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고속철도 분기기

고속철도 분기기

(설계 이론 및 응용)

Ping Wang (지은이), 서사범 (옮긴이)
BG북갤러리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1,500원 -10% 0원
1,750원
29,7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고속철도 분기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고속철도 분기기 (설계 이론 및 응용)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도시/환경공학 > 교통공학
· ISBN : 9788964952580
· 쪽수 : 479쪽
· 출판일 : 2022-12-15

책 소개

분기기 기술의 일반원리와 설계이론, 제작, 조립, 부설, 유지보수 등을 망라한 분기기의 최신기술을 이해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될 만한 번역서. 분기기의 높은 선형맞춤에 중점을 두는 이론, 구조설계, 제작과 부설기술 및 유지보수 방침을 다룬 책이다.

목차

원저자 서문
역자 서문

제1장 유형과 구조
1.1 주요 유형
1.1.1 구성 / 1.1.2 분류
1.2 기술 요구사항
1.2.1 우수한 기술성능 / 1.2.2 높은 비용효과 / 1.2.3 뛰어난 적응성
1.3 기술 특성
1.3.1 시스템 통합 / 1.3.2 이론 근거와 실용적 시험 / 1.3.3 최신기술의 제작과 부설 / 1.3.4 과학적 유지보수와 관리
1.4 세계 각국이 개발한 고속분기기의 개관
1.4.1 프랑스 / 1.4.2 독일 / 1.4.3 중국 / 1.4.4 기타 국가

제2장 평면선형 설계

2.1 설계조건
2.1.1 운영조건 / 2.1.2 차량조건 / 2.1.3 궤도설계기술조건 / 2.1.4 부설조건
2.2 평면선형
2.2.1 설계요건 / 2.2.2 리드곡선 / 2.2.3 텅레일 / 2.2.4 분기기 각 부분의 간격 치수 /
2.2.5 기하구조 치수
2.3 평면선형 파라미터의 설계
2.3.1 질점운동에 기초한 방법 / 2.3.2 강체운동에 기초한 방법 / 2.3.3 설계 소프트웨어
2.4 차륜-레일시스템 진동에 기초한 평면선형 평가방법
2.4.1 차륜-레일시스템 동역학 이론 /2.4.2 다(多)강체 동역학 분석 소프트웨어 / 2.4.3 적용사례

제3장 구조 선택과 레일 설계

3.1 선택 원리
3.2 전체 구조 선택
3.2.1 안내레일식 분기기 / 3.2.2 가동 노스 크로싱 / 3.2.3 탄성 굽힘 가능 노스레일 / 3.2.4 긴 윙레일 / 3.2.5 조립 노스레일 / 3.2.6 압연 특수단면 윙레일 / 3.2.7 텅레일과 노스레일 끝의 AT레일 열간 단조 성형 후단 / 3.2.8 홈이 있는 레일로 만든 가드레일
3.3 레일부재의 설계
3.3.1 AT레일의 선택 / 3.3.2 가동 노스레일 첫 번째 견인지점에서의 각 부품의 설계
3.4 레일에 관한 기술요건
3.4.1 필요조건 / 3.4.2 레일의 종류, 단면 및 길이
3.5 레일의 제작
3.5.1 레일 강의 정련 / 3.5.2 마무리 압연 / 3.5.3 마무리 / 3.5.4 집중화된 탐상 / 3.5.5 긴 레일의 생산

제4장 차륜-레일관계 설계

4.1 차륜-레일접촉 기하구조 관계
4.1.1 계산방법 / 4.1.2 레일 윤곽(프로파일) / 4.1.3 (윤축 횡 이동이 없을 때의) 차륜-레일접촉 기하구조 / 4.1.4 분기선에서의 차륜-레일접촉 기하구조 / 4.1.5 (윤축이 횡 이동할 때의) 차륜-레일접촉 기하구조 / 4.1.6 (윤축이 횡 이동할 때) 분기기의 종 방향에 따른 차륜-레일접촉 기하구조의 변화
4.2 분기기 구간에서의 차륜-레일 전동접촉이론
4.2.1 헤르츠 이론에 기초한 차륜-레일 전동접촉이론 / 4.2.2 비(非)-헤르츠 전동접촉이론 / 4.2.3 분기기 구간의 차륜-레일 전동접촉 / 4.2.4 분기기 구간의 차륜-레일 시스템의 3D 탄성체 반(半)헤르츠전동접촉의 계산방법
4.3 차륜-레일 관계 단순화 모델의 평가
4.3.1 수직 틀림(고저 틀림) / 4.3.2 횡 틀림(방향 틀림) / 4.3.3 응용사례
4.4 분기기 구간에서 차륜-레일 동역학에 기초한 동역학 평가
4.4.1 열차-분기기 시스템의 동역학 모델 / 4.4.2 열차-분기기 시스템의 진동방정식 / 4.4.3 분기기 동역학 평가지표 / 4.4.4 분기기 동역학 시뮬레이션 평가 / 4.4.5 분기기 동역학에 기초한 차륜-레일관계 설계의 평가

제5장 분기기 구간 궤도 강성의 설계

5.1 분기기 구간 궤도 강성의 구성
5.1.1 레일체결장치 강성 / 5.1.2 분기기 구간 궤도 하부 기초의 강성 / 5.1.3 분기기 구간의 궤도 총체 강성
5.2 분기기 구간 궤도 강성의 설계
5.2.1 중국의 고속분기기용 레일체결장치의 구조 / 5.2.2 레일패드의 수직 강성
5.3 분기기 구간 궤도 총체 강성의 분포 법칙
5.3.1 영향 인자 / 5.3.2 계산모델 / 5.3.3 자갈분기기의 궤도 총체 강성 분포 법칙 / 5.3.4 무도상분기기의 궤도 총체 강성 분포 법칙
5.4 분기기의 궤도 강성에 대한 균일화 설계
5.4.1 궤도 강성 과도구간의 동적 분석 / 5.4.2 레일 처짐의 변화와 궤도 강성 과도구간의 길이 간의 관계 / 5.4.3 분기기에서 궤도 강성의 균일화 설계 / 5.4.4 플레이트 패드의 설계
5.5 분기기의 궤도 강성 과도구간의 설계

제6장 장대레일 분기기의 구조설계

6.1 구조적 특징
6.1.1 기본 요구사항 / 6.1.2 온도 힘의 전달 경로 / 6.1.3 힘 전달 구조
6.2 계산이론과 방법
6.2.1 등가 저항력 계수 방법 / 6.2.2 두 레일 상호작용 방법 / 6.2.3 일반화된 변분법 / 6.2.4 유한요소법
6.3 장대레일 분기기의 응력과 변형의 법칙
6.3.1 레일 온도 힘과 신축 변위의 분포 법칙 / 6.3.2 응력과 변형의 영향 인자
6.4 설계와 검증
6.4.1 설계 검증 항목 / 6.4.2 장대레일 분기기의 레일 설정 온도의 설계 / 6.4.3 복진관측 말뚝의 배치 / 6.4.4 번수가 큰 분기기의 용접 순서 / 6.4.5 분기기 그룹의 부설 원리 / 6.4.6 터널에서 장대레일 분기기의 부설 원리 / 6.4.7 교량 위 장대레일 분기기의 부설 원리

제7장 교량 위 장대레일 분기기의 설계

7.1 교량 위 장대레일 분기기의 종 방향 상호작용의 법칙
7.1.1 분기기-교량-(슬래브)-교각의 일체화 모델 / 7.1.2 단순보 교량과 자갈분기기 간의 종 방향 상호작용의 법칙 / 7.1.3 연속보 교량과 자갈분기기 간의 종 방향 상호작용 법칙 / 7.1.4 연속보 교량과 무도상분기기 간의 종 방향 상호작용의 법칙
7.2 차량-분기기-교량 연결시스템의 동적 특성
7.2.1 폭이 균일한 연속보 교량 위 건넘선 분기기의 동적 상호작용의 법칙 / 7.2.2 폭이 불균일한 연속보 위 단일 분기기의 동적 상호작용의 법칙
7.3 교량 위 장대레일 분기기의 설계 요건
7.3.1 분기기와 교량의 배치 / 7.3.2 교량 위 장대레일 분기기의 설계 요건

제8장 고속분기기의 전환 설계

8.1 전환 구조와 원리
8.1.1 전환 구조 / 8.1.2 분기기 전환의 원리
8.2 분기기 전환의 계산이론
8.2.1 계산모델 / 8.2.2 1-기계 다수-지점 견인방식 / 8.2.3 미끄럼 상판의 마찰계수 시험
8.3 고속분기기 전환의 연구와 설계
8.3.1 텅레일 전환의 설계 / 8.3.2 노스레일 전환의 설계

제9장 고속분기기의 하부 구조와 부품의 설계

9.1 분기기 하부 구조의 설계
9.1.1 자갈분기기의 침목 / 9.1.2 무도상분기기의 매설 장(長)침목 / 9.1.3 무도상분기기용 슬래브
9.2 분기기 상판(또는 타이플레이트)의 설계
9.2.1 상판(또는 타이플레이트)에 대한 힘 / 9.2.2 가드레일 상판 / 9.2.3 보통의 타이플레이트 / 9.2.4 포인트에서의 미끄럼 상판의 탄성 체결과 감마(減摩) 기술
9.3 분기기 레일체결장치 부품의 설계

제10장 고속분기기 설계의 이론적 검증

10.1 분기기 동역학 시뮬레이션 이론의 검증
10.1.1 동적 응답의 비교 / 10.1.2 윤하중 갈아탐의 비교 / 10.1.3 윤축 횡 이동의 비교 / 10.1.4 가드레일의 횡력에 관한 시험
10.2 교량 위 장대레일 분기기의 종 방향 상호작용 분석이론의 검증
10.2.1 교량 위 장대레일 분기기의 모형 / 10.2.2 교량 위 장대레일 분기기에 관한 현장시험
10.3 차량-분기기-교량 동적 상호작용 분석이론의 검증
10.4 고속분기기 전환의 검증
10.4.1 Qingdao∼Ji′nan선의 현장시험 / 10.4.2 42번 분기기의 텅레일에 대한 전환의 실험실시험 / 10.4.3 42번 분기기의 이중 탄성 굽힘 가능 노스레일의 전환 시험

제11장 고속분기기의 제작기술

11.1 제조설비와 공정
11.1.1 중국에서 고속분기기의 공급자 / 11.1.2 주요 공정 설비 / 11.1.3 제작 공정
11.2 레일에 대한 핵심 공정
11.2.1 공정 흐름과 제어 중점 / 11.2.2 60D40 레일 후단의 단압과 품질관리 / 11.2.3 가열처리와 품질관리 / 11.2.4 텅레일의 밀링 절삭에서 선형의 제어
11.3 고속분기기 상판의 핵심 제작 공정
11.4 조립과 검수(檢收)
11.4.1 중요한 분기기 부품의 조립 공정 / 11.4.2 전체 조립 / 11.4.3 조립된 분기기의 검수(檢收) / 11.4.4 시스템 통합기술

제12장 부설 기술

12.1 수송
12.1.1 운송의 방식 / 12.1.2 들어 올리기와 보관
12.2 자갈분기기의 부설
12.2.1 제자리 조립 부설법 시공공정 / 12.2.2 조립 후 위치이동 부설법 시공공정 / 12.2.3 부설품질의 관리대책
12.3 무도상분기기의 부설
12.3.1 침목 매설식 무도상분기기의 제자리 부설법 : 시공공정과 핵심기술 / 12.3.2 침목 매설식 무도상분기기의 위치이동 부설법 / 12.3.3 슬래브식 무도상분기기의 부설 : 시공공정과 핵심기술 / 12.3.4 무도상분기기 부설의 품질보증 조치
12.4 정밀조정 기술
12.4.1 분기기 정적 기하구조의 검측기술 / 12.4.2 분기기 정적 기하구조의 평가표준 / 12.4.3 분기기 조정의 기본 요구사항 / 12.4.4 분기기 조정분석 소프트웨어
12.5 고속분기기의 동적 검측과 검수

제13장 운용 중인 고속분기기의 틀림 제어

13.1 차륜-레일 관계 불량으로 유발된 구조적 틀림
13.2 선형 틀림
13.3 상태 틀림
13.3.1 현장 조사 / 13.3.2 동적 시뮬레이션 분석

제14장 유지보수와 관리

14.1 고속분기기의 관리제도와 유지보수 기준
14.1.1 유지보수 작업의 유형 / 14.1.2 유지보수 조직 / 14.1.3 유지보수의 방식 / 14.1.4 유지보수 표준 / 14.1.5 분기기 품질의 평가
14.2 고속분기기의 검측과 모니터링 기술 420
14.2.1 분기기 상태와 기하구조(선형)의 검사 / 14.2.2 분기기 레일의 검사 / 14.2.3 분기기 모니터링 시스템
14.3 고속분기기의 유지보수 기술 430
14.3.1 레일연마 / 14.3.2 자갈분기기의 유지보수 / 14.3.3 분기기 구간의 무도상궤도 기초 침하의 보수
14.4 고속분기기의 관리 443
14.4.1 선로유지관리 정보시스템 / 14.4.2 토목설비의 디지털 관리 / 14.4.3 고속분기기의 RAMS 관리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Ping Wang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Chengdu(成都, ※ 四川省의 省都) 소재 西南交通大学校(Southwest Jiaotong University) 토목공학과 教授 겸 고속철도공학 핵심연구소(Key Laboratory of High-Speed Railway Engineering) MOE 이사(director of the MOE) : (高速鉄路线路工程敎育部重点实验室主任) 中国鉄道学会轨道交通工程分会副主任(Associate Director, Rail Transit Engineering Branch of China Railway Society) 서남교통대학교 토목공학부 도로 및 철도공학 학과장, 고속철도 선로공정 교육부 중점실험실 주임, 미국기계엔지니어협회(ASME) 회원, 철도 건설, <서남교통대학저널>과 <철도저널>, <철도 과학 및 공학 저널> 및 기타 저널의 검토 전문가 Wang 교수는 중국에서 고속분기기의 선두적인 연구자이며 개발자이다. 그는 최근에 거의 20년 동안 고속철도 궤도구조의 분야에서 교육과 연구 업무에 참여했으며, 중국의 고속철도를 설계하고 운용하며 유지보수하는 과정에서 직면한 많은 기술적인 난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했다. (이하는 서남교통대학교 홈페이지에서 발췌한 내용임.) 교수이자 박사 학위 지도교수인 王平(Wang Ping)은 국무원의 특별 수당 전문가이다. 1969년 7월 7일에 후베이(湖北)성 이창(宜昌)에서 태어났다. 1991년 서남교통대학교 철도공학과에서 공학학사 학위를, 1994년 서남교통대학교 철도공학석사, 같은 해 서남교통대학교 토목공학부 조교, 1996년 강사로 승진, 1998년 서남교통대학교 도로철도공학과에서 공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같은 해 부교수로 파격적으로 승진했다. 2001년에는 교수로 파격적으로 승진했다. 사천성(四川省) 학술 및 기술 리더, 고속철도 궤도 사천성 과학 연구 혁신 팀의 책임자, 사천성 제10회 청소년 과학 기술상과 과학기술교육기금 철도과학기술상을 수상했다. 2005년 교육부의 ‘신세기 우수 인재 지원계획’에 선정됐다. 지난 5년 동안 사천성, 교육부, 중국철도학회는 과학기술진보상 3개, 논문 4부 등 총 100개 이상의 논문, 30개 이상의 국가 및 지방 과학 연구과제, 80명 이상의 석사 및 박사 과정 학생 지도를 개최했으며, 그중의 1명은 사천성에서 우수 박사 학위 논문을 수상했다.
펼치기
서사범 (옮긴이)    정보 더보기
• 1950년(단기 4283년, 庚寅년) 생, 공학박사(충북대학교), 철도기술사(출제위원 역임) • 1970년 2월에 국립 철도고등학교를 졸업(제1회)하고부터 반세기에 걸쳐 철도청 등의 철도기관(한국철도시설공단 2009. 3. 명예퇴직)과 업계에서 궤도기술업무에 종사 • 전 철도청 순천지방철도청 호남보선사무소장, 철도기술연구소 궤도연구관 • 전 고속전철사업기획단 궤도구조담임 • 전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한국철도시설공단(현 국가철도공단) 궤도처장, 중앙궤도기술단장 • 전 삼표이앤씨(주)・(주)서현기술단 근무 • 전 우송대학교 겸임교수, 충남대학교・한밭대학교・배재대학교・한국철도대학 강사 • 현 삼안측지기술공사 재직 • 저서 : 13권(《철도공학의 이해》; 2000년도 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선정, 《철도공학》; 2006년도 대한토목학회 저술상 수상) • 역서 : 4권, •편저・편역 : 7권, •공저 : 2권 • 궤도인생 반세기(고희기념회고록, 2019년), 회갑기념논문집(2010년) 저술・발간 • 연구논문・학술기사 등 : 2020년 5월 현재 총 333편 집필
펼치기

책속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