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경영/공연기획
· ISBN : 9788965703044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16-01-15
책 소개
목차
뮤직비즈니스Music Business
1장 뮤직비즈니스의 이해
1. 뮤직비즈니스란?
2. 뮤직비즈니스에 영향을 끼친 주요 발명품들
악보 인쇄술의 등장/피아노의 등장/축음기의 등장/라디오와 텔레비전의 등장
2장 국내 뮤직비즈니스의 역사
1. 음반시장의 주요 타임라인
1950년대, LP가 등장하다/1960년대, 음반시장의 산업화 가능성을 확인하다/1970년대, 라이선스 음반이 성행하다/1980년대, 팝송에서 가요로 넘어가다/1990년대, 외국계 음반사와 대기업이 국내 음반시장에 진출하다/2000년대, 기술의 발달로 음악시장의 패러다임이 바뀌다
2. 디지털 음원시장의 주요 타임라인
1997~8년, MP3 음원 판매와 MP3플레이어의 등장/1999년, 냅스터의 등장/2000년, 무료 음악 서비스의 성행/2003년, 스트리밍 서비스의 유료화/2004년, 멜론의 등장/2005년, 이동통신사의 음악시장 선두 경쟁/2008~09년, Non-DRM 다운로드 상품의 허용과 스마트폰의 보급/ 2010~13년, ‘가온차트’의 등장과 유통시장의 지각 변동
_국내 뮤직비즈니스 시장의 규모와 전망
레코딩음악산업Recording Music
3장 레코딩음악산업의 이해
1. 레코딩음악산업이란?
레코딩음악산업의 특성/레코딩음악산업의 배경/레코딩음악산업의 역할/레코딩음악산업의 필요성
_초기 해외의 레코딩음악
2. 레코딩음악산업의 비즈니스 흐름
투자 유치/제작 기획/프로덕션/마케팅과 홍보/유통
4장 레코딩음악산업의 조직과 구성
1. 레코딩음악산업의 구성
제작사/유통사/직배사
2. 국내 제작사의 부서와 주요 업무
A&R/매니지먼트/마케팅과 프로모션/언론홍보/영업/재무와 법무
아티스트 매니지먼트Artist Management
5장 아티스트 매니지먼트의 이해
1. 아티스트 매니지먼트란?
2. 국내외 아티스트 매니지먼트의 구조
_SM엔터테인먼트 ‘이수만’, 한국형 아이돌 시장의 시작
6장 국내 아티스트 매니지먼트 실무
1. 국내 아티스트 매니지먼트
아티스트 발굴부터 트레이닝까지의 관리/앨범 홍보와 방송활동 지원/행사 관련 실무/광고 실무/아티스트 스케줄과 개인 업무 관리
2. 국내 아티스트 계약과 분쟁
연습생으로서 제작사와 첫 전속 계약 체결/아티스트 전속 계약 분쟁/아티스트 가창 계약
3. 국내 아티스트 매니지먼트의 중국 진출
중국 음악시장 현황/국내 매니지먼트의 중국 음악시장 진출 방안/국내 아티스트와 제작사의 중국 매니지먼트 계약
뮤직퍼블리싱 산업Music Publishing
7장 뮤직퍼블리싱의 이해
1. 뮤직퍼블리싱이란?
2. 뮤직퍼블리셔의 역할
뮤직퍼블리셔의 주요 업무/퍼블리싱 계약서/해외 퍼블리싱
3. 마스터와 퍼블리싱
마스터 권리와 라이선스/퍼블리싱 권리와 라이선스
8장 음악저작권
1. 저작권법의 기본 개념
저작권법의 목적/저작물의 보호 요건/저작자와 저작권자/저작권의 보호기간/저작재산권의 양도/저작재산권의 제한/저작물 이용의 법정허락
2. 음악저작권의 분류와 권리
저작권/저작인접권
3. 저작권 사용료의 발생
저작자와 저작권 수입/음악작품의 사용과 허락
4. 음악저작권협회
공연권협회/한국음악저작권협회/해외단체와 상호관리계약
_음악저작권 시장의 가능성
콘서트 산업Live Concerts
9장 콘서트 기획
1. 콘서트 기획이란?
음악시장 내 콘서트 역할의 변화/콘서트의 특성/콘서트의 구성 요소
2. 콘서트 기획 프로세스
1단계: 콘서트 기획/2단계: 콘서트 진행 단계/3단계: 콘서트 당일 진행과 관리/4단계: 콘서트 결산
3. 해외 아티스트 내한 공연
내한 공연의 진행 과정/계약서 작성
10장 콘서트 기획 실무
1. 콘서트 티켓의 가격 책정과 관리
티켓 등급과 가격 결정/티켓 매출과 관련 있는 변수/콘서트 티켓 운영
2. 콘서트 마케팅
마케팅 전략/마케팅 실행
3. 콘서트 현장 운영
공연장 외부/무대와 공연장 내부
_콘서트 뒷이야기
리뷰
책속에서
뮤직비즈니스는 문화산업의 한 부류로서, 음악과 관련된 모든 비즈니스 활동을 말한다. 쉽게 설명하면 아티스트(가수)가 중심이 되어 음악을 제작하고, 유통하고, 판매하고,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익을 분배하는 것이다. 활동 분야로는 작곡, 프로듀싱, 매니지먼트, 공연 기획, 뮤직퍼블리싱, 음악 유통사업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변화하는 정의와 달리, 우리는 음악산업의 시작과 함께해온 레코딩음악산업이 함의하고 있는 가장 중요하고 변함없는 속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것은 바로, 음악산업은 비즈니스가 아닌 음악과 아티스트에 무게를 두고 발전해나가야 할 산업이라는 점이다.
음악이라는 콘텐츠는 살아 있는 아티스트(인간)가 좁게는 자신의 성장배경, 넓게는 살아온 문화적·시대적 환경의 유기적인 관련성 아래에서 만들어진다. 그리고 이것을 음악산업이 가진 ‘총체적인 특성’이라고 말할 수 있다.
국내의 경우는 제작사 대표를 중심으로 한 올인원(all-in-one) 구조의 아티스트 매니지먼트 시스템을 보여준다. 이것은 제작사 대표가 음반제작자, 즉 아티스트의 앨범이 나오기까지 전반적인 기획과 제작은 물론 투자 영역까지 총괄적으로 관여하고 책임지는 것을 의미한다. 사실상 재정 여건이 부족한 제작사나 이제 막 창업한 제작사는, 제작사 대표가 여러 부서의 일을 모두 처리할 수밖에 없는 형편이기도 하다. (중략)
결국 각 나라의 아티스트 매니지먼트 시스템을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한다. 한국 매니지먼트는 제작자(제작사 대표) 중심, 미국 매니지먼트는 아티스트 중심, 일본은 제작사 중심 구조로 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