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역학 > 풍수지리
· ISBN : 9788964498026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14-02-18
책 소개
목차
머리글 / 나 어느 곳에 머무를까
추천의 글
이 책을 읽기 전에
제1부 풍수지리란 무엇인가
1장 풍수지리가 무엇인가
1. 풍수지리학의 개념
2. 풍수지리의 필요성
3. 풍수지리의 목적
4. 풍수지리의 본질
5. 풍수지리의 역사
2장 살기 좋은 환경은 어떤 것인가
1. 자연환경은 어떠해야 하는가
2. 인문환경은 어떠해야 하는가
3. 심리환경은 어떠해야 하는가
3장 기(氣)가 무엇인가
1. 기란 무엇인가
2. 생기(生氣)가 무엇인가
3. 기(氣)와 풍수지리(風水地理)
4장 풍수지리학은 무엇을 연구하는 학문인가
1. 풍수지리의 내용
2. 풍수지리의 과정
3. 풍수지리의 분류
4. 풍수지리의 이론
5. 어떤 이론을 취할 것인가
6. 어떤 풍수인(스승)을 모셔야 할까
7. 누가 혈 자리의 진정한 임자일까
8. 나경이 혈을 찾아 주는가
5장 풍수지리학, 어떻게 발전해야 할까
1. 풍수지리의 동향
2. 한국 풍수지리의 문제
3. 풍수지리의 방향
4. 발전 방향
5. 풍수지리의 과학적 접근 사례
제2부 풍수지리의 실제
1장 풍수지리의 원리는 무엇인가
1. 풍수지리의 원리는 무엇인가
2. 혈이 무엇인가
2장 혈을 어떻게 찾는가
1. 용도가 무엇인가(목적, 용도)
2. 어떤 환경을 원하는가
3. 혈은 어디에 있는가
4. 어떤 국(局)을 선택할까
5. 어떤 산을 주산으로 할까
6. 용론(龍論) : 어떤 용맥(龍脈)을 선택하는가
7. 혈론(穴論) : 혈을 찾아라
‘추맥법(追脈法)’
1) 서문(序文)
2) 기맥(氣脈)의 중심 찾기 연습
3) 기맥폭(氣脈幅) 측정 연습
4) 혈(穴)의 이해
5) 혈(穴)의 맺힘과 혈(穴)의 크기 측정
6) 추맥(追脈)
8. 사론(砂論) : 주변의 지세는 어떠해야 하는가
9. 수론(水論) : 물은 어떠해야 좋은가
제3부 용사(用事) : 찾은 혈을 어떻게 사용할까
1장 자리는 어떻게 확보하는가
2장 향법(向法) : 방향은 어떻게 정하는가
1. 햇볕을 어떻게 이용할까
2. 좌향(坐向)을 어떻게 정할까
3장 택일(擇日) : 언제가 좋은 날일까
4장 장법(葬法) : 음택은 어떻게 조성하는가
1. 장례문화
2. 음택의 조성(造成)
3. 화장
5장 양택은 어떻게 조성하는가
1. 양택(陽宅)의 배치
2. 양택의 규모와 구조
3. 대문
4. 전원주택
5. 인테리어(interior decoration)
6장 비보압승풍수(裨補壓勝風水):부족한 부분은 어떻게 보완하는가
1. 비보 압승의 방향
2. 비보(裨補)의 사례
3. 압승(壓勝)의 사례
4. 현대적인 비보와 그 한계
7장 발복(發福) : 혈에 머무르면 무엇이 좋은가
1. 발복에 대한 기본 시각
2. 음양택의 발복
3. 발복(發福) 요인
4. 발복 관련 참고
제4부 현장을 찾아서
1. 현장 답산 자료(한국참풍수지리학회)
2. 목조건축물
3. 노거수(老巨樹)/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나무
저자의 말
부록
[한국참풍수지리학회 헌장]
[한국참풍수지리학회 연혁]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