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취업/진로/유망직업 > 해외취업/이민/유학.연수
· ISBN : 9788964896952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17-03-23
책 소개
목차
prologue
여러분들이 꿈꾸는 삶은 무엇입니까?
인생은 모험이 아닌 꿈을 실현시키는 것입니다.
PART 1 미국
01 미국 영주권과 시민권이 아직 없나요?
미국인 속에 한인 분포
미국 한인 어떻게 살지?
미국 시민권 신청
시민권 신청서
02 미국 사회보장과 혜택은 만족하는가?
간단한 사회보장 제도 이해
미국의 사회보장 혜택 과연노후를 맡길 수 있나?
국민연금과 미국 사회 보장 연금 연계하기
03 미국 직장 생활로 이민 생활 정착
미국에서 직장 구하기- 영어?
미국 직장- 영어는 얼마만큼 해야 할까?
미국 직장점심
해결은 어떻게?
미국에서의 나이, 그 의미
04 미국 대학 학비 내가 준비한다
주립대(in-state-tuition)의 기준
연방정부 학비 보조
주 정부 학비 보조
대학들의 학비 보조와 그 기준들
주요 대학별 학비면제 기준
미국 대학 학자금 보조 신청방법 및 절차
학자금보조 신청순서도
05 미국에서 필요한 이모저모 상식
영어는 이민 생활에 필수
미국과 한국 생활 비교
의료보험 실제 사례
미국에서 크레딧 점수 올리기(1)
미국에서 크레딧 점수 올리기(2)
미국의 아파트 생활
06 미국 이민, 수속에서 정착까지
헷갈리는 이민 용어 비교
이민- 과연 초기 정착 자금은 얼마나 필요할까?
미국 이민 정착 안내
PART 2 유럽
01 유럽 안에 미래가 있다
유로 비자(EUROVISA.CO.KR)
2000~2015년 북유럽 국가로의 이주
02 영국
영국의 인력수요 현황
취업 가능 유망 분야
취업 환경
03 프랑스
이민자의 수
복지제도
취 업
노동과 관련된 취업비자 종류
프랑스어 능력
04 노르웨이
05 이탈리아
한국인 취업수요
외국인 고용환경
비자 요건
Deatinazione Italia 법 도입에 따른 변경사항
06 스웨덴
이민 비자/취업
한국인들의 취업 유망 분야(직종) 및 사유
07 핀란드
이민/취업비자
한국인 취업수요
취업환경
핀란드 취업비자
08 독일
체류 허가 및 노동 허가
한국 식품
사회보장시스템
09 포르투갈
비자/이민
거주 허가
경쟁력 있는 부동산
포르투갈은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국가 중 하나로 선정
취업 유망 분야
시장 전망
진출 전략
한국-스페인 사회보장협정 발효
스페인을 방문하는 한국인 관광객 증가에 스페인 주목
한국-스페인, 과학기술 협력 강화 MOU 체결
10 투자를 통해 유럽에서 거주 또는 시민권을 얻는 방법
키프로스- 영주권 소요기간(약 2개월~ 소요)
포르투갈- 영주권 소요기간(약3~6개월 소요)
스페인- 영주권 소요 기간(약 3~6개월 소요)
그리스- 영주권 소요 기간(40일~)
몰타- 영주권 소요 기간(3개월~)
불가리아- 영주권 소요기간(약 6개월)
PART 3 호주
01 생활
생활 정보 수집 방법
집 구하기
은행 구좌 개설
전화 신청
가스, 전기, 수도
비품 구입
한국 운전면허증의 New South Wales(NSW) 주 운전면허 교환
자동차 구입
신분증 및 운전면허 취득
인터넷
02 교육 여건
교육 여건
시드니에서의 자녀 한국어 교육
03 의료 여건
04 교통 여건
한국과의 교통
호주 시내 교통
호주 운전면허증 공증/발급/시험&국제 운전면허증 비교
‘호주’에서 휴대전화 개통하는 방법
05 이민정보
호주의 평균 생활비
PART 4 캐나다
01 캐나다 이민 역사
캐나다 이민은 개신교의 선교사가 국내에 전파
캐나다 독립 기념일: 7월 1일
캐나다는 국가원수는 영국, 정치는 불란서계 총리
총리(Prime Minister)
캐나다는 여러 민족이 모인 다문화주의(1988년)
한국과 캐나다의 관계
02 캐나다 경제를 알면 사업이 보인다
국제무역
천연자원 100년 이상 사용 가능
관광과 엔터테인먼트 산업 등 고부가가치 서비스 산업은 늘 맑다
굴뚝에 연기 나는 제조업은 반갑지 않다
전 세계 오일과 에너지 회사는 모두 모였다
밀 생산량 전 세계 1위로 농업은 미래 유망 산업
캐나다 식품 유통업계, 아시아계 소비자 성장과 함께 한국 식품 관심 고조
게임개발과 IT 정보통신, 영화 사업을 하기 좋다
바닷바람으로 캐나다 풍력 에너지 산업의 전망은 좋다
저금리로 부동산 경기 조성
한국과 캐나다의 자유무역협정
2017년 캐나다 인구와 한인 인구: 98,395명
캐나다의 현직 총리 Justin Trudeau
03 캐나다의 이민 정책
보수적이며 까다로운 점수제 이민
캐나다 2017년 비자 정책
캐나다의 영주권은 단풍 카드(Maple Leaf Card)
돈 많은 기업인과 기술과 경험을 갖춘 잘나가는 기술자만을 원한다
이민자의 교육 수준은 미국보다 높다
임금은 미국보다 낮다
04 캐나다 조세제도와 납세의 의무
세금을 많이 걷는 나라 사회 복지제도로 혜택
개인소득세 산정을 위한 세금 공제(Tax Credit)
캐나다 내국 설립 법인(주식회사)
한-캐 이중과세방지 협정
한-캐 사회보장협정
05 생활 여건
물가정보
주거 여건
1) 안전한 교육 시설과 자연 환경 속에 녹색 학교 초·중·고 과정
2) 공립학교
3) 입학 서류
4) 대학교 과정
의료보험제도
교통 여건
전화 및 인터넷
여가 여건
기타 사회보장제도
06 이주정착 가이드
1. 공항 입국
2. 공항 도착: 마중
3. 임시 숙소
4. 아파트 임대
5. 전화 신청
6. 자동차 구입
7. 운전면허취득
8. 은행 계좌 및 병원
9. 학교 등록
10. 병원 진료
11. 이민자 영어 교실
12. 특산물
취업 여건과 유망 분야
캐나다 내 대학 졸업자에 대한 취업비자 특혜
한국 내에서 캐나다 취업비자 취득 시 추가 필수 구비서류
예외적으로 취업비자 취득이 필요하지 않은 직종
07 캐나다에서 사업
사업체 설립과 투자방식
비즈니스 에티켓
epilogu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