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육아 > 자녀 심리
· ISBN : 9788965705178
· 쪽수 : 252쪽
· 출판일 : 2017-09-30
책 소개
목차
서문
_사회성은 배울 수 있는 ‘실력’이다
1장 공감하고 어울린다는 것
행복으로 가는 비밀 통로
혼자 있는 아이가 사회성이 부족한 것은 아니다
아이는 친구와 더불어 세상을 배운다
대신 살아줄 수 없다면 스스로 겪게 하라
초등학교 입학 전 배워야 하는 사회성
TIP 1)눈치 보는 아이 자존감 살리기
2장 아이는 갈등으로 성장한다
문제적 아이 뒤에는 문제적 부모가 있다
‘왕따’가 되는 조건
욕은 더 쉽게 배운다
모든 문제는 좌절감에서 온다
꾸짖음과 비난은 다르다
왜 우리 아이에게는 참을성이 없을까
아이를 불안하게 한 건 누구일까
TIP 2)쉽게 삐치는 아이 제어하기
3장 ‘사회성’은 애착에서 시작된다
애착은 세상이 안전한 곳이라는 믿음을 준다
어려움은 이겨낼 수 있지만 상처는 이겨낼 수 없다
스마트폰이라는 ‘요물’ 다루기
‘다름’을 인정하는 것이 사회성의 시작이다
갈등 없는 관계란 없다
스스로 ‘가치’를 깨닫게 하라
‘사춘기’ 때문이 아니에요
여학생이 더 똘똘해 보이는 이유
인사는 아이의 인격이다
TIP 3) 다투는 아이 다루기
4장 아이의 마음은 오늘도 외롭다
모든 문제는 부모에게서 비롯된다
마음을 움직여야 아이가 행동한다
아이는 실수가 키운다
분노의 다양한 얼굴
스트레스, 말 속에 힌트가 있다
자기중심성은 부모를 닮는다
아이의 ‘손발’이 되지 마라
성취감이 산만함을 치유한다
나를 위해 세상이 존재하는 건 아니다
TIP4) 따돌림에 대처하기
5장 존중받는 아이가 사회성이 높다
부모의 ‘눈’이 아닌 아이의 ‘눈’으로 보라
자신의 결정을 책임지게 하라
"자리 좀 양보할 사람 있니?"
‘닦달’은 훈육이 아니다
존중받는 아이는 쉽게 좌절하지 않는다
TIP5)관심이 필요한 아이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 삶의 궁극적 목적이 행복(eudaimonia)에 있다고 했다.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유다이모니아’는 성장과 발전을 의미하는 단어로, 자신의 잠재력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기쁨을 뜻한다. 사회적 존재인 인간이 공동체 안에서 자기를 실현한다는 것은 타인과의 관계 맺음에 기반을 둔다. 사회성이 높은 아이는 자기를 실현하고, 사회라는 거대하고 복잡한 관계망에서 행복을 찾을 확률이 높다.
들어가는 말
우리는 타인과 교류하며 사회적 존재로 성장한다. 사람으로서 갖추어야 할 규범과 가치를 배우고, 사회적 기대를 학습한다. 늑대 소녀가 사회에서 살아남지 못한 이유는 유전적인 결함이 아니라 사회화 과정을 거치지 못했기 때문이다. 초등학생들의 사회화는 가정, 학교 등 사람과 사람의 만남에서 이루어지는 관계를 통해 형성된다. 특히 학교에서 규칙을 배우고 또래와 갈등하면서 사회성을 성숙시킨다.
1장 공감하고 어울린다는 것
부모는 무조건 아이의 요구를 들어주는 것이 사랑이라는 착각에서 벗어나야 한다. 아이도 포기할 것은 포기하는 법을 알고 이 세상은 모두 자기중심으로 돌아가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배워야 한다. 욕구가 충돌될 경우에는 타협하고 조절하는 법도 익혀야 한다. 너무 엄격하게 통제만 해서도 안 된다. 부모라는 큰 울타리에서 참을성을 기르고 자기조절 능력이 자라도록 훈육해야 한다.
2장 아이는 갈등으로 성장한다