화와 미의식
5) 고려시대의 회화와 미의식 89
6) 조선시대의 회화와 미의식 95
가. 조선시대 사대부들의 회화관
나. 조선시대의 회화와 미의식
7) 맺음말 116

Ⅱ 산수화편

1. 한국 산수화의 발달 121
1) 머리말 121
2) 삼국시대 및 남북조(통일신라ㆍ발해)시대의 산수화 123
가. 고구려의 산수화
나. 백제의 산수화
다. 신라의 산수화
라. 통일신라 및 발해의 산수화
3) 고려시대의 산수화 142
4) 조선 초기의 산수화 160
5) 조선 중기의 산수화 174
6) 조선 후기의 산수화 186
7) 조선 말기의 산수화 198
8) 맺음말 204

2. 한국 남종산수화의 변천 207
1) 머리말 207
2) 남종화의 개념 208
3) 남종화의 동전(東傳)과 수용 218
가. 고려시대
나. 조선 초기
다. 조선 중기
4) 남종화의 정착과 유행 242
가. 조선 후기
나. 조선 말기
5) 맺음말 277

Ⅲ 풍속화편

1. 한국의 문인계회와 계회도 285
1) 머리말 285
2) 고려시대의 문인계회와 계회도 288
3) 조선시대의 문인계회와 계회도 297
가. 조선시대의 문인계회
나. 조선시대 계회도의 변천
4) 맺음말 317

2. 한국 풍속화의 발달 321
1) 머리말 321
2) 조선시대 이전의 풍속화 324
가. 청동기시대
나. 삼국시대 및 남북조시대
다. 고려시대
3) 조선시대 전반기의 풍속화 334
4) 조선시대 후반기의 풍속화 342
가. 조선 후기(약 1700~약 1850)의 풍속화
김홍도 이전의 풍속화
김홍도 이후의 풍속화
나. 조선 말기(약 1850~1910)의 풍속화
5) 맺음말 383

Ⅳ 회화교섭편

1. 한국 회화사상 중국 회화의 의의 387
1) 머리말 387
2) 한국회화의 원류(原流)로서의 중국회화는 어떠한 미술인가 389
가. 일반적 측면
나. 정신적(사상적) 측면
다. 기법적 측면
3) 한국인들은 중국회화를 어떻게 수용(受容)하였나 422
4) 한국인들은 중국회화를 수용하여 무엇을 이루었나 431
5) 맺음말 448

2. 한ㆍ일 회화관계 1500년 451
1) 머리말 451
2) 삼국시대~고려시대 회화의 일본과의 관계 454
가. 삼국시대
나. 남북조시대 및 고려시대
3) 조선시대 회화의 일본과의 관계 467
가. 임진왜란 이전
나. 임진왜란 이후
4) 맺음말 498
[한ㆍ일 회화관계 참고문헌 약목] 500
[통신사일람] 505
[통신사왕래약도] 507

Ⅴ 부록
미개척 분야와의 씨름 ― 나의 한국회화사 연구 511

도판목록 533
참고문헌 545
찾아보기 570

저자소개

안휘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고고인류학과(문학사) 미국 하버드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문학석사, 철학박사)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대학원 고고미술사학과 수학 전(前)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교수, 박물관장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박물관장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초대 예술연구실장 명지대학교 인문대학 미술사학과 석좌교수 문화재청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초대 이사장 한국대학박물관협회 회장 한국미술사교육학회 대표 한국미술사학회 회장 문화체육부 학예사운영위원회 위원장 국립중앙박물관 운영자문위원회 위원장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위원장 문화체육관광부 영정·동상심의위원회 위원장 상훈 우현상, 동원학술대상, 한국미술저작상, 간행물윤리상(저작 부문), 위암 장지연상(한국학 부문), 보관문화훈장, 대한민국문화유산상(학술 부문), 옥조근정훈장, 안견미술문화대상, 세종문화상(학술 부문), 용재학술상, 효령상(문화 부문), 대한민국학술원상(인문학 부문) 주요 저서 『한국회화사』(일지사, 1980), 『한국회화의 전통』(문예출판사, 1988), 『옛 궁궐그림』(대원사, 1997), 『한국회화의 이해』(시공사, 2000), 『한국회화사 연구』(시공사, 2000), 『한국의 미술과 문화』(시공사, 2000), 『한국미술의 역사』(시공사, 2003)(공저), 『고구려 회화』(효형출판, 2007), 『미술사로 본 한국의 현대미술』(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한국미술의 美』(효형출판, 2008)(공저), 『개정신판 안견과 몽유도원도』(사회평론, 2009), 『역사와 사상이 담긴 조선시대 인물화』(학고재, 2009)(공편), 『청출어람의 한국미술』(사회평론, 2010), 『한국 그림의 전통』(사회평론, 2012), 『한국 미술사 연구』(사회평론, 2012), 『한국 고분벽화 연구』(사회평론, 2013), 『조선시대 산수화 특강』(사회평론, 2015), 『한국의 해외문화재』(사회평론, 2016), 『한국 회화의 4대가』(사회평론, 2019), 『한국의 미술문화와 전시』(사회평론, 2022), 『나의 한국 미술사 연구』(사회평론, 2022) 등
펼치기

책속에서

한국미술의 역사는 신석기시대부터만 따져도 7~8천 년이 넘고, 또 그것은 시대의 변천과 분야 또는 지역의 특수성에 따라 끊임없이 그리고 다양하게 발전하거나 변화해 왔다. 그러므로 종횡으로 이어지는 이러한 다양한 양상을 하나로 묶어서 명쾌한 단정을 내리는 것은 매우 어렵다. 그러므로 오직 근사(近似)한 접근을 시도하고 이해하는 수밖에는 없을 듯하다. 그리고 한국미술 자체를 하나로 포괄해서 보기보다는 시대, 분야, 지역 등으로 좀더 나누어서 보는 것이 보다 근사치에 접근하는 방법이 아닐까 생각한다. 물론 시대, 분야, 지역 간의 차이라는 것을 크게 확대해서 보면 서로 대체적인 연관이 있음은 물론이지만 작게 쪼개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좀더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저자의 견해로는 야나기가 주장한 ‘애상의 미’나 ‘비애의 미’라는 설은 앞에서도 지적한 것처럼 수긍하기 어렵다고 보며, 따라서 그의 설을 별다른 비판 없이 받아들여 한국의 미를 ‘비애의 미’ 또는 ‘적조미’로 정의한 고유섭 선생의 설도 이제는 재고를 요한다고 본다. 야나기는 조선시대의 도자기나 목공품을 논하면서 그것들을 만든 것은 자연이라는 불가사의한 큰 힘으로 간주할 뿐 실제로 그것들을 만든 장인들의 창의성이나 개성을 소홀히 보는 결과를 낳았는데 이것을 그냥 받아들인 것도 역시 수긍하기 어렵다. 자연은 사람에 의해서 반영되고 대표되었을 뿐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견해를 토대로 한 고유섭 선생의 ‘무관심성’ ‘무계획성’ ‘무기교의 기교’ 등의 설명도 설득력이 부족하다고 볼 수밖에 없다. 도대체 관심이 주어지지 않고 이루어진 미술이 있을 수 있는 것일까? 물론 그것이 오직 상대적인 정의라 할지라도 한국미술의 전반적인 특질을 잘 정의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차라리 자질구레한 세부에 별로 신경을 쓰지 않고 대체를 구한다는 의미에서 ‘대범성’이라고 정의를 내리는 것이 바람직할지도 모른다.
또 고유섭 선생의 그러한 정의들은 한국미술 전체에 관한 것이기보다는 조선시대의 미술, 그중에서도 민예적인 미술에 중점을 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만약 이것들을 한국미술에 관한 통시대적, 범분야적인 의미로 파악한다면 한국미술을 진정하게 이해하는 데에 도달하기보다는 오히려 반대로 그것을 올바로 이해하는 데에 지장을 초래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앞서도 이미 언급했듯이 이제 한국미술 전체를 굳이 한두 마디의 어휘로 정의를 시도하기보다는 가능한 한 시대별, 지역별, 분야별 등으로 나누어 좀더 구체적으로 특성을 찾아보고 그에 수반된 미의식을 알아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그런데 한국에서의 중국회화의 수용과 연관해서 한 가지 큰 오해가 자리를 잡아왔던 것이 사실이다. 그것은 한국이 중국과 지리적으로 인접해 있으므로 중국회화와 미술이 한국으로 저절로 흘러들어오는 것이 당연한 일이 아니었겠느냐 하는 생각이다. 이러한 생각은 정말로 잘못된 것이다. 중국과 한국은 역사시대에 접어들면서 국가 대 국가로 존재하였고, 양국 사이에는 철통 같은 국경이 설정되어 있었으며, 양국 간의 내왕은 철저하게 통제되었었다. 국가의 공식적인 허가가 없이는 양국 간의 왕래도 어려웠다. 그러므로 지리적 인접성만 가지고 중국회화가 아무 때나 아무런 통제나 견제 없이 자유롭게 한국에 들어오고 또 들어온 것들이 무조건 수용되었으리라고 보는 것은 양국 간의 역사적 상황을 전혀 모를 때의 막연한 억측에 불과한 것이라 하겠다. 지리적으로 아무리 가까워도 국가 간의 문화적 교류는 무한히 소원할 수 있고 또 반대로 지리적으로 아무리 멀어도 문화적으로 지극히 긴밀할 수 있다는 사실은 현대의 남한과 북한, 한국과 미국의 관계를 통해서 너무도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옛날이라고 국가 간의 관계가 크게 다를 바 없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