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디트리히 본회퍼

디트리히 본회퍼

(저항의 신학자)

크리스티아네 티츠 (지은이), 김성호 (옮긴이)
동연출판사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6개 12,3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디트리히 본회퍼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디트리히 본회퍼 (저항의 신학자)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인물
· ISBN : 9788964477526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22-01-10

책 소개

본회퍼는 나치에 저항하다 숨진 독일 루터교 목사이자 신학자다. 사람들은 그를 20세기 순교자로 여기고 있다. 그런데 그는 단지 나치의 불의에 맞서 저항했던 지사나 운동가에 불과한 것이 아니다.

목차

추천의 글 _ 강성영 총장
추천의 글 _ 일제 퇴트 박사
한국어판에 부치는 글
머리말

1. 브레슬라우에서 베를린으로, 1906~1923
가문(家門)
베를린 유년기와 청소년기
신학을 공부하기로 결정하다

2. 튀빙엔에서 베를린으로 돌아오다, 1923~1927
튀빙엔에서 보낸 두 학기
이탈리아 여행
베를린에서 형성한 신학
『성도의 교제』
“무엇이 더 낫습니까, 수업 혹은 방학?”

3. 지평의 확장, 1928~1931
바르셀로나 해외 수련목회자 시절 33
베를린 조교 시절 40
뉴욕 학생 시절 43

4. 처음으로 한 일들, 1931~1932
본회퍼와 칼 바르트의 만남
첫 에큐메니칼 운동 참여
첫 목사직
첫 강의들
“나는 처음으로 성서에게 왔습니다”

5. 교회 투쟁의 시작, 1933
히틀러의 권력장악
교회의 상황

6. 런던 이민목회 시절, 1933~1935
“목사직의 고요함”
불충한 “해외 성직자님들”
본회퍼의 파뇌 평화 연설
독일로 돌아오다

7. 설교학 세미나의 지도자, 1935~1937
형제의 삶
『나를 따르라』
고백교회에 대한 압박

8. 불법으로 가는 길, 1937~1940
신학원의 새로운 형태
『신도의 공동생활』
고백교회의 위기
미국으로 탈출?

9. 공모의 시기, 1940~1943
체제전복 준비
『윤리학』
사랑스러운 여인 폰 베데마이어

10. 베를린 테겔 감옥 시절, 1943~1945
수감되다
『저항과 복종』
『약혼자의 편지 감방 92』
마지막 몇 달들

에필로그: 살인자인 성자?
1945년 이후 본회퍼의 수용 상황
오늘의 디트리히 본회퍼

붙임글: 예수 따르기의 본보기, 본회퍼 _ 김흥규 목사
역자 후기

디트리히 본회퍼 연표와 가계도
참고문헌
인명 찾아보기

저자소개

크리스티아네 티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본회퍼 연구로 티빙엔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1999), 2004년도에 교수자격논문을 썼다. 2008년 여름학기부터 2013년 여름학기까지 독일 마인츠대학교에서 가르쳤으며, 2013년 8월부터 스위스 취리히대학교 개신교 신학부 조직신학과 사회윤리학 교수로 봉직하고 있다. 2008년부터 2018년까지 세계본회퍼학회와 독일 본회퍼 학회 학회장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Dietrich Bonhoeffer. Theologe im Widerstand (Munchen: C.H. Beck, 2013)와 Karl Barth. Ein Leben im Widerspruch (Munchen: C.H. Beck 2018) 외에 조직신학 관련 저서가 다수가 있다.
펼치기
김성호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신학대학교(BA)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MDiv)을 수료한 후 독일 하이델베르크대학교에서 석사학위(MA), 독일 오스나브뤼크 대학교(Universitat Osnabruck)에서 박사학위(PhD)를 받았다. 그의 박사학위 논문은 2013년 세계본회퍼학회 선정 최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 현재 성천교회(기성) 협동목사로 섬기면서, 서울신학대학교 강사로 활동 중이다. 저서로는 『디트리히 본회퍼의 신학사상 연구』(2017, 공저)와 『디트리히 본회퍼의 타자를 위한 교회』(동연, 2018)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디트리히 본회퍼가 신학공부를 하기로 결정을 했을 때, 그의 가족들은 상처를 입었었다. 왜냐하면 당시에 교회는 자체적으로 전혀 제 역할을 감당하고 있지 못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그의 아버지는 직업선택에 관해서 굉장히 실망을 했다. 그는 교회 저항의 절정에서 자기 아들을 회고하면서 걱정했었다:
조용하고 유연하지 못한 목사가 된다는 것은, 내가 나의 슈바벤의 삼촌에게서 알게 된 그리고 묘리케(Morike)가 묘사하듯, 사실 거의 너에게 유감스러운 일이었다. 유연하지 못하다는 것은 사실 나에게는 실망스러운 일이었단다. (DBW 13, 90)

무엇이 본회퍼가 이러한 결정을 하게 한 것인지 밝혀진 바는 없다. 아마도 그의 형 발터가 1918년 4월 전장(戰場)에서 맞은 이른 죽음이 작용했을 것이다. 진군하는 중 부상당한 지 닷새 후에 발터는 전사했다. 온 가족은 그의 죽음에 매우 슬퍼했고 한동안 그의 어머니는 슬픔에서 헤어나오지 못했다. 몇 주간의 심한 우울증을 겪은 어머니의 모습을 본 열두 살의 본회퍼는 당황스러웠다. 디트리히 본회퍼가 견진례를 받을 때 어머니는 성경책을 발터의 선물로 주었다. 그는 일생 동안 성서 강의들이나 설교를 준비할 때 이 성경책을 사용했다. 전쟁 기간 동안 지인들의 죽음에 관한 소식들은 아이들의 마음을 무겁게 하였다. 자비네 라이브홀츠-본회퍼는 다음과 같이 전한다. …
- 1. “브레슬라우에서 베를린으로, 1906~1923” 중에서


본회퍼는 자기 박사학위 논문 주제의 대상을 교회로 정했다. 이미 21살에 그는 “성도의 교제: 교회사회학에 대한 조직신학적 연구”(Sanctorum Communio. Eine dogmatische Untersuchung zur Soziologie der Kirche)를 마쳤으며, 1930년에 이 연구를 책으로 출판했다. 본회퍼는 인간과 기독교 신앙의 근본적인 사회지향을 의미하는 ‘사회성’(Sozialitat)에 대한 연구에 몰두했다. 본회퍼에 따르면, 인간은 계몽주의의 의미에서 자율적 이성적 존재라는 사실로 특징지어질 수 없다. 인간은 단지 타자에 대한 자신의 책임을 주목하게 되는 곳, 거기에서 타자와의 만남 안에서만 실제로 인간이 되는 존재이다. 다르게 말해서, 타자가 그를 마주 대할 때, 그의 도움과 사랑을 필요로 하는 ‘구체적인 너’(ein konkretes Du)로 타자를 만나게 될 때, 인간은 그 자신이 누구인지 비로소 인식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인간은 인격이 된다.
- 2. “튀빙엔에서 베를린으로 돌아오다, 1923~1927” 중에서


동시에 그는 아프리카계 미국인들 사이에서 “종교적인 힘과 독창성”(religiose Kraft und Ursprunglichkeit) (DBW 10, 221)을 경험했고 그로 인해 영감을 받았다. 그는 젊은 흑인 작가들의 소설을 매혹적으로 읽었다. 그리고 그는 할렘에 있는 어비시니안 침례교회(Abyssinian Baptist Church)에서 동역했다. 때로는 혼자였던 프랭크 피셔와 함께 주일학교에서 가르치고, 여성들을 위한 성경공부도 인도했다. 그는 교인들의 집에 여러 번 초대되었다.
미국에서 보낸 시간에 대한 최종 보고서에서 그는 흑인 교회에서 복음을 설교하는 것을 들었다고 확언했다. 아프리카계 미국인과의 개인적인 만남은 대서양을 건너는 동안 “가장 결정적이고 가장 즐거운 사건”(DBW 10, 274) 중 하나였다.
그에게 중요한 또 다른 학생 친구는 프랑스의 개혁교회 목사인 장 라세르(Jean Lasserre)였으며, 그 또한 1년 동안 유니온에 있었다. 두 사람 모두 최신 영화 <서부 전선 이상 없다>(Im Westen nichts Neues)를 함께 보러간 것이 결정적이었다. 두 사람은 프랑스 군인이 독일군에게 살해당하는 장면에 다른 관중들이 박수를 쳤을 때 낯설어했고, 서로 다른 기원에도 불구하고 기독교 신앙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고 느꼈다. 후에 라세르는 당시 두 사람 모두에게 평화주의가 확립되어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고 회상했다. 아마도 본회퍼가 미국에서 돌아온 후 산상수훈에 대해 방향을 수정한 것은 이 경험에 뿌리를 두고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라세르가 원칙적인 평화주의를 선택하고 산상수훈을 이 방향으로 해석하는 동안, 본회퍼는 그리스도를 구체적으로 뒤따름으로써 그의 평화 지향을 정당화했다. 학업을 마친 후에도 둘은 에큐메니컬 작업을 통해 연결되어 있었다. 그러나 그는 우선 1931년에 멕시코로 가서 신학 세미나에 참여했고, 독일 교회들을 방문했다.
- 3. “지평의 확장, 1928~1931”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