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고속철도 궤도 동역학

고속철도 궤도 동역학

샤오얀 레이 (지은이), 서사범 (옮긴이)
BG북갤러리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1,500원 -10% 0원
1,750원
29,750원 >
31,5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3,150원
28,3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고속철도 궤도 동역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고속철도 궤도 동역학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도시/환경공학 > 교통공학
· ISBN : 9788964952481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22-05-12

책 소개

고속철도차량-궤도 연결시스템의 동적 이론과 모델, 알고리즘 및 공학적인 응용을 포함한 이 책은 책 내용의 정확성과 완전성에 중점을 두었었으며, 이론과 실행을 결합하여 고속철도 궤도 동역학의 최신 연구결과와 개발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목차

책 소개
원본 서문
원저자 머리말
역자 서문


제1장 궤도 동역학 연구내용과 관련 기준

1.1 궤도 동역학 연구의 개관
1.2 궤도 동역학 연구내용
1.3 안전과 승차감 품질의 허용치 및 철도환경 기준
1.3.1 일반 열차에 대한 안전한계
1.3.2 정기 열차에 대한 승차감 품질 한계
1.3.3 속도향상 열차에 대한 안전과 승차감 품질 한계
1.3.4 중국의 철도소음 표준
1.3.5 외국의 철도소음 표준
1.3.6 중국의 기관차와 여객열차에 대한 소음 표준
1.3.7 중국 도시지역의 환경 진동 표준
1.3.8 도시대중교통에 기인하는 건물 진동에 대한 제한
1.4 고속철도에 대한 궤도 유지보수의 표준
1.4.1 프랑스 고속철도에 대한 궤도 유지보수의 표준
1.4.2 일본 신칸센 고속철도에 대한 궤도 유지보수와 관리의 표준
1.4.3 독일 고속철도에 대한 궤도 유지보수와 관리의 표준
1.4.4 영국 고속철도에 대한 궤도 유지보수와 관리의 표준
1.4.5 한국 고속철도에 대한 궤도 선형의 측정 표준(동적)
1.4.6 중국 고속철도에 대한 궤도 유지보수의 표준
1.4.7 유럽 고속열차와 궤도연결시스템의 탁월진동수와 민감 파장
1.5 역사적 건물구조의 진동 표준

참고문헌


제2장 궤도구조의 동적 분석을 위한 해석법

2.1 고속열차가 유발한 지반 표면파와 궤도 진동
2.1.1 궤도구조의 연속 탄성 보 모델
2.1.2 궤도 등가 강성과 궤도기초 탄성계수
2.1.3 궤도 임계속도
2.1.4 강한 궤도 진동의 분석
2.2 궤도 진동에 대한 갑작스러운 궤도 강성 변화의 영향
2.2.1 이동 하중 하에서 궤도 틀림과 갑작스러운 강성 변화를 고려한 궤도 진동모델
2.2.2 과도구간에서 궤도 강성의 적당한 분포

참고문헌


제3장 궤도구조의 동적 분석을 위한 푸리에 변환법

3.1 궤도구조에 대한 단-층 연속 탄성 보의 모델
3.1.1 푸리에 변환
3.1.2 역 이산 푸리에 변환
3.1.3 MATLAB의 역 이산 푸리에 변환의 정의
3.2 궤도구조에 대한 이중-층 연속 탄성 보 모델
3.3 고속철도 궤도 진동과 궤도 임계속도의 분석
3.3.1 MATLAB의 역 이산 푸리에 변환의 정의
3.4 객화 혼합교통의 철도용 궤도의 진동분석
3.4.1 궤도구조의 3-층 연속 탄성 보 모델
3.4.2 불규칙한 궤도 틀림의 수치 시뮬레이션
3.4.3 궤도구조의 3-층 연속 탄성 보 모델을 풀기 위한 푸리에 변환
3.5 연약 노반 위에 아스팔트 궤도기초가 있는 자갈궤도의 진동분석
3.5.1 궤도구조의 4-층 연속 탄성 보 모델
3.5.2 궤도구조의 4-층 연속 탄성 보 모델을 풀기 위한 푸리에 변환
3.5.3 연약 노반 위에 아스팔트 궤도기초가 있는 자갈궤도의 진동분석

참고문헌


제4장 고가 궤도구조의 동적 거동의 분석

4.1 어드미턴스의 기본개념
4.1.1 어드미턴스의 정의
4.1.2 어드미턴스의 계산모델
4.1.3 조화 응답 분석의 기본이론
4.2 고가 교량구조물의 진동 거동에 관한 분석
4.2.1 분석 보 모델
4.2.2 유한요소 모델
4.2.3 고가 궤도-교량의 분석모델과 유한요소 모델 간의 비교
4.2.4 교량 받침 강성의 영향
4.2.5 교량 횡단면 모델의 영향
4.3 고가 궤도구조의 진동 거동에 관한 분석
4.3.1 고가 궤도-교량시스템의 분석모델
4.3.2 유한요소법
4.3.3 교량구조물의 감쇠
4.3.4 고가 궤도-교량시스템의 파라미터 분석
4.4 고가 궤도구조의 진동 감쇠 거동에 관한 분석
4.4.1 진동 전파의 감쇠율
4.4.2 레일 진동의 감쇠 계수

참고문헌


제5장 궤도 틀림 파워 스펙트럼과 수치 시뮬레이션

5.1 무작위 과정의 기본개념
5.1.1 정상 무작위 과정
5.1.2 에르고딕
5.2 궤도구조의 불규칙한 틀림 파워 스펙트럼
5.2.1 미국 궤도 틀림 파워 스펙트럼
5.2.2 독일 고속철도에 대한 궤도 틀림 파워 스펙트럼 [5]
5.2.3 일본 궤도 틀림 Sato 스펙트럼
5.2.4 중국 간선 궤도 틀림 스펙트럼
5.2.5 중국 Hefei∼Wuhan 여객전용선 궤도 틀림 스펙트럼
5.2.6 궤도 틀림 파워 스펙트럼 적합 곡선의 비교
5.3 궤도구조의 불규칙한 틀림에 대한 수치 시뮬레이션
5.4 삼각급수 방법
5.4.1 삼각급수 방법 (1)
5.4.2 삼각급수 방법 (2)
5.4.3 삼각급수 방법 (3)
5.4.4 삼각급수 방법 (4)
5.4.5 궤도구조의 불규칙한 틀림의 표본

참고문헌


제6장 차량-궤도 연결시스템의 수직 동적 분석을 위한 모델

6.1 동적 유한요소법의 기본이론
6.1.1 동적 유한요소법의 간결한 소개
6.1.2 보 요소 이론
6.2 궤도구조의 유한요소 방정식
6.2.1 기본가정과 계산모델
6.2.2 궤도구조의 일반화된 보 요소의 이론
6.3 이동 차축 하중을 받는 궤도의 동역학 모델
6.4 일차 현가 시스템을 가진 단일 차륜의 차량 모델
6.5 일차와 이차 현가 시스템을 가진 반(半) 차의 차량 모델
6.6 일차와 이차 현가 시스템을 가진 전체 차의 차량 모델
6.7 차량과 궤도구조에 대한 파라미터
6.7.1 기관차와 차량의 기본 파라미터
6.7.2 궤도구조의 기본 파라미터

참고문헌


제7장 차량-궤도 연성 진동분석을 위한 교차-반복 알고리즘

7.1 차량-궤도 비선형 연결시스템용 교차-반복 알고리즘
7.2 예제 검증
7.2.1 확인
7.2.2 시간 단계의 영향
7.2.3 수렴 정확성의 영향
7.3 열차-궤도 비선형 연결시스템의 동적 분석
7.4 결론

참고문헌


제8장 이동 요소 모델과 그것의 알고리즘

8.1 이동 요소 모델
8.2 일차 현가 시스템을 가진 단일 차륜의 이동 요소 모델
8.3 일차와 이차 현가 시스템을 가진 단일 차륜의 이동 요소 모델
8.4 교량 위를 이동하는 단일 차륜의 동적 분석용 모델과 알고리즘

참고문헌


제9장 궤도요소와 차량요소에 대한 모델과 알고리즘

9.1 자갈궤도 요소 모델
9.1.1 기본가정
9.1.2 3-층 자갈궤도 요소
9.2 슬래브궤도 요소 모델
9.2.1 기본가정
9.2.2 3-층 슬래브궤도 요소 모델
9.2.3 슬래브궤도 요소의 질량 행렬
9.2.4 슬래브궤도 요소의 강성 행렬
9.2.5 슬래브궤도 요소의 감쇠 행렬
9.3 슬래브궤도-교량 요소 모델
9.3.1 기본가정
9.3.2 3-층 슬래브궤도와 교량 요소 모델
9.3.3 슬래브궤도-교량 요소의 질량 행렬
9.3.4 슬래브궤도-교량 요소의 강성 행렬
9.3.5 슬래브궤도-교량 요소의 감쇠 행렬
9.4 차량요소 모델
9.4.1 차량요소의 퍼텐셜 에너지
9.4.2 차량요소의 운동에너지
9.4.3 차량요소의 소산 에너지
9.5 차량-궤도 연결시스템의 유한요소 방정식
9.6 열차와 궤도 연결시스템의 동적 분석

참고문헌


제10장 이동 좌표계의 유한요소를 이용한 차량-궤도 연결시스템의 동적 분석

10.1 기본가정
10.2 이동 좌표계에서 슬래브궤도의 3-층 보 요소 모델
10.2.1 슬래브궤도의 지배 방정식
10.2.2 이동 좌표계에서 슬래브궤도의 요소 질량, 감쇠 및 강성 행렬
10.3 차량요소 모델
10.4 차량-슬래브궤도 연결시스템의 유한요소 방정식
10.5 알고리즘 검증
10.6 고속열차와 슬래브궤도 연결시스템의 동적 분석

참고문헌


제11장 차량-궤도-노반-지반 연결시스템의 수직 동적 분석용 모델

11.1 이동하중을 받는 슬래브궤도-성토-지반 시스템의 모델
11.1.1 슬래브궤도-노반 층 시스템의 동적 방정식과 해
11.1.2 성토 본체-지반 시스템의 동적 방정식과 해
11.1.3 슬래브궤도-성토-지반 시스템의 연성 진동
11.2 이동하중을 받는 자갈궤도-성토-지반 시스템의 모델
11.2.1 자갈궤도-노반 층 시스템의 동적 방정식과 해
11.2.2 자갈궤도-성토-지반 시스템의 연성 진동
11.3 이동 차량-궤도-노반-지반 연결시스템의 해석적 진동모델
11.3.1 윤축 지점에서의 이동 차량의 유연도 행렬
11.3.2 차륜-레일 접점에서의 궤도-노반-지반의 유연도 행렬
11.3.3 궤도 틀림을 고려한 차량-노반-지반 시스템의 연결
11.4 고속열차-궤도-노반-지반 연결시스템의 동적 분석
11.4.1 성토 본체 진동에 대한 열차속도와 궤도 틀림의 영향
11.4.2 성토 본체 진동에 대한 노반 층 강성의 영향
11.4.3 성토 본체 진동에 대한 성토 흙 강성의 영향

참고문헌


제12장 열차, 자갈궤도 및 노반 연결시스템의 동적 거동의 분석

12.1 차량과 궤도구조의 파라미터
12.2 열차속도의 영향 분석
12.3 궤도 강성 분포의 영향 분석
12.4 과도구간 불규칙의 영향 분석
12.5 궤도 강성과 과도구간 불규칙 결합의 영향 분석

참고문헌


제13장 열차, 슬래브궤도 및 노반 연결시스템의 동적 거동의 분석

13.1 사례 검증
13.2 열차, 슬래브궤도 및 노반 연결시스템의 동적 거동의 파라미터 분석
13.3 레일패드와 체결장치 강성의 영향
13.4 레일패드와 체결장치 감쇠의 영향
13.5 CA 모르터 강성의 영향
13.6 CA 모르터 감쇠의 영향
13.7 노반 강성의 영향
13.8 노반 감쇠의 영향

참고문헌


제14장 자갈궤도와 무도상 궤도 간 과도구간의 동적 거동의 분석

14.1 자갈궤도와 무도상 궤도 간의 과도구간에 대한 열차속도의 영향 분석
14.2 자갈궤도와 무도상 궤도 간의 과도구간에 대한 궤도기초 강성의 영향 분석
14.3 자갈궤도와 무도상 궤도 간 과도구간의 개선 수단

참고문헌


제15장 중첩된 지하철로 유발된 환경 진동분석

15.1 중첩된 지하철로 유발된 지반 진동의 분석
15.1.1 사업 개요
15.1.2 재료 파라미터
15.1.3 유한요소법
15.1.4 감쇠 계수와 적분 단계
15.1.5 차량 동하중
15.1.6 환경 진동 평가지표
15.1.7 진동에 대한 상행선과 하행선의 운행 방향의 영향
15.1.8 중첩된 지하철들에 대한 진동 감소 책략 분석
15.1.9 진동주파수 분석
15.1.10 지반 진동 분포 특성
15.2 중첩된 지하철로 유발된 역사적 건물의 진동분석
15.2.1 사업 개요
15.2.2 유한요소 모델
15.2.3 건물의 모드 분석
15.2.4 건물의 수평 진동분석
15.2.5 건물의 수직 진동분석
15.3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샤오얀 레이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중국교통대학교(East China Jiaotong University)의 교수 겸 박사과정 지도교수이며, 교육부(the Ministry of Education)의 철도환경진동 및 소음공학연구센터 소장(director of Railway Environment Vibration and Noise Engineering Research Center)이다. 1989년에 Tsinghua University(清華大学)에서 고체역학의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1∼1994년의 기간에 오스트리아 Innshruck 대학교에서 방문학자, 2001년에 일본 규슈공업대학에서 객원교수, 그리고 2007년에 미국 켄터키대학교에서 선임연구원으로 종사했다. 국가 인재프로젝트(National Talents Project)의 1급과 2급 인재, 장시성(江西省, Jiangxi Province)의 주요 학문과 기술의 선도 인사 및 장시 간포 인재 후보(Jiangxi Ganpo Talent Candidates) 555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많은 학문적 직함(academic title)을 받았다. 그의 학문적 지위는 미국기계학회(ASME)의 선임멤버, 중국통신・교통협회 이사, 장시성 이론・응용역학학회의 사무국장, 그리고 장시성 철도학회의 사무차장을 포함한다. 게다가 그는 중국철도학회의 저널, 철도과학・공학의 저널, 도시대중교통의 저널, 교통공학・정보의 저널, 철도교통의 국제저널, 토목건축・교육연구 월간지 저널의 편집위원으로 일하였다. 그는 중국의 국가핵심기초연구사업, 주요 국제 조정・교류 프로젝트, 중국의 자연과학재단, 장시성 자연과학재단, 주요 국제입찰사업, 중국 교육부의 프로젝트, 중국철도공사와 장시성 과학기술개발계획 및 기업위탁조정 프로젝트를 포함하여 모든 레벨에서 60개 이상의 과학연구 프로젝트를 맡았다. 그의 출판물은 200편 이상의 학술논문과 철도공학에 대한 6편의 전공논문을 포함한다. 그는 또한 6건의 발명 특허와 18건의 컴퓨터 소프트웨어 저작권의 저작자이다.
펼치기
서사범 (옮긴이)    정보 더보기
• 1950년(단기 4283년, 庚寅년) 생, 공학박사(충북대학교), 철도기술사(출제위원 역임) • 1970년 2월에 국립 철도고등학교를 졸업(제1회)하고부터 반세기에 걸쳐 철도청 등의 철도기관(한국철도시설공단 2009. 3. 명예퇴직)과 업계에서 궤도기술업무에 종사 • 전 철도청 순천지방철도청 호남보선사무소장, 철도기술연구소 궤도연구관 • 전 고속전철사업기획단 궤도구조담임 • 전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한국철도시설공단(현 국가철도공단) 궤도처장, 중앙궤도기술단장 • 전 삼표이앤씨(주)・(주)서현기술단 근무 • 전 우송대학교 겸임교수, 충남대학교・한밭대학교・배재대학교・한국철도대학 강사 • 현 삼안측지기술공사 재직 • 저서 : 13권(《철도공학의 이해》; 2000년도 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선정, 《철도공학》; 2006년도 대한토목학회 저술상 수상) • 역서 : 4권, •편저・편역 : 7권, •공저 : 2권 • 궤도인생 반세기(고희기념회고록, 2019년), 회갑기념논문집(2010년) 저술・발간 • 연구논문・학술기사 등 : 2020년 5월 현재 총 333편 집필
펼치기

책속에서



1.2 궤도 동역학 연구내용

열차가 궤도를 따라 주행할 때, 열차와 궤도는 둘 다 다음과 같은 요인으로 인해 모든 방향으로 진동을 유 발할 수밖에 없다.

1. 기관차 동적 힘. 그것은 증기기관차 차륜 편심 블록의 주기적인 힘(cyclic force)과 디젤기관차 동력장 치의 진동을 포함한다.
2. 속도. 기관차와 열차는 특정한 속도로 틀림이 있는 궤도를 따라 주행할 때 동적 작용을 유발한다.
3. 궤도 틀림. 그것은 레일표면 마모, 고르지 않은 기초 탄성, 일부 침목의 파손, 레일체결장치 성능의 부 족, 서로 다른 궤도 부품들 사이의 틈, 침목 아래의 느슨한 구속에 기인한다.
4. 레일이음매 및 장대레일 용접 슬래그(slag). 열차가 레일이음매와 용접 슬래그를 통하여 주행할 때, 추 가의 동적 힘이 유발될 것이다.
5. 차륜 장착(wheel installment)의 편심에 기인하는 지속적 불규칙 및 차륜 플랫과 고르지 않은 차륜 답 면 마모에 기인하는 충격 불규칙(impulse irregularity)

열차의 차량은 차체, 대차, 1차 현가장치와 2차 현가장치 및 윤축으로 구성된다. 열차와 궤도는 열차가 궤 도를 따라 주행할 때 연결시스템을 구성한다. 그러한 시스템의 동적 분석은 주로 다음을 포함한다.

1. 궤도를 따른 열차안전의 탐구
열차가 궤도를 따라 주행할 때는 열차가 구조적 진동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열차와 궤도연결시스 템의 시뮬레이션 분석을 통하여, 열차와 궤도에 대한 동응력과 처짐, 횡 힘, 탈선계수 및 윤하중 감소 율과 같은 파라미터들이 도출될 수 있으며, 여기서 궤도 위를 주행하는 기관차와 차량의 안전이 평가될 수 있다.
2. 열차 승차감 품질(riding quality)의 탐구
기관차와 객차의 승차감 품질은 기관사와 승객의 안락함으로 평가된다. 열차가 궤도를 따라 주행할 때, 승차감 품질을 확보하기 위하여 차량 진동주파수와 가속도 및 진동진폭이 제어되어야 한다.
3. 이론적 분석과 실험적 연구를 통한 기존 궤도의 평가, 기관차, 차량유닛 및 궤도구조의 파라미터 선택과 최적화. 이것은 새로운 궤도설계의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다.

끊임없이 증가하는 열차속도, 늘어나는 화물열차 하중 및 사용조건의 다양화에 따라, 차륜-레일 동역학을 면밀하게 연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본문 ‘제1장 궤도 동역학 연구내용과 관련 기준’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