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88964477564
· 쪽수 : 375쪽
· 출판일 : 2022-01-17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부 ╻ 유동식의 풍류신학
심광섭 __ 소금 유동식의 요한복음 이해: 맛과 기쁨을 지닌 멋의 복음
박종현 __ 풍류(風流)신학의 한국기독교사에서 의의
성백걸 __ 풍류도 아리랑으로 한국인의 참 자아 지평을 열면서
: 이전에 없던 한국기독교인의 자기 정체성을 찾으니
박일준 __ 포스트-팬데믹 시대에 풍류를 돌아보다
: 코로나 블루 시대, ‘흥’의 신학으로서 풍류신학
제2부 ╻ 풍류신학과 인접 학문 간의 대화
손원영 __ 다문화 교육을 위한 풍류도 모델
김상근 __ 유동식의 풍류신학과 21세기 선교신학
박신배 __ 풍류신학과 태극신학 ― 성서신학의 관점에서
이명권 __ 유동식의 풍류신학(風流神學)과 노자의 도(道)
제3부 ╻ 풍류신학의 새 지평
허호익 __ 한국 문화와 천지인 조화론
김성민 __ 분석심리학과 예술: 프로이트와 융의 태도의 차이
서정민 __ 일본 기독교 수용사에 대한 단상
: ‘기독교주의’ 형성과 일본 ‘국학’의 흐름
이상목 __ 예수의 광야 생활이 보여주는 하나님 나라
: 알레산드로 본비치노의 마가복음서 해석과 관련하여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풍류는 글자 그대로 바람과 물, 바람의 흐름이다. 그러나 풍류는 한국의 전통에서는 멋 또는 미학적 예술적 개념으로 사용되어 왔다. 세속적 용어로 풍류는 질펀한 놀이의 개념으로 사용되기도 하였지만, 풍류는 정화되고 고양된 미감으로써 서구의 카타르시스가 정서적 정화에 의한 고양된 미적 감정이라면 풍류는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신비적 미학을 저변에 두고 있는 미학적 감정이다.
유동식의 풍류신학에서 가장 개성적인 부분은 기독론이다. 유동식은 예수 그리스도를 풍류객이라고 한다. 풍류도의 핵심적 영성은 자기부정을 통한 신인융합의 모습인데, 예수 그리스도는 본래 하나님의 말씀이셨던 그가 인간이 되어 강림함으로써 신인융합의 풍류객의 풍모가 그에게서 뚜렷하게 나타났다는 것이다.
“제1 부 _ 유동식의 풍류신학” 중에서
소금 유동식의 신학은 한 멋진 삶의 신학이요 태극신학이다. 화가이자 예술신학자인 유동식은 풍류도와 종교 문화에서 그림으로 태극신학, 풍류신학의 구조를 간단하게 그린다. 민족의 꿈-한 멋진 삶-풍류 문화가 연결되었고, 민족적 꿈은 집단 무의식과 보편적 영성의 태극도로 표시하고, 그것을 한 멋진 삶에서 민족적 영성의 풍류도(멋 X), 포함삼교(한 Y), 접화군생(삶 Z)으로 말하고, 마지막 풍류 문화는 우주적이고 역사적으로, 고대-중세-근대-현대 역사의 순의 태극 원추꼴로 발전한다고 도해하며 종교 문화사를 설명한다.
한국인의 얼을 중심으로 한 문화적 선교, 선교학적 토착화 작업, 영혼의 선교를 제창한 것이다. 우주와 한국의 종교 문화에서는 한국의 종교 문화 속에서 성육신하신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의 세계와 복음의 의미가 무엇인가를 설명한다. 그 그림에서는 우주 창조 137억 년 전, 삼태극도(三太極圖)의 처음(알파)에서는 영, 사랑, 빛을 그리고 있다. 이는 태초의 말씀 창조를 의미하는 것이다.
“제2 부 _ 풍류신학과 인접 학문 간의 대화” 중에서
마가는 예수의 광야 장면을 통해 예수가 선포할 하나님 나라의 모습을 드러낸다. 피조물들은 예수 그리스도 옆에서 하나님과의 평화로운 공존을 경험한다. 하나님의 아들 예수와 천사들은 광야의 생명들과 하나님이 함께 함을 상징한다. 그리스도를 통한 용서와 화해는 서로 용납하기를 권하는 기독교의 윤리가 된다. 자신의 목숨을 버려 화해를 이룬 그리스도의 윤리는 기독교가 평화와 공존의 종교가 되도록 촉구한다.
하나님의 나라를 하나님과 피조물이 함께하는 아름다움의 자리라고 이해한 유동식 선생님의 해석은 예수의 광야 장면을 통해 마가가 전하고자 했던 신학적 핵심과 상통한다. 특히 마가가 기록한 공존의 미학, 평화의 미학을 포착한 본비치노의 작품은 마가복음서의 신학적 메시지를 포착하였다. 그의 <광야의 그리스도>는 마가복음서 독자들의 신학적 상상력을 자극하여 더욱 자유로운 신학적 사고를 가능하게 한다. 마가의 본문과 본비치노의 작품이 보여주는 예수의 광야는 하나님과 피조물이 함께 하는 아름다움의 자리였다. 이는 ‘한 멋진 삶’이 추구하는 하늘과 땅의 모든 것을 아우르고 소통하는 자리이기도 하다. 이러한 점에서 예수는 ‘한 멋진 삶’을 실현한 그리스도이며 모든 이들을 하나님 나라로 이끄는 하나님의 아들이다.
“제3 부 _ 풍류신학의 새 지평”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