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64477694
· 쪽수 : 300쪽
· 출판일 : 2022-03-3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부 _ 신자유주의
1장 ╻ 신자유주의 논의를 시작하며 ― 1부의 개요
2장 ╻ 신자유주의에 관한 허상과 진실
1. 신자유주의라는 용어의 문제
2. 유토피아적 시장만능주의
3. 경제 이론을 넘어선 전체 사회 추동 정책
4. 작은 정부를 표방하는 정책의 실체
5. 낙수효과의 허구 ― 빈부격차의 심화
6. 신자유주의 통치를 통한 전체 사회의 변화
7. 경제적 효율성과 윤리성
3장 ╻ 신자유주의의 형성
1. 브레튼우즈 체제의 붕괴
2. 케인스주의의 위기
3. 대처주의와 레이건주의
1) 대처리즘(Thatcherism)
2) 레이거노믹스(Reaganomics)
4. 전 세계로 확장된 신자유주의
4장 ╻ 신자유주의의 본질
1. 신자유주의의 의미 재정립
1) 이데올로기와 정책으로서의 신자유주의
2) 사회적 지배 · 권력 전략과 기획으로서의 신자유주의
2. 금융자본주의
3. 신자유주의의 자본과 노동 ― 부의 양극화
4. 경제를 넘어 전체 사회의 원리로
5장 ╻ 대한민국의 신자유주의
1. 외환위기로 인한 신자유주의 체제의 확고한 도입
2. 노동시장의 유연화
3. 대학교를 중심으로 한 교육의 변화
4. 대한민국 전체 사회를 지배하는 신자유주의 논리
2부 상황신학의 새로운 패러다임
1장 ╻상황신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이야기한다는 것 ― 2부의 개요
2장 ╻ 상황신학의 의미 규정
1. 상황신학에 대한 물음의 출발
2. 상황신학의 개념 정리
1) 포괄적 개념으로서의 상황신학
2) 기독교 신학에 대한 인식의 전환으로서의 상황신학
3장 ╻ 상황신학의 중심 주제 ― 복음과 상황(문화)
1. 복음과 문화
1) 문화에 대한 다양한 이해
2) 복음에 대한 다양한 이해
3) 복음과 문화의 역동적 관계
2. 기독교 신학의 상황성과 보편성 ― 해석학적 논의
3. 다문화 사회에 직면한 기독교 신학의 새로운 해석학적 논의
1) 기존의 해석학적 입장에 대한 비판적 고찰
2) 동일한 문화권 내에서의 시간적 격차를 극복하기 위한 해석학 vs. 다양한 문화 간의 호혜적 상호 이해
3) 텍스트와 콘텍스트 vs. 콘텍스트를 포괄하는 통전적 텍스트
4) 텍스트의 수동적 이해 vs. 텍스트의 능동적 이해 내지 텍스트 생성
4장 ╻ 신자유주의와 상황신학의 새로운 패러다임
1. 상황신학의 주제로서의 신자유주의
2. 신자유주의에 직면한 상황신학의 과제들
1) 신자유주의에 관한 엄밀한 학제 간 연구
2) 기독교 경제 정의 확립
3) 연구와 실천의 지속성
3. 상황신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지향하는 담론들
1) 기본소득 담론
2) 배제에서 포용으로 ― 글로벌 고령화의 문제
3) 효율성의 신화에서 효율적 이타주의로
에필로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