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한국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88964813003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16-03-29
책 소개
목차
- 머리말
1. 금융경제의 분석 논리
2. 미국의 금융 불안에 떠는 신흥국의 공포
3. 실물경제의 불안이 금융 불안을 부른다.
4. 환율 전쟁에 갇힌 한국 금융의 불안과 불확실성
5. 통화 정책은 만병통치약이 아니다.
6. 한국 채권의 외국인 보유 비중 급증
7. 한국 금융의 안정성은?
8. 세계 실물경제 흐름은 금융경제에 큰 영향을 미친다.
9. 미국의 양적완화 중단은 세계경제 및 한국경제에 불안 요인?
10. 쌓이는 단기 부동자금은 금융 불안의 징후다.
11. 한국의 비시장적인 금리체계
12. 정책금융 중개 기능의 비효율성
13. 외환위기 이후 금융 불안이 해소됐다?
14. 과다한 가계부채는 금융 불안 요인
15. 후진적인 한국 금융도 불안 요인
16. 한국금융시장의 불안정 요인들
17. 미 중의 금융 전쟁에 끼인 국내금융 불안
18. 신흥국의 과도한 기업부채는 금융 불안 유발
19. 금융의 안정과 효율성
20. 부동산 시장의 불안정은 금융 불안 요인
21. 금융기관의 건전성 악화는 금융 불안 요인
22. 임금 및 소득 격차 확대 - 잠재적 금융 불안
23. 대량 자본유출 - 금융 불안
24. 경제정책 실패는 금융 불안 요인
25. 비효율적인 금융 매개기능은 금융 불안 요인
26. 국책은행의 관치금융: 불안과 비효율 야기
27. 불분명한 금산분리의 제도와 금융 불안
28. 정부개입금융기관 구조조정과 금융 불안
29. 금융기관의 비효율경영과 금융 불안
30. 외환시장과 환율 움직임
31. 증시의 높은 개방성이 금융 불안 유발?
32. 채권시장의 불안정은 금융 불안 요인
33. 실물경제 순환의 단기화는 금융 불안 요인
34. 한국의 금리체계 왜곡 발 금융 불안
35. 한국 금융의 불안정
36. 환율 급변동 발 금융 불안
37. 외환위기와 글로벌 금융위기에 한국경제는 크게 휘둘렸다.
38. 2008년 금융위기는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에서 촉발됐다.
39. 한국경제는 외풍에 크게 흔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