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근세사(원~ 아편전쟁)
· ISBN : 9788964990353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17-08-31
책 소개
목차
저자의 말 _ 5
화보 _ 9
서론 _ 왜 우리는 이탁오를 말하는가? _ 25
1부 _ 20세기 중국의 이탁오 사상 _ 35
1. 중화민국 초의 이탁오 발굴 36
1) 우위의 이탁오 발굴_ 36
2) 민국 초 진보적 지식인들의 이탁오 평가_ 39
2. 사회주의 중국의 이탁오 사상 수용 41
1) 고대보다 현대를 중요시하는 역사 연구_ 41
2) 반 도학(유학) 반봉건적 사상_ 43
3) 문학사상 및 비평가 이지_ 45
3. 문화대혁명시기의 이탁오 사상 47
1) 유물론적 사상가 이지_ 47
2) 비림비공운동 중 이탁오 사상_ 49
2부 _ 현대 중국에서 찾는 이탁오의 발자취 _ 61
1. 동아시아 사상의 고향, 이탁오의 취안저우 62
1) 해상 실크 로드의 출발지_ 62
2) 외래문화와 다양한 종교의 도시_ 66
2. 취안저우의 문물 74
1) 걸출한 인물들과 유명한 차의 고향_ 74
2) 혜안의 숭무고성과 사후의 금의환향_ 76
3. 이지의 사상적 고향, 용호서원과 지불원 82
1) 학문하던 옛 터, 호북성 마성의 지불원_ 82
2) 박해의 도피처에 이지서원_ 86
4. 북경 통주 서해자 공원의 이탁오 묘소 102
1) 통주의 옥중에서 자결_ 102
2) 어사 장문달의 이지 탄핵문_ 107
3) 북경 교외의 통주에 있는 이탁오의 묘_ 111
3부 _ 조선왕조에서 만나는 이탁오 _ 121
1. 이탁오의 사상과 조선의 실학사조 122
2. 이탁오와 임진왜란 125
1) 16세기 동아시아의 바다와 왜구_ 125
2) 임진왜란과 이탁오_ 130
3) 해적 임도건과 시대비판_ 134
4) 허균의 생애와 사상_ 138
5) 허균의 중국 사행시집 을병조천록_ 142
3. 이탁오와 조선의 실학 148
1) 지봉 이수광과 연암 박지원_ 149
2) 다산 정약용과 영재 이건창_ 151
4. 조선 대중문학 속의 이탁오 161
1) 독창적 대중문학사상_ 161
2) 삼국지연의와 수호지_ 166
3) 홍길동전의 모범이 된 걸작 수호지_ 168
4부 _ 현대 한국 언론 속의 이탁오 _ 173
1. 민주화시대의 대학언론 174
1) 전환기의 이단적 사상가 이탁오_ 175
2) 이탁오의 역사시비론_ 185
2. 21세기 초 대중매체, 신문 194
1) 이지 사상의 고향, 취안저우_ 194
2) 유교에 도전한 동양의 루터_ 196
3) 바른 길을 걸어 죄인이 되다_ 201
4) 독서. 나를 만나는 기회_ 206
3. 한국 이탁오 연구의 새로운 지평선 209
1) 이탁오 연구의 초기 상황_ 209
2) 민주화시대 이후의 이탁오 연구_ 210
5부 _ 16세기 동아시아의 역사적 가상 _ 219
16세기 말 동아시아의 세 영웅 220
이탁오, 현충사로 이순신을 방문하다 229
6부 _ 부록 _ 253
1. 중국의 이탁오 연구소식
2. 한국과 저자의 이탁오 연구소식
3. 이지와 이순신 및 허균의 비교연대표
4.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현충사 연혁
5. 저서의 중문 요약-명대사상가 이탁오와 조선의 실학
저자소개
책속에서
우위는 명 말의 반우위는 명 말의 반유교적 사상가였던 이탁오의 공자비판론에 탄복되어 공자 공격에 다시 불을 붙였다. 그의 공자 및 유교관은 전통에 대한 공격으로 이어져, 중국이나 일본에서 이탁오에 대한 소개와 연구가 홍수처럼 쏟아졌고 뒤에 중화인민공화국에 이르러 최고조에 이르렀다. _ 20세기 중국의 이탁오 사상 중
5·4 신문화운동 당시의 유명한 문인 린수(林紓, 1892-1924)가 북경대학 교장 차이위안페이(蔡元培, 1868-1940)에게, “학생들 중에서 오늘날 누가 금수와 같은 행위를 한 이탁오의 이름을 댈 수 있겠느냐?”고 공개질문을 보냈다. 진독수 등 당시 북경대학의 혁신적 사상가(新道德者)들을 이지와 비교한 것이니, 이지에 대한 전통적 평가가 얼마나 부정적이었는지를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_ 20세기 중국의 이탁오 사상 중
유명한 철학이며 문학이론인 「동심설(童心說)」에서, 이탁오는『육경』,『(논)어』,『맹(자)』등은 그 사관(史官)이 지나치게 높여 숭배한 말이 아니면, 그 신자들이 극히 찬미한 언어들일 뿐이다. … 그런데 어찌 이를 모든 시대에 최고의 이론(至論)으로 삼을 수 있겠는가? 라며 경전의 절대적 권위와 가치에 대해 회의를 나타냈다. _ 20세기 중국의 이탁오 사상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