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신학적 미학

신학적 미학

(상상력, 아름다움, 예술 속의 하나님)

리차드 빌라데서 (지은이), 손호현 (옮긴이)
동연출판사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1,250원
21,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신학적 미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신학적 미학 (상상력, 아름다움, 예술 속의 하나님)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종교일반 > 종교철학
· ISBN : 9788964476772
· 쪽수 : 624쪽
· 출판일 : 2022-03-30

책 소개

미학적 상상력을 6장에 걸쳐서 크게 신학적 미학 이론의 개념과 종류, 표상 불가능의 표상, 하나님의 계시와 인간의 인식, 아름다움과 예술, 도덕적 선 등으로 설명하고 있다. 부록에는 방대한 참고문헌과 약어표로 이 책을 상세하게 탐구할 수 있다.

목차

한국어판 머리말
새로운 한국어판 머리말
새로운 옮긴이 머리말

1장 �� 신학과 미학
I. 프롤로그: 모차르트가 카를 바르트의 신학에서 가지는 위치
II. 신학과 미학의 문제
III. 신학적 미학 이론의 개념
1. 미학의 개념
2. 신학의 대상들과 미학의 대상들
IV. 신학적 미학 이론의 차원들
1. 실천으로서 신학적 미학: 신학적 담론의 미학적 차원
2. 신학의 자원으로서 미학
3. 종교적 경험의 직접적 장소로서 신학
4. 일반적 인간 경험의 장소로서 신학
5. 메타포로서 신학과 형이상학으로서 신학
6. 이론으로서 신학적 미학
V. 예술의 현상학, 계시와의 관계: 반 델 레우의 신학적 미학
VI. 신학의 아름다움에서 아름다움의 신학으로: 폰 발타자의 신학적 미학
1. 바르트: 신학과 하나님의 아름다움에 대하여
2. 발타자의 하나님의 아름다움의 신학
VII. 신학에 있어서 신학적 미학 이론의 위치

2장 �� 사유와 상상력 속의 하나님: 표상 불가능한 것의 표상
I. 프롤로그: 쇤베르크의 「모세와 아론」
II. 문제를 설정하며
III. 하나님의 그림 불가능성(unpicturability): 아이콘 거부의 전통과 우상 숭배의 문제
IV. 신비한 타자에서 존재의 신비로: 하나님의 ‘그림 불가능성’(unpicturability)에서 하나님의 ‘인식 불가능성’(Inconceivability)으로
V. 역사적 계시의 ‘실증성’(Positivity)과 신화론의 문제
VI. 역사적 예수와 이미지의 그리스도
VII. 기초신학적 미학 이론(Fundamental Theological Aesthetics)의 과제

3장 �� 하나님의 계시와 인간의 인식
I. 프롤로그: 하나님의 형상으로서 아담
II. 인식론의 일반적 문제들
1. 감각적 상징을 통한 지성적 지식
2. 총체적 지평의 선(先)이해
3. 개념과 이미지 속에서 사유
III. 하나님의 자기 계시에 대한 인식과 표상
1. 하나님의 ‘형상’으로서 인간
2. 계시의 신학
3. 하나님을 사유하고 이미지화하는 방식들

4장 �� 하나님과 아름다움: 하나님에 이르는 길로서 美
I. 서곡: 말러의 심포니 3번, 4악장, 「아, 인간이여! 보라!」
II. ‘자연신학’과 미학: 하나님에 대한 접근법으로서 아름다움?
III. 서양 전통에 있어서 마음의 하나님에게로 ‘올라감’
1. 기원
2. 중세 초기의 발전
3. 보나벤투라와 토마스 아퀴나스
4. 장-도미니크 로베르의 현대적 접근
IV. 아름다움을 통한 초월적 접근방식?
1. 하나님에 대한 초월적 논증들
2. 아름다움의 존재론: 미(美), 진(眞), 선(善)
3. 아름다움과 존재의 기쁨
4. 아름다움의 초월적 조건

5장 �� 예술과 성스러움
I. 프롤로그: 릴케의 “아홉 번째 애가”
II. 예술과 성스러움의 질문이 가지는 차원들
III. 초월성의 직접적 표현으로서 예술: “일반적인 범주적 계시”
IV. 아름다움과 “감정들의 연상”을 통한 성스러움의 중재
1. 예술과 존재론적 통찰
V. 예술과 기독교 메시지: “특별한 범주적 계시”
1. 예술들의 ‘위계 질서’?
VI. 미술과 음악에서 성스러운 말씀
1. 시각 예술
2. 말씀과 이미지의 관계
3. 초월성에 대한 시각적 상징들
4. 음악 속에서 말씀
VII. 예술과 성스러움: 유사성들과 갈등들

6장 �� 아름다움과 도덕적 선
I. 프롤로그: 미켈란젤로의 「소네트」
II. 미학, 윤리, 종교 사이의 갈등
1. 역사적 콘텍스트와 실존적 콘텍스트
2. 예술에 대한 ‘플라톤주의적’ 반대
3. 십자가의 관점에서 본 아름다움과 예술
4. 미학과 금욕주의
III. 그리스도의 영 안에서 감정, 예술, 아름다움
1. 기독교적 ‘회심’과 미학
2. 아름다움과 선: 가치의 중재자로서 예술

글을 옮기고 나서
참고문헌
약어표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차드 빌라데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가톨릭 사제이자 뉴욕 Fordham University 조직신학 명예교수다. 현대의 신학적 미학 논의에서 중심인물 중 한 명으로 연구 관심은 신학적 미학과 미학적 인식론, 기독교와 타 종교 안의 계시 가능성과 비교신학, 구원론 등이다. 대표적 저서로는 Theological Aesthetics, Theology and the Arts, 십자가에 대한 기념비적인 5부작 연구서 The Beauty of the Cross(고대와 중세), The Triumph of the Cross(르네상스), The Pathos of the Cross(바로크), The Folly of the Cross(근대), The Wisdom and Power of the Cross(현대와 탈현대) 등이 있다.
펼치기
손호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신학과(신학사)와 하버드대학교 신학대학원(M.T.S.), 밴더빌트대학교 대학원(Ph.D.)을 마쳤다. 연세대학교 학부대학 기독교의 이해 교수, 미국 일리노이주 Waterman UMC 담임목사를 역임하였다. 현재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조직신학과 문화신학 교수, 연세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관심 연구 분야는 기독교 신정론, 신학적 미학과 예술신학, 신학적 해석학 그리고 한국문화신학이다. 저서로는 『아름다움과 악』, 『인문학으로 읽는 기독교 이야기』, 『사도신경』, 『한국 교회 건축과 공공성』, 『민중신학과 예술』, Main Challenges for Christian Theology Today 등이 있다. 역서로는 리차드 빌라데서의 『신학적 미학』, 패트릭 셰리의 『성령과 아름다움』, 피터 하지슨의 『기독교 구성신학』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바르트에 있어서 신학이 정확하게 ‘학문’으로서 아름답다는 사실은 주목할 만하다. 많은 이가 신학의 ‘학문적’ 추구가 부정적인 결과들을 가져온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 예를 들어 폰 발타자는 신학이 정확성을 추구하는 다른 학문의 방법론을 도용함으로써 그 아름다움을 잃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에 따르면 현대신학은 사유의 대상으로서 아름다움을 무시할 뿐 아니라 또한 살아 있는 종교 혹은 영성과의 관계 곧 “위대한 영적인 진리들”을 추구하고 전달하는 사명을 대부분 잃어버렸다. 이미 19세기가 시작할 무렵, 초기의 가톨릭 낭만주의의 한 대표자인 알로이시우스 귀글러Alois Gugler는 신학의 영혼이 부재한 것에 대해 이렇게 쓰고 있다. “우리는 종교에 대한 어떠한 이해도 부재하는 단지 교리적이고 도덕주의적 신학 교과서들을 얼마나 더 읽어야만 하는가?”

1장 �� IV. 신학적 미학 이론의 차원들 중에서


하나님의 ‘이해 불가능성’ 때문에 무한하고 비물질적인 하나님이 감각적 표상과 언어에 묶여 있는 유한한 인간 지성에 알려질 수 있는가의 문제를 신학적 미학은 설명해야 한다. 따라서 종교적 표상이나 상상력의 문제는 유비類比(analogy)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인식론적 논의 안에 포함된다.
지식을 단지 경험과학의 대상들과 동일시하며, 형이상학 비판이 하나님에 대한 유비적 지식 자체를 의심하게 될 때 그리고 역사의식이 기독교 계시의 실증성을 의심하게 될 때, 유비의 문제는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된다. 한편으로 하나님은 이성에 의해 포착될 수 없을 뿐 아니라 알려질 수 없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역사적 계시에 대한 주장은 증명할 수 없고 신화론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합리적 이해(Begriff)라고 하는 ‘학문적’ 의식과 ‘상상력’(Vorstellung)이나 ‘감정’의 차원으로 격하된 종교적 의식 사이에는 틈이 생기게 된다. 어떤 이들에게 있어서 이 틈은 곧 종교적 신앙이 비합리적일 뿐 아니라 공상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다른 이들에게 있어서 이것은 신앙과 감정의 영역이 ‘합리성’이 지닌 한계에 대한 필수적인 대안으로 긍정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2장 �� VI. 역사적 예수와 이미지의 그리스도 중에서


우리는 아름다움(beauty)을 존재의 본질(essence of being) 혹은 존재의 완성(perfection of being)과 연결시키는 것은 무엇인지, 그래서 어떻게 그것이 필연적으로 하나님과의 관계를 가리키게 되는 것인지 묻고자 한다. 어떻게 혹은 어떤 의미에서 아름다움이 ‘초월적 범주超越的 範疇’(transcendentals)들 중의 하나가 될 수 있는지 우리는 질문함으로써 이 문제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인 존재자들 혹은 그것들의 종류들을 가리키기 위해 사용되어지는 일반적 ‘범주들’(categories)과 구분되고, 그것을 넘어서 ‘초월적 범주’들이란 존재의 지성적(intelligible) 측면들을 가리키는 관념들 곧 그것이 존재하는 한에 있어 모든 존재자가 그것 자신일 수 있게 만드는 것, 요컨대 모든 존재자가 그 존재한다는 사실 때문에 공통으로 가지는 것을 가리킨다.

4장 �� IV. 아름다움을 통한 초월적 접근방식?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