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뮤직비즈니스 바이블

뮤직비즈니스 바이블

김진우, 유지연, 이아름, 이창호, 허영아 (지은이)
박하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16,2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620원
14,5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알라딘 직접배송 1개 10,800원 >
알라딘 판매자 배송 37개 5,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2,600원 -10% 630원 10,710원 >

책 이미지

뮤직비즈니스 바이블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뮤직비즈니스 바이블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경영/공연기획
· ISBN : 9788965703044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16-01-15

책 소개

국내 음악산업 각 분야 최고 전문가들이 알려주는 한국형 뮤직비즈니스의 이론과 실무의 모든 것을 한 권에 담았다. 뮤직비즈니스의 정의부터 레코딩 음악산업, 아티스트 매니지먼트, 뮤직퍼블리싱 산업, 콘서트 산업에 이르기까지 모든 지식을 총망라했다.

목차

뮤직비즈니스Music Business
1장 뮤직비즈니스의 이해
1. 뮤직비즈니스란?
2. 뮤직비즈니스에 영향을 끼친 주요 발명품들
악보 인쇄술의 등장/피아노의 등장/축음기의 등장/라디오와 텔레비전의 등장

2장 국내 뮤직비즈니스의 역사
1. 음반시장의 주요 타임라인
1950년대, LP가 등장하다/1960년대, 음반시장의 산업화 가능성을 확인하다/1970년대, 라이선스 음반이 성행하다/1980년대, 팝송에서 가요로 넘어가다/1990년대, 외국계 음반사와 대기업이 국내 음반시장에 진출하다/2000년대, 기술의 발달로 음악시장의 패러다임이 바뀌다
2. 디지털 음원시장의 주요 타임라인
1997~8년, MP3 음원 판매와 MP3플레이어의 등장/1999년, 냅스터의 등장/2000년, 무료 음악 서비스의 성행/2003년, 스트리밍 서비스의 유료화/2004년, 멜론의 등장/2005년, 이동통신사의 음악시장 선두 경쟁/2008~09년, Non-DRM 다운로드 상품의 허용과 스마트폰의 보급/ 2010~13년, ‘가온차트’의 등장과 유통시장의 지각 변동
_국내 뮤직비즈니스 시장의 규모와 전망

레코딩음악산업Recording Music
3장 레코딩음악산업의 이해
1. 레코딩음악산업이란?
레코딩음악산업의 특성/레코딩음악산업의 배경/레코딩음악산업의 역할/레코딩음악산업의 필요성
_초기 해외의 레코딩음악
2. 레코딩음악산업의 비즈니스 흐름
투자 유치/제작 기획/프로덕션/마케팅과 홍보/유통

4장 레코딩음악산업의 조직과 구성
1. 레코딩음악산업의 구성
제작사/유통사/직배사
2. 국내 제작사의 부서와 주요 업무
A&R/매니지먼트/마케팅과 프로모션/언론홍보/영업/재무와 법무

아티스트 매니지먼트Artist Management
5장 아티스트 매니지먼트의 이해
1. 아티스트 매니지먼트란?
2. 국내외 아티스트 매니지먼트의 구조
_SM엔터테인먼트 ‘이수만’, 한국형 아이돌 시장의 시작

6장 국내 아티스트 매니지먼트 실무
1. 국내 아티스트 매니지먼트
아티스트 발굴부터 트레이닝까지의 관리/앨범 홍보와 방송활동 지원/행사 관련 실무/광고 실무/아티스트 스케줄과 개인 업무 관리
2. 국내 아티스트 계약과 분쟁
연습생으로서 제작사와 첫 전속 계약 체결/아티스트 전속 계약 분쟁/아티스트 가창 계약
3. 국내 아티스트 매니지먼트의 중국 진출
중국 음악시장 현황/국내 매니지먼트의 중국 음악시장 진출 방안/국내 아티스트와 제작사의 중국 매니지먼트 계약

뮤직퍼블리싱 산업Music Publishing
7장 뮤직퍼블리싱의 이해
1. 뮤직퍼블리싱이란?
2. 뮤직퍼블리셔의 역할
뮤직퍼블리셔의 주요 업무/퍼블리싱 계약서/해외 퍼블리싱
3. 마스터와 퍼블리싱
마스터 권리와 라이선스/퍼블리싱 권리와 라이선스

8장 음악저작권
1. 저작권법의 기본 개념
저작권법의 목적/저작물의 보호 요건/저작자와 저작권자/저작권의 보호기간/저작재산권의 양도/저작재산권의 제한/저작물 이용의 법정허락
2. 음악저작권의 분류와 권리
저작권/저작인접권
3. 저작권 사용료의 발생
저작자와 저작권 수입/음악작품의 사용과 허락
4. 음악저작권협회
공연권협회/한국음악저작권협회/해외단체와 상호관리계약
_음악저작권 시장의 가능성

콘서트 산업Live Concerts
9장 콘서트 기획
1. 콘서트 기획이란?
음악시장 내 콘서트 역할의 변화/콘서트의 특성/콘서트의 구성 요소
2. 콘서트 기획 프로세스
1단계: 콘서트 기획/2단계: 콘서트 진행 단계/3단계: 콘서트 당일 진행과 관리/4단계: 콘서트 결산
3. 해외 아티스트 내한 공연
내한 공연의 진행 과정/계약서 작성

10장 콘서트 기획 실무
1. 콘서트 티켓의 가격 책정과 관리
티켓 등급과 가격 결정/티켓 매출과 관련 있는 변수/콘서트 티켓 운영
2. 콘서트 마케팅
마케팅 전략/마케팅 실행
3. 콘서트 현장 운영
공연장 외부/무대와 공연장 내부
_콘서트 뒷이야기

저자소개

김진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인디애나주립대학교에서 뮤직비즈니스학과를 졸업하고, 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에서 Cultural Management & Policy 석사학위를 받았다. ㈜KT뮤직 차장을 지냈으며 DSP미디어 ‘카라 프로젝트’ 전문심사위원과 Mnet ‘레전드 100송’ 선정위원으로 활동했다. ‘SBS 인기가요’ 순위산정방식을 설계할 때 자문을 맡기도 했다. KBS, SBS, YTN, 월스트리트저널, 경향신문, 동아일보, 매일경제,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국일보 등 각종 미디어와 언론매체에서 ‘음악산업 동향’ 인터뷰어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 한국음악콘텐츠산업협회 ‘가온차트’ 수석연구위원으로 일하고 있으며,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www.facebook.com/musicbusinesslab
펼치기
유지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버클리 음대에서 Music Business & Management를 전공하였고, 미국 뉴욕대학교에서 Music Entertainment Professions로,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마케팅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영국 워릭대학교에서 창조산업 관련 논문으로 문화정책 박사학위를 받았다. 공연 기획사 ㈜프라이빗 커브 기획실장을 지냈으며 한국예술종합학교와 중앙대학교 대학원에 출강하기도 했다. 현재는 창조경제추진단의 문화창조융합본부에 재직하고 있다.
펼치기
이아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H2엔터테인먼트에서 앨범 마케팅과 홍보팀장으로 있으면서 별, 간미연, 김동완 등 아티스트 앨범 투자 유치와 마케팅, 언론 홍보 활동에 참여했고, ㈜JYP엔터테인먼트 신규마케팅 부서에서는 별, 비, 박지윤, 박진영, 노을, 임정희 등 아티스트 앨범 마케팅과 언론 홍보를 담당했다. 현재 ㈜KT뮤직 콘텐츠 투자팀 차장으로 일하며 ㈜플럭서스뮤직, ㈜안테나, ㈜MBC문화방송, ㈜SBS콘텐츠허브, ㈜엑세스이엔티 등 음원·음반·공연 콘텐츠 투자를 담당하고 있다.
펼치기
이창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과를 졸업했으며, 미국 마이애미대학교에서 Music Business & Entertainment Industries 석사학위를 받았다. ㈜워너뮤직코리아 레이블 매니저와 Mnet 음악사업 2팀(해외사업)을 거쳐, ㈜KT에서 과장으로 근무했다. ㈜KT에서 KTF-CJ뮤직 음악 펀드 운용과 김동률, 다이나믹 듀오, 김범수, 노라조, 별 등 다수의 아티스트 앨범 공동 투자 그리고 꽃보다 남자 OST, 윤하, 제이슨 므라즈 내한 공연 등 투자를 진행하였고, 음악 사이트 도시락(dosirak)의 마케팅과 홍보를 담당하기도 했다. 현재 음악중점의 대안학교를 준비하고 있으며 저서로는 음악소설 《기타사슴》(2013)이 있다. inspirer42@gmailcom
펼치기
허영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네덜란드어과를 졸업하고, 미국 뉴욕대학교 Business of Entertainment 과정을 수료했다. 소니ATV뮤직퍼블리싱 대표이사를 지냈으며, (사)한국음악출판사협회 이사를 역임했다. 국내 최초로 비틀즈 음악을 영화와 광고에 정식 라이선스했고, 박효신의 ‘눈의 꽃’을 비롯한 여러 J-POP 리메이크를 성사시키기도 했다. 원더걸스의 ‘노바디’와 싸이의 ‘강남스타일’ 등의 작품을 전 세계에 라이선스했다. 현재 ㈜메인스트림뮤직 대표이사를 맡고 있으며, 숭실사이버대학교 엔터비즈니스학과 겸임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뮤직비즈니스는 문화산업의 한 부류로서, 음악과 관련된 모든 비즈니스 활동을 말한다. 쉽게 설명하면 아티스트(가수)가 중심이 되어 음악을 제작하고, 유통하고, 판매하고,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익을 분배하는 것이다. 활동 분야로는 작곡, 프로듀싱, 매니지먼트, 공연 기획, 뮤직퍼블리싱, 음악 유통사업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변화하는 정의와 달리, 우리는 음악산업의 시작과 함께해온 레코딩음악산업이 함의하고 있는 가장 중요하고 변함없는 속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것은 바로, 음악산업은 비즈니스가 아닌 음악과 아티스트에 무게를 두고 발전해나가야 할 산업이라는 점이다.
음악이라는 콘텐츠는 살아 있는 아티스트(인간)가 좁게는 자신의 성장배경, 넓게는 살아온 문화적·시대적 환경의 유기적인 관련성 아래에서 만들어진다. 그리고 이것을 음악산업이 가진 ‘총체적인 특성’이라고 말할 수 있다.


국내의 경우는 제작사 대표를 중심으로 한 올인원(all-in-one) 구조의 아티스트 매니지먼트 시스템을 보여준다. 이것은 제작사 대표가 음반제작자, 즉 아티스트의 앨범이 나오기까지 전반적인 기획과 제작은 물론 투자 영역까지 총괄적으로 관여하고 책임지는 것을 의미한다. 사실상 재정 여건이 부족한 제작사나 이제 막 창업한 제작사는, 제작사 대표가 여러 부서의 일을 모두 처리할 수밖에 없는 형편이기도 하다. (중략)
결국 각 나라의 아티스트 매니지먼트 시스템을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한다. 한국 매니지먼트는 제작자(제작사 대표) 중심, 미국 매니지먼트는 아티스트 중심, 일본은 제작사 중심 구조로 되어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877981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