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선로공학

선로공학

(개정4판)

서사범 (지은이)
BG북갤러리
4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6,000원 -10% 0원
2,000원
34,000원 >
36,000원 -10% 0원
0원
36,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9,000원 -10% 1450원 24,650원 >

책 이미지

선로공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선로공학 (개정4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토목공학 > 토목설계/시공
· ISBN : 9788964951392
· 쪽수 : 728쪽
· 출판일 : 2019-08-16

책 소개

개정4판에서는 2012년 이후 ‘철도의 건설기준에 관한 규정’에서 정한 철도건설기준의 일부 변경과 ‘선로정비지침’이 ‘선로유지관리지침’으로 변경된 내용 등을 수정하였다. 해당 기간 동안 국내외 철도기술이 발전되면서 국내 선로의 환경과 여건이 다소 변화된 점도 반영되었다.

목차

개정4판 서문
머리말

제1장 선로 일반

1.1 선로의 의의
1.2 선로의 구조 / 1.2.1 선로의 건설기준 / 1.2.2 궤간 / 1.2.3 궤도 / 1.2.4 시공기면 폭 / 1.2.5 궤도중심 간격 / 1.2.6 노반

1.3 차량과 하중
1.3.1 차량 구조 / 1.3.2 윤축의 형상과 치수 / 1.3.3 하중

1.4 속도와 궤도구조
1.4.1 개설 / 1.4.2 입선관리 / 1.4.3 속도와 궤도구조 / 1.4.4 속도향상을 위한 과제

1.5 차량한계와 건축한계
1.5.1 차량한계 / 1.5.2 직선에서의 건축한계 / 1.5.3 곡선에서의 건축한계

1.6 곡선에서 차륜지름 차이에 따른 윤축의 안내
1.6.1 기본적인 고려 방법 / 1.6.2 이론 식

1.7 차륜-레일간의 인터페이스
1.7.1 차륜-레일의 안내 / 1.7.2 직선 궤도에서 윤축의 횡 운동 / 1.7.3 등가 답면 기울기 / 1.7.4 마모 차륜 답변

제2장 궤도구조의 재료

2.1 레일
2.1.1 레일의 역할과 종류 / 2.1.2 레일의 단면 / 2.1.3 레일의 길이 / 2.1.4 레일에 발생하는 응력 / 2.1.5 레일강의 성질 / 2.1.6 레일의 제조법 / 2.1.7 레일의 사용과 가공

2.2 레일 용접
2.2.1 레일의 용접과 장대레일 궤도의 실현 / 2.2.2 레일 용접의 종류와 방법 / 2.2.3 레일 용접부의 품질관리

2.3 이음매
2.3.1 이음매의 역할과 종류 / 2.3.2 보통 이음매 / 2.3.3 절연(絶緣) 이음매(insulated joint) / 2.3.4 접착절연(接着絶緣) 레일(glued insulated rail) / 2.3.5 신축(伸縮) 이음매(expansion joint, E. J.) / 2.3.6 이음매판의 부속품

2.4 침목
2.4.1 총설 / 2.4.2 목침목{木枕木, timber (or wooden) sleeper} / 2.4.3 PC침목 / 2.4.4 기타의 침목

2.5 레일 체결장치
2.5.1 총설 / 2.5.2 2중 탄성 체결장치와 그 구성재료 / 2.5.3 목침목용 레일 체결장치 / 2.5.4 PC침목 등의 레일 체결장치 / 2.5.5 철침목용 레일 체결장치 / 2.5.6 콘크리트궤도 등의 레일 체결장치 / 2.5.7 레일 체결장치의 보수와 그 수명 / 2.5.8 레일 체결장치의 설계

2.6 레일 부속품
2.6.1 안티 클리퍼(rail anchor, anti creeper) / 2.6.2 레일 버팀목(chock, wooden brace) / 2.6.3 교량침목 고정용 여러 재료

2.7 도상
2.7.1 도상의 역할과 단면형상 / 2.7.2 도상자갈의 종류 / 2.7.3 도상자갈의 규격 및 물리적 성질 / 2.7.4 도상자갈의 열화

2.8 노반
2.8.1 노반의 역할과 종류 / 2.8.2 노반 재료 / 2.8.3 노반 개량 / 2.8.4 강화노반 / 2.8.5 노반에 대한 기타사항

2.9 분기기
2.9.1 분기기의 종류와 구조 / 2.9.2 포인트의 구조 / 2.9.3 크로싱의 구조 / 2.9.4 가드의 구조 / 2.9.5 분기기의 통과속도 / 2.9.6 분기기의 배치와 전환장치 / 2.9.7 분기기의 설계와 부설 / 2.9.8 분기기의 보수

제3장 선형과 곡선통과속도

3.1 선형의 구성

3.2 곡선
3.2.1 곡선의 종류 / 3.2.2 곡선반경

3.3 슬랙
3.3.1 슬랙의 의의 / 3.3.2 슬랙을 붙이는 방법

3.4 캔트
3.4.1 캔트의 의의 / 3.4.2 캔트의 이론 / 3.4.3 최대캔트 및 캔트설정 / 3.4.4 캔트 부족량

3.5 완화곡선
3.5.1 완화곡선의 의의 / 3.5.2 완화곡선의 형상 / 3.5.3 완화곡선의 삽입

3.6 기울기와 종곡선
3.6.1 기울기(구배) / 3.6.2 종곡선{縱曲線, vertical (or levelling) curve}

3.7 곡선의 부설조건과 선형의 경합조건
3.7.1 차량진동의 감쇠를 고려한 부설 조건 / 3.7.2 각종 선형 등의 경합조건

3.8 곡선통과 속도
3.8.1 곡선통과 속도의 결정 요인 / 3.8.2 곡선통과 속도의 계산 / 3.8.3 진자차량의 곡선통과 속도 / 3.8.4 조타대차의 곡선통과 성능

제4장 차량과 궤도의 상호작용 및 궤도의 측정과 시험

4.1 철도 차량의 진동
4.1.1 진동의 종류 / 4.1.2 승차감 / 4.1.3 차량 주행 시뮬레이션 / 4.1.4 궤도의 동적 양상

4.2 차량 주행에 따른 궤도의 동적 가진
4.2.1 궤도에 생기는 진동과 충격 / 4.2.2 궤도의 동적 가진 모델 / 4.2.3 궤도틀림의 파장 특성 / 4.2.4 궤도변형의 전파(propagation of rail deformation)와 열차의 임계 속도 / 4.2.5 궤도의 동적 응답 특성 / 4.2.6 궤도틀림과 단파장 요철에 기인한 가진 / 4.2.7 차륜 플랫에 기인한 가진 / 4.2.8 레일 이음매에 기인한 가진 / 4.2.9 레일 이음매 처짐에 기인한 가진 / 4.2.10 레일의 오목(凹)부에 기인한 가진 / 4.2.11 궤도 동역학(track dynamics) 모델의 심도화 / 4.2.12 윤축 낙하에 따른 궤도의 충격 / 4.2.13 윤하중 변동과 레일요철

4.3 곡선통과 시의 횡압 및 궤도의 횡압한도
4.3.1 곡선통과 시 횡압의 발생원인과 저감대책 / 4.3.2 곡선통과 시의 윤하중·횡압의 정량화

4.4 탈선
4.4.1 탈선 현상 / 4.4.2 탈선의 종류 / 4.4.3 탈선계수(脫線係數, derailment coefficient) / 4.4.4 탈선계수 등의 안전 한도 / 4.4.5 차량동요에 따른 곡선통과 시의 횡압과 탈선계수의 추정 / 4.4.6 경합 탈선 / 4.4.7 탈선에 관한 유의 사항

4.5 지진 시 궤도의 변형
4.5.1 문제점 / 4.5.2 노반 변형에 기인한 궤도의 변형 / 4.5.3 자갈궤도의 안정 / 4.5.4 열차의 주행안전

4.6 궤도의 시험과 승인 및 연구개발
4.6.1 궤도의 시험과 승인 / 4.6.2 궤도에서의 연구개발 / 4.6.3 시험장치

4.7 윤축낙하를 이용한 지상진동 예측 시스템
4.7.1 예측의 의의 / 4.7.2 데이터의 획득 / 4.7.3 윤축낙하와 열차주행과의 차이 / 4.7.4 궤도 특성치 / 4.7.5 윤축낙하 시험 시스템 / 4.7.6 모형실험 / 4.7.7 궤도 스프링 감쇠계수와 궤도 스프링 계수의 관계

제5장 궤도역학 및 궤도구조(자갈궤도) 설계

5.1 궤도구조(자갈궤도) 설계의 기본적인 고려방법과 구성
5.1.1 자갈궤도 설계의 기본적인 고려방법 / 5.1.2 자갈궤도 설계법의 현상과 앞으로의 방향 / 5.1.3 최적(最適) 궤도구조

5.2 궤도역학 및 궤도구조 해석법
5.2.1 궤도에 작용하는 힘 / 5.2.2 윤하중으로 인한 궤도의 변형(track deformation) / 5.2.3 횡압으로 인한 궤도의 변형 / 5.2.4 침목의 변형 / 5.2.5 침목 하면 압력과 노반 압력 / 5.2.6 도상자갈부의 소성 변형 / 5.2.7 2중 탄성 레일체결장치의 해석

5.3 궤도구조의 설계에 이용하는 열차하중
5.3.1 상하방향 하중의 산정법 / 5.3.2 좌우방향 하중의 산정법 / 5.3.3 조사항목과 열차하중 조건의 조합

5.4 부재·궤광의 발생 응력에 관한 조사
5.4.1 부재·궤광의 발생 응력에 관한 조사의 기본적인 고려방법 / 5.4.2 레일 휨 응력에 관한 조사 / 5.4.3 PC침목의 균열에 관한 조사 / 5.4.4 노반강도에 관한 조사 / 5.4.5 레일 체결장치의 파손에 관한 조사 / 5.4.6 급격한 줄 틀림에 관한 조사

5.5 궤도틀림 진행에 관한 조사
5.5.1 궤도 상태의 열화·복원의 사이클 / 5.5.2 고저틀림 진행에 관한 조사 방법 / 5.5.3 줄 틀림 진행에 관한 조사 방법 / 5.5.4 궤도보수 작업량에 관한 연구의 예

5.6 속도와 수송 조건을 고려한 궤도구조의 결정 방법
5.6.1 종래의 궤도구조 기준의 고려방법과 새로운 설계법의 특징 / 5.6.2 새로운 설계법에 따른 계산 예(고저틀림 진행에 관한 조사) / 5.6.3 침목의 최적침하와 고속선로용 자갈궤도

5.7 장대레일의 이론과 설계
5.7.1 장대레일의 신축 이론 / 5.7.2 각종 장대레일 / 5.7.3 장대레일 부설 및 레일축력 측정법 / 5.7.4 궤도의 좌굴 안정성 해석 / 5.7.5 궤도 좌굴의 진보된 수학 모델 / 5.7.6 궤도의 좌굴 안정성에 관한 조사

제6장 콘크리트궤도 등 생력화 궤도

6.1 개론 및 인터페이스
6.1.1 생력화 궤도의 의의 / 6.1.2 콘크리트궤도의 개관 및 자갈궤도와의 비교 / 6.1.3 콘크리트궤도의 일반적인 요구조건 / 6.1.4 일반철도 터널구간의 콘크리트궤도 / 6.1.5 자갈궤도와 콘트리트궤도 접속구간의 관리

6.2 국내 적용 콘크리트궤도
6.2.1 국내 적용 콘크리트궤도의 개요 / 6.2.2 Rheda 2000 / 6.2.3 L.V.T 궤도 / 6.2.4 ALT 궤도 / 6.2.5 플로팅(floating) 슬래브 궤도 / 6.2.6 프리캐스트 슬래브궤도(PST) 및 기타

6.3 방진 궤도, 도상매트 및 일본의 기타 궤도 유형
6.3.1 유도상 탄성 침목 궤도 / 6.3.2 도상매트(ballast-mat) / 6.3.3 래더(Ladder) 궤도 / 6.3.4 슬래브 궤도 / 6.3.5 분기기 슬래브 / 6.3.6 영단형 방진 직결 궤도

6.4 유럽의 생력화 궤도
6.4.1 독일 레다(Rheda) 궤도 / 6.4.2 영국 PACT 궤도 / 6.4.3 프랑스 Stedef 궤도 / 6.4.4 기타 궤도

6.5 콘크리트궤도 시스템의 일반적인 검토 사항
6.5.1 연질 흙 위의 휨 강성 콘크리트궤도 / 6.5.2 콘크리트궤도의 탄성 / 6.5.3 콘크리트궤도 시스템의 요구조건 / 6.5.4 콘크리트궤도 시스템의 일반적인 경험 / 6.5.5 콘크리트궤도의 보수

6.6 콘크리트궤도의 구조계산
6.6.1 콘크리트궤도 구조의 기준 / 6.6.2 토공구간과 터널구간 콘크리트궤도의 구조계산 / 6.6.3 교량구간 콘크리트궤도의 구조계산

제7장 궤도 관리

7.1 궤도의 검측
7.1.1 궤도틀림의 검측 방법 / 7.1.2 궤도틀림의 검측 기구 / 7.1.3 EM-120 궤도 검측차 / 7.1.4 고속철도의 궤도 검측 시스템 / 7.1.5 궤도 검측의 기타 사항 및 기타 궤도검측차

7.2 궤도틀림의 관리
7.2.1 궤도틀림의 정의와 측정 / 7.2.2 궤도틀림의 정비 기준 / 7.2.3 궤도틀림의 파장 특성 / 7.2.4 궤도틀림 데이터의 처리 / 7.2.5 궤도관리 시스템과 보선 작업 / 7.2.6 궤도 선형의 품질

7.3 기계화 보선 작업
7.3.1 기계화 보선의 개요 / 7.3.2 궤도의 보수와 다짐 / 7.3.3 도상의 압밀과 안정 / 7.3.4 분기기의 보수 / 7.3.5 도상 클리닝과 도상 갱신 및 노반관리 / 7.3.6 밸러스트 레귤레이터 / 7.3.7 진공 굴착기 및 기타 장비 / 7.3.8 궤도 내 용접 / 7.3.9 기계화 보선의 결론

7.4 장대레일의 관리
7.4.1 장대레일의 정비 / 7.4.2 고속선로 보수작업의 조건과 안정화 / 7.4.3 레일 긴장기

7.5 레일의 관리
7.5.1 레일의 마모(磨耗) / 7.5.2 레일의 손상 / 7.5.3 레일의 탐상(探傷) / 7.5.4 레일의 연삭 / 7.5.5 레일의 굽혀 올림

7.6 레일 두부상면 요철의 관리 및 단파장 궤도틀림의 관리
7.6.1 레일의 검측 / 7.6.2 레일의 요철 / 7.6.3 레일 요철과 전동음 / 7.6.4 축상 상하가속도를 이용한 윤하중 변동의 파악 / 7.6.5 축상 좌우가속도에 따른 저대 횡압의 검출 / 7.6.6 레일의 파상 마모

7.7 열차동요 관리
7.7.1 궤도틀림과 열차동요 / 7.7.2 열차동요 관리

7.8 유간 관리
7.8.1 이음매 유간(遊間, joint gap) / 7.8.2 유간 정정과 복진

제8장 선로 보안설비 및 운전

8.1 선로(線路) 보안설비(保安設備, safety installation)
8.1.1 가드 레일류(guard rail 類) / 8.1.2 차막이와 차륜 막이 / 8.1.3 안전 측선, 탈선포인트, 서행 개소 등

8.2 건널목 설비
8.2.1 건널목의 종류 / 8.2.2 건널목의 설치 기준 / 8.2.3 건널목의 구조 / 8.2.4 건널목 보안장치(保安裝置, safety device) / 8.2.5 건널목 안전 대책

8.3 신호보안 장치
8.3.1 철도신호와 신호보안 장치 / 8.3.2 궤도회로

8.4 운전
8.4.1 열차 저항 / 8.4.2 가속력 곡선 / 8.4.3 균형속도 및 견인 정수와 환산 량수 / 8.4.4 거리기준 운전선도 / 8.4.5 선로용량

제9장 소음과 진동

9.1 측정의 계획
9.2 소음·진동의 기초 지식과 측정·평가 / 9.2.1 소음의 기초 지식과 측정·평가 / 9.2.2 진동의 기초 지식과 측정·평가

9.3 철도 소음·진동의 실태와 특징
9.3.1 소음·진동 경감대책을 위한 현상의 파악 / 9.3.2 철도 소음의 실태와 특징 / 9.3.3 철도 진동의 실태와 특징

참고문헌
찾아보기
종래의 단위와 SI 단위의 비교

저자소개

서사범 (옮긴이)    정보 더보기
• 1950년(단기 4283년, 庚寅년) 생, 공학박사(충북대학교), 철도기술사(출제위원 역임) • 1970년 2월에 국립 철도고등학교를 졸업(제1회)하고부터 반세기에 걸쳐 철도청 등의 철도기관(한국철도시설공단 2009. 3. 명예퇴직)과 업계에서 궤도기술업무에 종사 • 전 철도청 순천지방철도청 호남보선사무소장, 철도기술연구소 궤도연구관 • 전 고속전철사업기획단 궤도구조담임 • 전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한국철도시설공단(현 국가철도공단) 궤도처장, 중앙궤도기술단장 • 전 삼표이앤씨(주)・(주)서현기술단 근무 • 전 우송대학교 겸임교수, 충남대학교・한밭대학교・배재대학교・한국철도대학 강사 • 현 삼안측지기술공사 재직 • 저서 : 13권(《철도공학의 이해》; 2000년도 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선정, 《철도공학》; 2006년도 대한토목학회 저술상 수상) • 역서 : 4권, •편저・편역 : 7권, •공저 : 2권 • 궤도인생 반세기(고희기념회고록, 2019년), 회갑기념논문집(2010년) 저술・발간 • 연구논문・학술기사 등 : 2020년 5월 현재 총 333편 집필
펼치기

책속에서







1.1 선로의 의의

선로(線路, permanent, roadway)란 열차 또는 차량을 주행시키기 위한 통로(通路)의 총칭이며, 차량을 직접 지지·유도하는 궤도(軌道, track)와 궤도를 지지하는 노반(路盤, subgrade, road bed) 및 여기에 부속되는 설비나 구조물 등을 포함하는 지대(地帶)를 말하지만, 협의로는 궤도, 표층 노반, 선로 측구(側溝) 및 여러 가지 설비(設備)를 말한다. 그리고 철도(鐵道, railway, railroad)라고 하는 수송기관을 특징짓고 있는 최대의 요소는 열차가 이 선로라고 하는 고정된 통로에서만 운행된다고 하는 점이다.
항공기가 3차원 공간을, 선박과 자동차가 2차원 공간을 이동하는 것에 비하여 철도의 열차는 선로 상을 1차원적으로 이동할 뿐이다. 따라서, 열차의 운전에서는 방향의 조작이 전혀 불필요하지만 다른 수송기관과 같이 우회나 주행로의 변경을 간단하게 할 수 없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운행 자유도의 제한은 거꾸로 열차제어(制御)나 운행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철도가 고속운전과 대량수송에 적당하다고 하는 특징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항공기나 선박이 기상 조건의 영향을 받기도 하고 자동차가 교통사고나 교통정체의 영향을 받기도 하는 것에 비하여, 철도는 선로라고 하는 전용의 통로를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시간적으로 정확하고 안전성이 높다.
설비 면에서 본 철도의 특징은 선로를 중심으로 한 고정설비의 건설비 및 유지관리비가 비교적 크고, 일단 건설되어 영업운전을 개시하면 그 후의 개량에는 막대한 경비를 필요로 하는 점이다. 선로를 구성하는 요소에는 표준 구조로서 도상(道床)자갈이 있으며, 이것이 열차하중으로 조금씩 틀림이 진행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도상 다짐작업이 정상적으로 필요하게 된다. 근년에, 이 자갈궤도 대신에 콘크리트궤도, 포장궤도 등의 생력화(省力化) 궤도를 일부 선로에 이용하게 됨에 따라 유지 관리가 경감되고 있다.
선로는 수송, 운전, 보수 및 안전의 관점에서 수평, 직선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지형, 건설비의 관계 때문에 곤란하다. 건설적인 견지에서는 운전에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될 수 있으면 지표면을 따라 가는 것이 좋지만, 건설후의 운영을 생각하면 급기울기(急勾配)나 급곡선(急曲線)의 존재는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같이 상반되는 요구에 따라 선로 중에 기울기나 곡선이 생기는 것을 피할 수 없지만, 여기에는 소정의 제한을 둔다.
이 때문에 지형에 따라 땅깎기(切土) 또는 흙 쌓기(盛土)로 하고, 하천을 횡단하는 경우에는 교량(橋梁)을, 산맥을 횡단하는 장소에는 터널을, 또한 시가지를 통과할 때에는 고가교(高架橋) 등의 시설이 필요하게 된다.
철도는 일관(一貫) 수송이므로 모든 차량이 모든 선로를 운전할 수 있도록 적어도 궤간(軌間) 및 여러 가지 한계(限界), 선로의 강도(强度) 등을 통일할 필요가 있다.

- 본문 ‘제1장 선로 일반’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64951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